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신신경 7

파킨슨증후군 | 파킨슨병, 혈관성, 약물성, 정상압수두증(NPH), 비전형 파킨슨 증후군

I. Parkinsonism ■ 증상- 느린 운동증 (bradykinesia)- Cogwheel rigidity- Resting tremor- 보행과 자세 이상 II. 1차성 파킨슨 증후군 = 파킨슨병■ 원인과 역학- 40-70대 첫증상이 나타나며, 알츠하이머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질환- 노화 : 정상노인에서도 도파민 신경세포의 수는 감소함. 단, 사멸 시작의 위치가 다르다 - 환경적, 독성물질, 유전인자 -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의 도파민 세포의 사멸, Lewy body(신경세포내 호산성 봉입체)■ 증상 - Resting tremor : 다른 파킨슨증후군 대비 더 잘 나타남 비대칭적으로 시작하는 떨림, 자세를 취하거나 활동시 떨림이 소실됨cf) intention tr..

정신신경 2025.04.27

신경성 식욕부진증 생리학 | NEJM 2025;392:372-381

I. Anorexia nervosa(신경성 식욕부진증)의 DSM-5 진단기준  Anorexia nervosa level of severity • Restriction of energy intake relative to requirements, leading to a significantly low body weight in the context of age, sex, developmental trajectory, and physical health. Significantly low weight is defined as a weight that is less than minimally normal or,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less than that minimally ex..

정신신경 2025.03.20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 DSM-5 기준 | 감별진단 | 망상장애와 차이점

I.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DSM-5일단, DSM-5 기준에서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질환들로는 아래 질환들이 있다.헷갈리는 초록색질환들을 감별해보자(약물/물질 유도 정신병적 장애는 알코올 중독 파트에서 구별해 볼 예정이다.)망상장애 Delusional Disorder 단기 정신병적 장애 Brief Psychotic Disorder 조현양상장애 Schizophreniform Disorder조현병 Schizophrenia 조현정동장애 Schizoaffective Disorder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Substance/Medication-Induced Psychot..

정신신경 2024.11.17

DSM-5 양극성장애 | 순환성장애 | 주요우울장애 진단기준과 차이점

I. 기분장애는 아래 DSM5 기준 하위항목들로 구분된다.양극성 및 관련 장애(Bipolar and Related Disorders)1제I형 양극성장애 Bipolar I Disorder2제II형 양극성장애 Bipolar II Disorder3순환성장애 Cyclothymic Disorder4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양극성 및 관련 장애Substance/Medication-Induced Bipolar and Related Disorder...기타 여러가지 양극성 관련장애...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1파괴적기분조절부전장애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2주요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3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증) Persis..

정신신경 2024.11.16

수면장애의 비약물치료 | 인지행동치료 | 수면위생

​수면위생교육(sleep hygiene education)자극조절치료(stimulus control)수면제한(sleep restriction)이완훈련(relaxation training)인지치료(cognitive theraphy)​1. 수면위생교육낮잠 X : 낮잠은 오후 2-3시경 15분정도만 가능하며, 오후 늦게 낮잠은 피한다일정한 시각에 일어나라: 수면각성 주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어나는 시간이 일정한게 중요하다.시계를 보지마라: 수면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더욱 잠이 깬다카페인은 아침을 제외하면 금지: 14시간까지 카페인의 효과가 작용하므로, 오전 10시 이후는 커피를 먹지 않는다.금주한다: 술은 잠을오게하나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수면의 유지를 방해하고 새벽에 잠을 ..

정신신경 2024.11.16

수면구조 | 렘수면과 비렘수면 | REM NREM | 수면제

I. 수면의 구조수면은 렘수면과 비렘수면(N1.N2,N3) 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비렘수면의 특징 - 충분히 이해 할수 있다. 수면은 곧 휴식이기에 생체징후(호흡,맥박,혈압) 모두가 낮고 일관성 있게 유지되며, 대뇌 산소와 당대사 또한 각성대비 감소한다. 또한 N1->N2->N3 깊어짐에 따라 근육의 긴장도도 떨어진다.   ■  렘수면의 특징 1) 근육의 긴장도는 가장 많이 떨어지지만,2) 안구의 움직임은 많고 3) 대뇌 산소 소비량과 당대사가 증가 4) 각종 생체징후가 마치 깬 것 처럼 변동성 o 5) 꿈의 빈도도 잦고 더 비논리적인 꿈을 꾼다.  렘수면은 수면돌입(수면잠복기과정) -> N1 -> N2 -> N3 -> REM 으로 시작된다. 이때, 첫 수면부터 REM 돌입시를 REM 잠복기라 정..

정신신경 2024.11.15

불면장애의 진단과 약물치료 | 수면제의 종류와 작용기전

I. 불면장애의 진단수면의 개시 및 유지에 문제가 있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3개월 이상 주며, 특히 E,G.H의 사유처럼 다른 수면관련장애, 약물사용, 기타 정신질환으로 설명이 되지 않을경우에 진단이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깊게 보면 좋을 것 같다.DSM-5 불면장애의 진단기준A. 수면의 양이나 질의 현저한 불만족감으로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과 연관된다.1. 수면 개시의 어려움(아동의 경우 보호자의 중재 없이는 수면 개시가 어려움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 수면 유지의 어려움으로 자주 깨거나 샌 뒤에 다시 잠들기 어려운 양상으로 나타남(아동의 경우 보호자 의 중재 없이는 다시 잠들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기도 함)3. 이른 아침 각성하여 다시 잠들기 어려움B. 수면 교란이 사회적, 직업적, 교육적, 학업적..

정신신경 2024.11.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