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고혈압의 치료 기준과 목표
■ 고혈압의 치료 목적
- 혈압 상승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 시행
- 수축기혈압 10-20mmHg, 이완기혈압 5-10mmHg 하강 → 뇌줄중 30-40% 감소, 허혈성 심질환 15-20%감소
- 심뇌혈관질환 예방치료중 가장 비용-효과 측면에서 우수함

- 혈압이 높게 측정된 경우 → 가정혈압 또는 24시간 혈압측정 => 백의 고혈압, 일시적 고혈압 확인
- 심뇌혈관의 위험인자 및 장기손상을 확인한다
■ 고혈압의 치료 기준과 치료 목표

- 고혈압 전단계에서는 약물치료는 권고하지 않고, 생활요법을 권고한다.
- SBP 130mmHg 이상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대동맥질환, 좌심실비대, 심부전 환자에서는 약물치료 고려
- 고혈압 전단계 환자에서 가정혈압 측정 또는 활동혈압 측정을 고려
■ 고혈압 환자의 치료



- 1기 고혈압 (140/90 >) + 위험인자 0개 → 생활요법 시행후 개선이 없는 경우 약물치료 시행
- 1기 고혈압 (140/90 >) + 위험인자 1개 이상 → 약물치료와 생활요법 동시 시행
- 2기 고혈압 (160/100 >) → 약물치료와 생활요법 동시에 시행


- 모든 노인환자에서 SBP 140이상인 경우, 생활요법과 함께 약물치료를 권고한다.
■ 고혈압 치료의 목표혈압


-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목표혈압은 SBP < 140 mmHg, DBP < 90 mmHg 미만
- 당뇨병 : 심뇌혈관질환/무증상장기손상/만성신장병 3-5기 → 130/80 mmHg 미만으로 조절
- 뇌졸중 : 열공성 뇌경색 환자의 경우 SBP < 130 mmHg 미만으로 조절
- 만성신장병 : 알부민뇨가 동반된 경우 130/80 mmHg 미만으로 조절
-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복부대동맥류, 심부전, 좌심실비대 : 130/80 mmHg 미만으로 조절

■ 고혈압 비약물 치료 및 생활 요법

II. 고혈압의 약물 치료
■ 고혈압약의 처방 원칙
- 혈압은 140/90 mmHg 미만을 목표로 조절한다
-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저용량으로 시작한다
- 1일 1회 복용이 가능한 약을 이용한다. 최대/최대 효과 비가 0.5 이상인 약이 좋다
- 1차 고혈압약으로는 ACEi, ARB, BBC, CCB, diuretics 중에 선택한다.
■ 고혈압 약제의 종류
1) 이뇨제 (thiazide, loop, K+-sparing diuertics)
- 일차고혈압 약으로 Thiazide 이뇨제를 이용할 수 있다, (chlorthaildone, indapamide)
- 고칼륨 혈증이 없는 경우 저항성 고혈압 치료를 위해 알도스테론 길항제를 고려할수 있다
- loop 이뇨제는 울혈성 심부전, 만성신장병 4-5기 고혈압 환자에서 고려한다.
1) 베타차단제 (BBC)
- 협심증, 심근경색증, 빈맥성 부정맥을 동반한 경우 β1 선택적 차단제를 추천
- 천식, 2도이상의 방실전도장애, 말초혈관질환 동반환자에서는 조심해서 사용해야한다
- 당뇨병, 대사증후군, 노인 환자에서는 혈당 및 지질대사에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하여 사용해야한다.
1) 칼슘차단제 (CCB)
- 장기간 작용형 칼슘차단제를 추천
- non-DHP 칼슘차단제는 심근경색증 후, 비후성심근증 환자에게 추천 (반사성 빈맥 X)
1)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차단제 (ACEi/ARB)
- 심부전 환자 사망률 ↓ , 신장보호기능, 좌심실비대와 죽상동맥경화 억제
- 혈당 및 지질대사에 영향이 적다.
- 양측성 신동맥 협착 환자에서는 심한 저혈압 및 신기능 악화 위험성
- 혈청 크레아티닌 30% 이내상승, 혈중 포타슘 < 5.5mEq/L 인 경우 약 중단 필요없음
- ACEi의 경우 기침과 혈관부종 부작용이 발생 가능
2) 기타 약제
- α 차단제 : 혈압 ↓ , 전립선비대증 배뇨증상 호전, 기립성 저혈압의 부작용
- methyldopa, hydralazine ; 임산부 고혈압 치료
- aliskiren : 레닌억제제
■ 고혈압 약제의 선택


- ACEi/ARB 우선 : 당뇨병, 신부전, 단백뇨, 심근경색증, 심실비대, 말초혈관질환, 대사증후군
- BBC 우선 : 심근경색증, 협심증, 대동맥류, 빈맥
- CCB 우선 : 협심증, 빈맥, 말초혈관질환, 대사증후군, 심근경색증(post-MI, non DHP)
- 이뇨제 우선 : 심부전증, 수축기 단독 고혈압
- 임신시 : labetalol(BBC), methyldopa, nifedipine(CCB), hydralazine
■ 고혈압 약제의 병용 요법


- 용량을 증량하기보단 기전이 다른 약을 소량씩 추가하여 적은 부작용으로 혈압 강하효과를 얻는것을 더 추천
- 레닌- 안지오텐신 억제제 계열 + 이뇨제 or 칼슘차단제 → 우선 권장
- 베타차단제와 다른 기전의 약도 병용요볍이 가능하나, 베타차단제 + 이뇨제 조합은 당뇨 및 대사장애 발생 ↑
- ACEi + ARB의 병용요법은 심뇌혈관질환 발생이 오히려 증가 하므로 피합니다.
■ 저항성 고혈압
- 이뇨제를 포함하여 다른 기전의 고혈압약 3가지를 병용 투여하여도 혈압이 140/90 미만으로 조절되지 않음
- 약제에 대한 치료지속성을 확인하고 가정혈압 또는 24시간 활동혈압 측정 권고
- 알도스테론 길항제를 저항성고혈압 치료에 추가 할수 있다.

'심장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맥판 역류 (AR) /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 원인 | 청진소견 | AVR | 치료 | Aortic regurgitation (0) | 2025.03.30 |
---|---|
대동맥판 협착증 (AS) | TAVI/TAVR | SAVR | 원인 | 청진소견 | 치료 | Aortic stenosis (0) | 2025.03.29 |
만성교착성심낭염 협착심장막염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0) | 2025.02.11 |
심낭 삼출(pericardial effusion) | 심낭압전(cardiac tamponade)의 심전도 진단 치료 (0) | 2025.02.10 |
고혈압의 진단기준 | 고혈압의 정의와 평가 | 고혈압 진료지침 2022 (1)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