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99

선천 거대 결장증 (Hirschsprung disease) 의 진단과 치료 | 기능성 변비와 차이점

I. 선천 거대 결장증 (Hirschsprung dz.)■ 역학 & 병태생리 - 대장 일부에 부교감 신경절세포가 결여 > 무신경절부는 좁아지고 무신경절부 상부는 확장됨. - 미숙아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남아 >> 여아 - 다운증후군에서 동반 (다운증후군 소화기계 기형 : 선천거대결장, 십이지장폐쇄, 항문폐쇄, 배꼽탈장, 장회전이상)- 가족력 가능 ■ 증상 및 진찰 소견- 대개 생후 3개월 이내 진단되는 편이나, 심한 변비가 있는 소아에서도 진단됨- DRE 상 대변이 없음 - 복부팽만■ 진단대장조영술 : 무신경절부와 정상 상부상 사이 tansition zone, 조영제가 24시간 이상 잔류(관장하지 않고 조영술을 진행하여야 좁아진 무신경절 부를 확인할 수 있음.)직장흡인생검(확진검사) : 항문 2cm 상..

위장관 2025.05.07

호산구성 식도염과 감염성 식도염의 정리

I. 호산구성 식도염 (EoE)■ 진단증상 + 식도점막 생검을 통해 진단함 생검결과 : 식도 점막조직 내 호산구 발견소아 : 연하곤란, N/V, 성장부진성인 : 비전형적인 흉통, PPI 불응성 속 쓰림, 아토피질환 hx.(천식, 습진, 비염), 말초호산구혈증■ 내시경 소견- loss of vascular marking (by. edema)- multiple esophageal rings- longitudinally oriented furrows- punctate exudate■ 치료 및 관리1) PPI (30-50% 정도는 PPI responsive EoE)2) 식이조절, topical glucocorticoids3) systemic glucocorticoids : 불응성인 경우4) 식도 확장 : fib..

위장관 2025.05.05

소아 후두 기관지염 | Croup, Epiglottitis 진단 및 치료

I. 후두 및 기관 감염질환 ■ 원인 병원체 - virus : Parainfluenza, RSV, Adenovirus- bacteria : H.influenzae, S.pyogens, S.aureus ■ 증상 - 기침 : Barking cough (그렁거리는 기침)- 쉰목소리 - 상기도 폐색 : stridor, 흉벽함몰II. 크룹(Croup) = Viral croup , 급성 후두 기관 기관지염 ■ 특징- 원인 : Parainfluenza virus - 3개월 ~ 5세 소아- 증상 : 선행하는 상기도 감염증상, barking cough, 쉰목소리, stridor, 밤에 악화 심할경우 빈호흡, 흉곽함몰 ■ 진단 X-ray PA : subglottic narrowing (모래시계 모양)X-ray later..

호흡기 2025.05.04

Wellens Syndrome 의 심전도 | T파 역위, T wave inversion의 감별진단

I. wellens sydrome이란?■ 정의- biphasic or deeply inverted T wave in V2-3 lead + 최근의 흉통이 있다가 완화된 증상- 심각한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의 협착을 시사함- 환자들은 약간의 심근효소 상승과, 통증이 없는 상태- 그러나 심각한 LAD stenosis 상태이며, anterior MI의 높은 위험성 때문에 치료가 필요함■ T파 변화의 원리 - 갑작스럽게 발생한 LAD complete occlusion으로 인해 일시적인 anterior STEMI 발생하며 흉통 - 일시적인 STEMI가 심전도상 모니터링 되지 않은 상황에서 LAD 재관류 발생 (by. 자발적 혈전 용해 or 혈관확장)- ST 분절 상승이 ..

소아 위장관 질환 : 구토의 감별진단 | 담즙성구토, 비담즙성구토

I. 구토의 정의 및 기전 - 위장관 > 식도 > 구강으로 역류함- 담즙성 구토 : 십이지장 이후의 폐쇄 > 응급가능성 높음- 비담즙성 구토 : 위상부 또는 기능적 원인의 구토II. 연령별 주요 감별진단 1) 신생아기 (1개월 미만)담즙성 구토비담즙성 구토장폐쇄(십이지장 폐쇄, 공장폐쇄)비대날문협착증장회전이상, 중장염전식도폐쇄태변 창자막힘증아칼라지아 위식도역류2) 영아기 (1개월 -1세)- 위식도역류- 식품단백유발위장염- 바이러스성 위장염- 신경계 질환 (ex. 수두증, 뇌종양..)3) 유아기 ~ 학령기 - 바이러스 위장염 - 편두통과 관련 증후군들 - 위염, 소화성 궤양- DKA- 신경계 질환III. 신생아기 비담즙성 구토 1) 선천성 식도폐쇄 및 식도기관루■ 특징 식도폐쇄질환의 대부분 TEF(식도기관..

위장관 2025.05.02

소아 위장관 질환 : 소아 위장관 출혈의 감별진단

I. 신생아 위장관 출혈 1) 모체 혈액 흡인 - Apt test : 알칼리 용액 + 혈액을 섞고 노란색으로 색변화가 나타날 경우 모체 혈액 흡인임2) 괴사성 장염(NEC) ■ 특징생후 2주내 + 미숙아 + 경구영양을 시작하고 발병함증상 : 혈변, 복부팽만, 심한 경우 복막염IC valve 근처 장에서 호발 하며, 장혀혈/경구영양/세균/장발달 등 여러 발병인자들이 관여 ■ 진단X-ray : pneumatosis intestinalis(장벽내공기), 문맥 내 공기, football sign_천공 시Cross-table lateral xray : 천공확인초음파 : 간문맥 내 공기 발견 ■ 치료 NPO, TPN, NG tube insertion : 장을 쉬게 하고 정맥영양으로 전환수액공급항생제 투약 (혈액, ..

위장관 2025.05.02

임신융모질환 GTD, GTN 진단 및 치료과정 | 완전포상기태와 부분포상기태

I. 임신융모질환의 종류- GTD(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임신 이후 발생한 비정상적인 조직이 발생하는 자궁종양■ 종류1) villi의 유무villi(+): h-mole = complete, partial, invasivevilli(-): choriocarcinoma,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 epithelioid trophoblastic tumor2) 악성의 유무GTN : Invasive h-mole, choriocarcinoma, PSTT, ETT■ choriocarcinoma : 생식세포종양 vs GTN1) GTN- 임신 및 태반 조직에서 기원함- 자궁에서 발생하며, 전이는 흔하지 않음, 전이되면 폐 또는 질로 전이함- 항암..

산부인과 2025.04.30

자궁기형 종류와 MRI 구분법 | 중복자궁·쌍각자궁·중격자궁

I. 자궁기형의 진단 1) HSG(자궁난관조영술) -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나 septate uterus / bicornuate uterus 구분 어려울 수도 있음2) MRI - 쌍각자궁과 중격자궁을 구분, 자궁기형을 확인하기 가장 좋은 검사 3) IVP, USG - 자궁기형이 요로계기형과 같이 있는 경우가 많아, 비뇨기 영상검사도 필요함 4) 진단적 복강경- 자궁 저부 패임을 통해 쌍각자궁과 중격자궁 구분이 가능함 II. 중복자궁, 쌍각자궁, 중격자궁 외부 윤곽소견 자궁강의 분리도 자궁각간 거리 자궁각 간 각도 자궁경부의 수 중격자궁 평평하거나 오목함 ( 완전 또는 부분 분리 좁음 ( 좁음 ..

산부인과 2025.04.30

급성췌장염 진단과 치료 | 췌장염 합병증 감별과 치료 가이드

I. 급성췌장염■ 원인- 담석- 알코올 - 고중성지방혈증- ERCP 합병증 ■ 복통의 양상 - 강도 : 심하고 지속적, N/V 동반가능 - 위치 : 배꼽주위, 심와부- 방사통 : 등, 가슴, 옆구리, 하복부등- 통증의 변화 : 누울때 악화, 상체를 구부릴 경우 완화 ■ 검사소견 1) amylase 증가 증상 초기 발생증가, 2-3일 이후는 췌장염 지속 여부와 상관없이 정상화 일주일 이상 상승시 췌장염 동반 합병증에 대해 고려 췌장염의 중증도와 amylase 상승 정도는 관련 없음정상치의 3배 이상이며 다른 증가요인을 배제할수 있을경우 췌장염 진단 가능함- amylase의 증가 원인침샘질환, 장천공, 장폐색, 악성종양, DKA, 신부전2) lipase 증가 증상 초기 상승은 늦지만 지속기간은 더 길다. ..

간담췌 2025.04.28

파킨슨증후군 | 파킨슨병, 혈관성, 약물성, 정상압수두증(NPH), 비전형 파킨슨 증후군

I. Parkinsonism ■ 증상- 느린 운동증 (bradykinesia)- Cogwheel rigidity- Resting tremor- 보행과 자세 이상 II. 1차성 파킨슨 증후군 = 파킨슨병■ 원인과 역학- 40-70대 첫증상이 나타나며, 알츠하이머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질환- 노화 : 정상노인에서도 도파민 신경세포의 수는 감소함. 단, 사멸 시작의 위치가 다르다 - 환경적, 독성물질, 유전인자 -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의 도파민 세포의 사멸, Lewy body(신경세포내 호산성 봉입체)■ 증상 - Resting tremor : 다른 파킨슨증후군 대비 더 잘 나타남 비대칭적으로 시작하는 떨림, 자세를 취하거나 활동시 떨림이 소실됨cf) intention tr..

정신신경 2025.04.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