반응형

심장학 50

Wellens Syndrome 의 심전도 | T파 역위, T wave inversion의 감별진단

I. wellens sydrome이란?■ 정의- biphasic or deeply inverted T wave in V2-3 lead + 최근의 흉통이 있다가 완화된 증상- 심각한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의 협착을 시사함- 환자들은 약간의 심근효소 상승과, 통증이 없는 상태- 그러나 심각한 LAD stenosis 상태이며, anterior MI의 높은 위험성 때문에 치료가 필요함■ T파 변화의 원리 - 갑작스럽게 발생한 LAD complete occlusion으로 인해 일시적인 anterior STEMI 발생하며 흉통 - 일시적인 STEMI가 심전도상 모니터링 되지 않은 상황에서 LAD 재관류 발생 (by. 자발적 혈전 용해 or 혈관확장)- ST 분절 상승이 ..

대동맥판 역류 (AR) /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 원인 | 청진소견 | AVR | 치료 | Aortic regurgitation

I. 대동맥판 역류의 원인■ Primary valve disease1) Rheumatic disease (2/3) → 이완기 닫힘 문제 & 수축이 열림 문제 공존하는 경우가 많음  isolated AR is rare2) Ankylosing spondylitis(강직성척추염)3) Congenital bicuspid valve4) VSD (subarterial type) :  sub-atrial VSD가 수술적응증인 이유5) Trauma, infective endocarditis ■ Primary aortic root disease - aortic dissection - cystic medial degeneration : Marfan, Bicuspid AV, Familial aneurysm - Syphil..

심장학 2025.03.30

대동맥판 협착증 (AS) | TAVI/TAVR | SAVR | 원인 | 청진소견 | 치료 | Aortic stenosis

I. 대동맥판 협착증 원인 1) age-related calcific (m/c)2) 선천성 판막이상 (unicuspid, bicuspid)3) Rheumatic AS​ : MV(승모판)도 대부분 같이 침범함, AR동반4) 감염성 심내막염남성이 80%, 50-60대 호발함​※ valvular AS 제외 LV outflow tract (LVOT)의 다른 원인들Hypertrop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HOCM)discrete congenital subvalvular AScongenital supravalvular AS▼ 비후성 심근병증 알아보기2024.12.20 - [심장학] - 비후성심근병증 청진소견과 심전도| HCMP 심잡음 | Apical HCMII. 대동맥판 협착증 양상■..

심장학 2025.03.29

Ductal dependent congenital heart defects |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장질환 알아보기 | 동맥관

I. ductus arteriosus (동맥관)이란?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장질환들에 대해 알기 전에 먼저 동맥관이란 무엇일까?- 동맥관은 대동맥과 폐동맥사이를 있는 작은 관- 태아시절 필요한 기관이며, 출생이후 퇴화하는 게 정상적- 출생직후 정상적으로 동맥관이 닫히지 않는 경우 병적이며 동맥관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라 부른다.▶동맥관과 태아순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II. Ductal dependent congenital heart defects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장질환)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장질환은 기존에는 출생후 정상적으로 사라져야 하는 동맥관이 유지되어야지만 생존할 수 있는 심장질환들을 일컫는다. 이러한 심장질환들의 경우 출생 후 동맥관을 닫히지 않게 유..

고혈압의 치료 | 항고혈압제 | 약물치료 | 고혈압의 관리 | 2022 고혈압 진료지침(2)

I. 고혈압의 치료 기준과 목표■ 고혈압의 치료 목적 - 혈압 상승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 시행 - 수축기혈압 10-20mmHg, 이완기혈압 5-10mmHg 하강 → 뇌줄중 30-40% 감소, 허혈성 심질환 15-20%감소 - 심뇌혈관질환 예방치료중 가장 비용-효과 측면에서 우수함- 혈압이 높게 측정된 경우 → 가정혈압 또는 24시간 혈압측정 => 백의 고혈압, 일시적 고혈압 확인 - 심뇌혈관의 위험인자 및 장기손상을 확인한다 ​■ 고혈압의 치료 기준과 치료 목표고혈압 전단계에서는 약물치료는 권고하지 않고, 생활요법을 권고한다.SBP 130mmHg 이상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대동맥질환, 좌심실비대, 심부전 환자에서는 약물치료 고려고혈압 전단계 환자에서 가정혈압 측정..

심장학 2025.02.12

만성교착성심낭염 협착심장막염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 교착성 심낭염의 정의 - 심장막의 만성적인 염증반응 → ​pericardium의 비후와 섬유화 → diasystolic dysfunction - 이완기 초기에는 filling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심낭의 섬유화로 인해 이완기중 갑작스럽게 filling이 제한됨​■ 교착성 심낭염의 원인 - idiopathic pericarditis - 감염 ; 결핵(국내 ↑ ) , 세균성, 바이러스성 - 심장수술후 발생, 방사선치료후 발생 - 결체조직 질환 : SLE, RA, sclerosis, - 요독증, sarcoidosis - 악성종양 관련 ​■ 교착성 심낭염의 양상 - liver cirrhosis(황달, 복수, 간기능이상) 와 유사함, LC와 달리 경정맥확장 존재 - 정맥울혈 : 복수, 간비대, 비장비대,..

심장학 2025.02.11

심낭 삼출(pericardial effusion) | 심낭압전(cardiac tamponade)의 심전도 진단 치료

I. 심낭삼출 (pericardial effusion)■ 심낭삼출의 양상 - 심장을 싸고 있는 두 개의 막 사이 공간인, 심낭에 물이 차는 것을 말한다. - 흉통, 호흡곤란, 기침, 연하곤란 등 공간압박에 의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심음이 작아지며, friction rub 나 apex impulse가 사라질 수 있음 - Ewart's sign : 삼출액으로 인해 왼쪽폐 하엽이 눌려, 좌측 견갑하부에서 타진 시 dullness ■ 심낭삼출의 검사와 소견 chest x-ray : 심장이 물병(water bottle) 모양으로 커져 보인다ECG : 급성 심낭염의 소견을 보일 수 있다 (ST elevation...)low-voltage QRS : QRS파의 크기가 작아짐electrical alternans..

심장학 2025.02.10

고혈압의 진단기준 | 고혈압의 정의와 평가 | 고혈압 진료지침 2022 (1)

I. 고혈압의 정의와 중요성■ 고혈압 분류 - 정상혈압 : 120/80 모두 미만일 경우 - 고혈압 1기 : SBP 140 이상 또는 DBP 90 이상 - 고혈압 2기 : SBP 160 이상 또는 DBP 100 이상■ 고혈압과 심뇌혈관 질환 사이 관련성 -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증가에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선형적으로 증가- 수축기단독고혈압 및 이완기단독고혈압 또한 심혈관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관찰- 심뇌혈관 질환에서 고혈압의 기여위험도 가장 높음​■ 고혈압의 유병률- 연령 측면: 연령이 증가하면 혈압이 증가하고 남녀 사이 혈압차가 감소함- 전체 성인인구 대상 남성 유병률이 여성 유병률보다 5-10%가량 높음- 여성은 폐경기이후(50대후)부터 혈압이 급격히 증가하며 70세 이후는 남성보다 유병률이 ..

심장학 2025.02.09

급성 심장막염 (acute pericarditis) | 심낭염 | 원인 | 치료 | 증상 | STEMI와 심낭염의 심전도

I. 심낭염의 원인1) 감염성 심낭염 (m/c, 80-90%) ● viral(m/c) : CMV, HHV-6, HIV, coxsackie virus, echovirus, adenovirus, influenza ● M.tuberculosis (결핵) ● 기타 세균 또는 균류2) 비감염성 심낭염 ● post-MI, myocarditis ● 종양: 유방암, 폐암, 림프종, 백혈병, mesothelioma (심낭의 원발성 종양중 m/c) ● 요독성, 방사선 노출3) 자가면역성 심낭염 ● rheumatic fever ● Collagen vascular diseases : SLE, Sjogren, RA, AS, SC) ● 약물 : procainamide, hydralazine, phenytoin, INH .....

심장학 2025.02.08

심부전(Heart failure)의 치료, 치료제, 관리 | 2022 심부전 진료지침 | 대한심장학회 | 심부전(2)

I. HFrEF (박출률 감소 심부전) 치료 알고리즘 심부전의 진단및 평가에 대한 내용 보기 II. HFrEF (박출률 감소 심부전)의 치료제[체액저류 소견시] 이뇨제(diuretics)■ 이뇨제 사용 - EF과 관계없이, 체액저류의 소견이 있는 경우 이뇨제​를 사용한다 - 울혈 증상 또는 징후 : 폐울혈, 경정맥비대, 부종 - ​Loop diuretics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 - Thiazide diuretics는 불충분할 경우 추가 가능■ 이뇨제 부작용 - 저혈량증 - 저칼륨 대사 알칼리증 - 고요산 혈증 ​[1차 표준치료]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 (RAS blockers) ​■ 1st ARNI (angiotensin receptor - neprilysin inhibition) - Sacub..

심장학 2025.02.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