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학

고혈압의 진단기준 | 고혈압의 정의와 평가 | 고혈압 진료지침 2022 (1)

medhamstern 2025. 2. 9. 04:16
반응형

I. 고혈압의 정의와 중요성

혈압의 분류

■ 고혈압 분류

- 정상혈압 : 120/80 모두 미만일 경우

- 고혈압 1기 : SBP 140 이상 또는 DBP 90 이상

- 고혈압 2기 : SBP 160 이상 또는 DBP 100 이상

■ 고혈압과 심뇌혈관 질환 사이 관련성

고혈압과 심뇌혈관사이 기여위험도

-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증가에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선형적으로 증가

- 수축기단독고혈압 및 이완기단독고혈압 또한 심혈관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관찰

- 심뇌혈관 질환에서 고혈압의 기여위험도 가장 높음

■ 고혈압의 유병률

고혈압의 유병률
성별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

- 연령 측면: 연령이 증가하면 혈압이 증가하고 남녀 사이 혈압차가 감소함

- 전체 성인인구 대상 남성 유병률이 여성 유병률보다 5-10%가량 높음

- 여성은 폐경기이후(50대후)부터 혈압이 급격히 증가하며 70세 이후는 남성보다 유병률이 높음

II . 백의고혈압(white coat HTN)과 가면고혈압(masked HTN)

■ 백의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

- 진료실 혈압 140/90 이상이면서

- 가정혈압 또는 주간활동혈압이 135/85 미만

- 고혈압 진단자중 17.4%, 여성 및 비만도가 낮은 환자에서 더 흔함

- 장기 추적결과 고혈압으로 진행하거나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가능성 높음

■ 가면고혈압(masked hypertension)

- 진료실 혈압 140/90 미만이면서

- 가정혈압 또는 주간 활동 혈압이 고혈압인 경우

- 고혈압약의 사용개수가 많고 공복혈당이 높을수록 가능성이 높음

- 정상혈압 대비 심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더 높음

III. 고혈압의 검사와 혈압측정

고혈압의 선별검사와 고혈압의 진단

■ 고혈압의 검사

- 선별검사: 20세 이상 성인 대상 위험도에 따라 1년 혹은 2년마다 진료실 혈압을 측정한다

- 활동혈압측정 : 고혈압, 백의고혈압 및 가면고혈압을 진단하고 치료효과를 판정하고 예후 예측을 위해 활동혈압 측정을 권고한다

- 가정혈압측정 : 고혈압, 백의고혈압 및 가면고혈압을 진단하고 예후를 예측하기위해 가정혈압 측정을 권고한다.

올바른 혈압측정 방법

■ 측정방법에 따른 고혈압 진단 기준

고혈압의 진단기준

IV. 고혈압의 증상과 평가

● 일차성 고혈압 vs 이차성 고혈압 감별

● 고혈압의 중증도 평가

●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 생활습관 평가

● 동반질환 또는 무증상장기손상 유무 확인

■ 고혈압의 증상과 징후

➡️ 혈압 상승 자체와 관련된 특이증상은 대개 없음

- 두통 : 아침에 일어날때 발생, 후두부 두통 severe HTN의 특징

- 어지러움, 두근거림, 피로, 발기부전 ...

➡️ 고혈압 - 심뇌혈관에 의한 증상

- 혈뇨, 시야흐림, TIA, 어지러움, 협심증/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 이차성 고혈압에서 기저질환에 의한 다양한 증상 발생 가능

■ 고혈압의 초기평가와 고혈압 예후 인자들

고혈압의 초기평가
심뇌혈관질환 위험인자와 무증상장기손상

■ 이차성 고혈압의 증상 및 선별검사

● 이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의 5%정도이지만, 수술 또는 약물치료를 통해 완치 가능성이 있는 고혈압으로 의심되면 추가 검사를 시행함

●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되는 경우

- 혈압이 약물치료에 잘 반응 X or 잘조절되다 갑자기 혈압이 상승

- 갑작스러운 고혈압의 발생

- 사춘기 이전에 진단된 고혈압

- 가족력 또는 비만 없이 30세 이전에 진단된 고혈압

- 55세 이후 2기 고혈압의 발생

이차성 고혈압의 임상적 적응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