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골격 4

퇴행성 회전근개 질환의 접근과 치료 | NEJM 2024;391:2027-2034

I. The Clinical Problem■ 회전근개의 해부학적 구조 = SITS- Supraspinatus : adbduction of arm- Infraspinatus : external rotation of arm- Teres minor : external rotation of arm- Subscapularis : internal rotation of arm ■ 회전근개 질환은 힘줄 퇴행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된다- rotator-cuff tendiopathy- partial-thickness tear- full-thickness tear- rotator-cuff-tear arthropathy (만성적인 회전근개 손상으로 인해 팔뼈의 머리가 superior migration하여 관절염이 발생..

근골격 2025.03.21

골관절염(Osteoarthritis): 정의, 병태생리, 양상, 치료법 가이드

I. 골관절염의 정의 & 병태생리 - 가동관절(diarthrodial joint)에서 관절연골의 손실로 인해 뼈와 뼈가 마찰하여 통증과 신생골형성을 일으키는 질환. - 가장 흔한 관절질환으로 50세 이후 성인에게서 주로 보임 - 위험인자 : 고령, 여성, 비만, 직업(운동선수, 농부, 광부, 기계공업근로자), 관절손상(ACL손상,반월상연골판 손상), 관절주변 근력저하, 염증성관절질환 병력■ OA의 병태생리 1) cartilage & subchondral bone은 정상적이나 관절에 가해지는 힘이 과도함 2) 관절에 가하지는 힘은 정상적인 수준이나, cartilage & subchondral bone이 상태가 안좋은 경우● articular cartilage - 초기에는 hypertrophic repa..

근골격 2025.03.09

골다공증(Osteoporosis)와 골감소증(Osteopenia)의 원인, 진단 | DXA 해석

I. 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감소하고 골절의 위험성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뼈의 강도는 골량(bone quantitiy)와 골질(quality)​로 결정된다.WHO 골다공증의 정의- BMD가 peak bone mass (20-29세)보다 2 standard deviations 이상 감소하는 경우를 말한다. - T점수가 -2.5 이하골다공증의 영향- 골절, 뼈통증, 키 감소, 신체적 변형​■ 골절 위험성과 관련된 요소1) Bone density (뼈의 밀도)2) Bone quality (뼈의 질) - 뼈의 미세구조 - 뼈의 턴오버 - 손상의 축적 (미세골절) - 미네랄화 과정3) 낙상, 외상4) 나이 - 연령의 증가와 함께 크게 증가 - 뼈의 부위마다 골절 위험성이 다름..

근골격 2025.01.14

정상 뼈의 대사(bone metabolism) | 골밀도의 결정 | 최대골량(peak bone mass)

I. 성인기 골밀도청소년기, 젊은 성인기 획득한 골량에 의해 결정됨이후 골소실률에 따라 결정 - 뼈의 크기, Peak bone mass - 영양분, 생활습관​● Peak bone mass (최대골량)의 결정 - 사람의 최대골량은 대부분 20대후반 결정된다.(호르몬, 신체활동, 유전적요인, 영양학적 요인이 영향을 준다)- 뼈의 부위에 따라 최대골량에 도달하는 시점이 다르다. ▷Proximal femur : 18-20세 도달 ▷Spine : 25-30세 도달​● 노화에 의한 골소실 발생 이유1) 남성에서 Aromatase 효소 기능저하로 인해 에스트로젠의 감소 2) IGF-1의 감소 (중간엽기질세포, pre-osteoblastd의 생산 감소)3) 25-hydroxy Vit D 수준의 감소 (피부에서 Vit ..

근골격 2025.01.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