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분비학/뇌하수체 | 시상하부 9

SIADH(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증후군)의 병태생리, 원인, 진단, 치료

I. SIADH의 병태생리SIADH는 항이뇨호르몬의 과다분비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인데, 기억해야할 점은 Euvolemic Hyponatremia 라는 점이다. 저나트륨혈증이지만, 수분량은 정상수준이라 부종, 탈수증상, 기립성 저혈압 같은 혈량 변화에 의한 증상은 없다.​Q. 항이뇨호르몬이 작용하면, 수분의 재흡수량이 늘어 혈중나트륨농도가 낮아지고, 수분배출량이 줄어 체내 수분량이 늘어날것 같은데 왜 Euvolemic 할까?​A. ADH 분비가 많아지면 ANP분비가 증가된다. ANP는 RAAS를 억제 → 알도스테론기능이 떨어진다. 결론적으로 [ 수분저류 by ADH+ 나트륨과 그에 딸린 물의 배설 by ANP ] 로 인해 등혈량성 저나트륨혈증이 된다. ANP의 기능들NatriuresisDiuresisImp..

요붕증(Diabetes insipidus)의 원인, 진단, 증상, 치료

I. 요붕증(DI)의 양상 ■ 다뇨(polyuria) : 성인에서 소변량이 하루에 3L이상인 경우 ■ 갈증: 수분 소실로 인해 갈증중추가 자극 ■ 탈수증상 : 수분보충이 부실한 경우 쇄약, 발열, 정신장애, 피로 발생 if 방광질환이 있는 환자라면, 소변배출이 제대로 되지 않아 수신증과 신부전이 발생II. 요붕증의 원인보통 신장성 vs 일차성 vs 중추성중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소개할 각종 검사들을 통해서 DI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주로 출제된다,먼저 Central DI는 ADH의 분비능력자체가 저하된것이고, Primary DI는 물을 많이 먹어 ADH의 분비가 낮아진것이고, Nephrogenic DI의 경우 ADH의 분비가 적절히 되고 있으나 신장의 문제로 농축이되지 않는 경우이다.원인C..

뇌하수체종양의 역학, 증상, 진단, 검사, MRI

I. 뇌하수체 종양 서론1) 분류 & 역학전체 뇌종양의 10%대부분 뇌하수체선종(adenoma), 두개인두종, 터기안 주변종양, 악성은 드물다1cm 기준으로 micro/macro adenoma를 구분함⅔는 기능성종양, ⅓은 비기능성종양​2) 양상■ 압박증상(거대) : 두통, 뇌신경마비, 요붕증, 고프로락틴혈증, 시야결손■ 기능항진증(미세&거대) : 말단비대증(GH) / 고프로락틴혈증(PRL) / 쿠싱병(ACTH)■ 기능저하증(거대종양) : By. stalk pressure or 조직의 파괴​3) 검사Sellar mass가 발견될경우 호르몬 기능검사가 필요하다.■ Prolactin (lactotroph cell)■ IGF -1 (somatotroph cell)■24h free Cortisol (cortic..

항이뇨호르몬의 기능, 분비, 작용 | 뇌하수체후엽 호르몬

I.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뇌하수체 후엽호르몬은 1) Oxytocin, 2) Vasopressin(ADH,AVP) 두 종류가 있다. 내분비학에서는 주로 항이뇨호르몬 관련 질환이 언급된다.​1) 옥시토신(oxytocin)자궁평활근을 수축하고, 유즙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유도분만시 사용하는 호르몬이기도 하다.​2) 항이뇨호르몬(ADH, Vasopressin)신세뇨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체내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변을 농축시키는 호르몬이다. 또한 혈관을 수축하는 작용도 존재한다. ● 항이뇨 작용Vasopressin은 집합관(collecting duct)과 원위신세뇨관(distal tubule)에 존재하는 V2 수용체에 결합결합후 Aquaporin-2 단백질을 통해 혈액으로 수분을 재흡수함 ⇒ 체내 수분량..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 쉬한 증후군(sheehan's syndrome)증상, 원인, 치료

I.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1) 뇌하수체 기능저하증의 원인   뇌하수체 질환종양 - 선종,두개인두종,터기안 주변 종양출혈 - 산후출혈(sheehan syndrome)감염 - 출혈열, 결핵침윤 - lymphocytic hypophysitis의인 - 수술이후, 방사선치료 이후 stalk 수술, 외상, 종양, 동맥류에 의한 압박 시상하부질환두개인두종, 특발성, 선천성질환(칼만), 의인성, 악성종양, 결핵, 침윤성 ​2) 임상 양상 ■ 종양 자체 증상: 두통, 시야결손, 외안신경마비, 압박증상■ 시상하부증상: 체온조절장애, 비만, 수면장애, 의식장애■ 호르몬 결핍에 따른 증상 - 성장호르몬결핍 : 성장장애(소아), 체지방증가,골밀도감소,운동능력감소, 근력감소 (성인) - 프로락틴결핍 : 산후 수유불가능 (..

성장호르몬 분비와 기능 | 말단비대증의 증상, 진단, 치료 | 뇌하수체전엽질환

I. 성장호르몬의 분비와 기능말단비대증을 알기전에 성장호르몬의 분비와 그 기능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한다.  1) 성장 호르몬 수치성장호르몬은 깊은잠에 들고나서 초기, 격렬한 운동시 분비가 박동성으로 증가된다(stress hormone)사춘기에 가장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가장 높고, 노년에도 청소년기의 1/4 정도 분비된다.​ 2) 성장호르몬의 분비조절 성장호르몬의 조절은 시상하부 - 뇌하수체 전엽 - 간 axis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feedback)GHRH 신경에 의해 분비 촉진(스트레스, 운동, 기아. 저혈당. 노화)Somatostatin 신경에 의해 분비 억제 ​ 3) 성장호르몬의 기능과 작용   성장호르몬의 주 역할은지방위주의 에너지 사용 ↑ &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보전방향근육: 포도당 흡수 ↓지..

프로락틴종양과 고프로락틴혈증 증상, 원인, 치료 | Hyperprolactinemia & Prolactinoma

I. 프로락틴 호르몬의 분비▼ 아래 3가지 경우를 잘 기억해야 프로락틴혈증의 다양한 원인을 잘 이해할 수 있다.TRH ↑ ⇒ PRL 증가 : 갑상선기능저하증시 TRH-TSH 분비증가에 따라 프로락틴분비 증가Dopamine ↓ ⇒ PRL 증가 : 도파민차단제, 뇌하수체종양, 신경계 자극에 따라 프로락틴 분비 증가Estrogen ↑ ⇒ PRL 증가: 임신하는 경우 프로락틴분비의 증가  정상범위: 25 ng/mL 이내임신시 정상범위 : 10 - 209 ng/L200 ng/mL 이상시 ⇒ Prolactinoma 가능성 시사500 ng/mL 이상시 ⇒ Macroprolactinoma 프로락틴 수치에 따른 상황II. 고프로락틴혈증과 그 원인 고프로락틴혈증에서 포인트는 프로락틴 종양 의외의 다른 고프로락틴혈증을 일으..

칼만증후군의 진단,치료 | 두개인두종 | 뇌하수체의 발생과정

I. 시상하부 질환 서론시상하부질환이라고 강조되어서 나오는 질병은 다른 내분비 질환들에 비해 주목받지는 못하긴 하지만, 그래도 정리하고 넘어가면 좋을거 같아서 간단히 정리합니다.Kallmann's syndrome, 시상하부기능이상 정도 알아두면 될것​II. 시상하부 질환들      -1) 종양성 질환         ● Craniopharyngioma(두개인두종)석회화를 자주 동반하는 종양대부분 소아에서 발생하나, 45%는 20세 이후 발생함증상: 뇌하수체기능저하증 90%. 요붕증 10%검사: Brain MRI, brain CT,x-ray (sellar calcification)치료: 수술예후: 3cm 미만일 경우 예후 양호, 양성이나, 임상적으로 악성인 경우가 꽤 존재​▼ 아래는 두개인두종이 발생하는 과..

시상하부 호르몬 뇌하수체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I. 시상하부의 구조와 위치  중추신경계 → 시상하부 → 뇌하수체 → 타겟기관 → 생리적효과 ⇒ 다시 중추신경계 및 전단계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은 작용기관에 가서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몇가지 단계를 거쳐 신호를 전달한다.또한 발생한 효과가 전단계 호르몬 방출기관들에 영향을 주는 Feedback 기전으로 항상성을 유지한다. ​II.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기능분비 위치호르몬 시상하부TRHThyrotropin-releasing hormoneCRH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GnRH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HRH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PIFDopamine or prolactin inhibiting fac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