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분비학/부신 6

크롬친화세포종,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와 Paraganglioma의 진단과 치료 | 카테콜아민 | 부신질환

I. Pheochromocytoma 와 Paraganglioma는 무엇인가?​카테콜아민을 분비하는 신경내분비 종양이다. 부신내에 존재하는 경우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 이고, 부신외부에서 카테콜아민을 분비하는 종양은 Paraganglioma 이다.  Pheochromocytoma가 갈색세포종인 이유는 potassium dichromate에 노출되면 Chromaffin 반응에 의해 종양이 어두운 갈색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부신의 구조와 분비호르몬 자세히 알아보기  Chromaffin cell 기원 종양은 카테콜아민을 분비하며, 부신내부에 존재하는 종양과, 부신외부에 존재하는 종양으로 구분된다. Neural crest 기원 다른 종양들은 주로 소아에서 발생한다. ​II. phechromo..

내분비학/부신 2024.12.22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의 원인 진단 치료 | Chushing's disease

I. 쿠싱증후군의 원인 쿠싱증후군은​ 코티솔(cortisol)이 과하게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때 발생하는 임상양상들이다.1) ACTH가 증가한경우, 2) Cortisol 자체가 증가한 경우 가 존재한다. 1)이 ACTH의존성 2)가 ACTH 비의존성 쿠싱증후군이다.​쿠싱증후군의 원인발병 비율ACTH 의존성쿠싱병 Cushing's disease(ACTH-분비 뇌하수체선종)90%75%이소성 ACTH Ectopic ACTH syndrome (due to SCLC, 갑상선수질암, 카르시노이드종양)15%ACTH 비의존성부신피질선종Adrenacortical adenoma10%5-10%부신피질암종Adrenocortical carcinoma1%결절부신과다형성Macronodular adrenal hyperplasia1%미..

내분비학/부신 2024.12.09

부신기능검사와 부신호르몬검사 정상수치

* 부신기능을 평가하는 여러 방법(I)기저 호르몬(Basal level)을 직접측정하는 방법과 (II,III)Dynamic endocrine test으로 나뉘고, 기저 호르몬 측정의 경우 혈액에서의 측정과 소변에서의 측정으로 또 나뉜다.​I. 기저호르몬 측정I-a) 혈액검사■ ACTH - 박동성, 산발적분비를 하며, 오전 8시에 가장최고치(8-25pg/ml) - 쉽게 분해되는 특성이 있어 채혈 후 즉시 혈장분리후 보관■ Cortisol - 하루 15-30mg 분비됨 - 오전 6-8시에 5-25ug/dl 최고치, 한밤중 최저농도, ACTH 일중농도와 유사함 -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증가 ⇒ Stress 상태에서 증가, 아침에서 일어나는거 자체가 스트레스이니 오전에 제일 높다고 생각하자.■ 혈장레닌활성도..

내분비학/부신 2024.12.04

부신피질호르몬의 기능과 조절, 부신의 구조와 위치

I. 부신의 해부학, 조직학■ 위치양쪽 신장위에 얹어진 형태로 위치하고 있다.■ 크기정상두께는 1cm, 길이는 4-6cm ■ 영상소견신장 주위에 Inverted-T-shape으로 보이는 부신을 확인 할 수 있다.   부신은 피질과 수질로 구성되는데, 피질이 90% 라면 수질은 10%정도이다. 피질은 바깥에서 부터 토리층(glomerulosa)-다발층(fasciculata)-그물층(reticularis)로 나뉘는데, 각각 층별로 효소가 달라 만들어지는 호르몬의 종류가 다르다. Zone Glomerulosa(토리층) - 알도스테론(aldosteron)Zone Fasciculata(다발층) - 코티솔(cortisol)Zone Reticularis(그물층) - 안드로젠(androgen)Medulla(수질) - ..

내분비학/부신 2024.12.02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원인, 진단, 치료 / 급성부신피질기능저하증

I.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원인과 증상부신피질기능저하증은 ACTH가 감소하여 Cortisol이 부족한 이차성저하증, Cortisol 자체가 부족하여 보상적으로 ACTH가 증가하는 일처성 저하증으로 나뉜다.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증상Glucocorticoid 결핍증상피로, 식욕부진, 체중감소, 열Normochromic Anemia, 림프구증가증, 호산구증가증TSH의 증가, 저혈당, 저나트륨혈증(by AVP release)저혈압, 기립성 저혈압Mineralocorticoid 결핍증상(일차성기능저하증에서만 발생)복통, 구역, 구토어지러움, 기립성저혈압혈장 크레아티닌증가(by. 혈액량감소)저나르륨혈증, 고칼륨혈증 Adrenal Androgen 결핍증상기력감소성욕감소(특히,여성)음모, 액와모감소(특히, 여성)기타증상..

내분비학/부신 2024.11.28

고알도스테론증(hyperaldosteronism)의 원인, 진단, 치료

I. 고알도스테론증의 원인 ​일차성고알도스테론증이차성알도스테론증호르몬Renin 감소 / Aldosteron 증가Renin 증가 / Aldosteron 증가원인① Conn's syndrome(알도스테론 분비 선종) ② adrenal carcinoma(부신암종)③ Bilateral cortical nodualr hyperplasia④ GRA(glucocorticoid remediable aldosteronism)① accelerated phase of HTN(간경변증, 신증후군, 울혈심부전 )② 임신 (에스트로젠에 의한 레닌증가)③ 신동맥협착증II. 이차성 고알도스테론증■ 정의  RAAS(Renin angiotensin aldosteron system) 활성화에 따른 레닌 증가 와 알도스테론의 증가상태■ 레..

내분비학/부신 2024.11.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