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간담췌 2

급성췌장염 진단과 치료 | 췌장염 합병증 감별과 치료 가이드

I. 급성췌장염■ 원인- 담석- 알코올 - 고중성지방혈증- ERCP 합병증 ■ 복통의 양상 - 강도 : 심하고 지속적, N/V 동반가능 - 위치 : 배꼽주위, 심와부- 방사통 : 등, 가슴, 옆구리, 하복부등- 통증의 변화 : 누울때 악화, 상체를 구부릴 경우 완화 ■ 검사소견 1) amylase 증가 증상 초기 발생증가, 2-3일 이후는 췌장염 지속 여부와 상관없이 정상화 일주일 이상 상승시 췌장염 동반 합병증에 대해 고려 췌장염의 중증도와 amylase 상승 정도는 관련 없음정상치의 3배 이상이며 다른 증가요인을 배제할수 있을경우 췌장염 진단 가능함- amylase의 증가 원인침샘질환, 장천공, 장폐색, 악성종양, DKA, 신부전2) lipase 증가 증상 초기 상승은 늦지만 지속기간은 더 길다. ..

간담췌 2025.04.28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의 진단 | 빌리루빈 대사 | 생리적황달 | 핵황달 | 신생아 용혈질환

I. 빌리루빈 대사 과정1) Heme → Bilirubin- 헴(Heme)이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의 분해(또는 마이오글로빈, 사이토크롬)- 이후 세망내피계에서 heme oxygenase, biliverdine reductase에 의해 대사- 불포합성(unconjugated, 비극성, 지용성, 간접) 빌리루빈이 생성2) 혈청 알부민과 결합후 간으로 이동3) 간에서 indirect bilirubin → direct bilirubin 전환- 간의 smooth endoplasmic reticulum(매끈면소포체)로 이동- uridine diphosphoglucuroinc acid (UDP) glcucuronyl transferase로 인해 포합- 포합성(conjugated, 극성,수용성,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후..

간담췌 2024.11.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