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자궁기형 종류와 MRI 구분법 | 중복자궁·쌍각자궁·중격자궁

medhamstern 2025. 4. 30. 00:58
반응형

I. 자궁기형의 진단 

1) HSG(자궁난관조영술) 

-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나 septate uterus / bicornuate uterus 구분 어려울 수도 있음

2) MRI 

- 쌍각자궁과 중격자궁을 구분, 자궁기형을 확인하기 가장 좋은 검사 

3) IVP, USG 

- 자궁기형이 요로계기형과 같이 있는 경우가 많아, 비뇨기 영상검사도 필요함 

4) 진단적 복강경

- 자궁 저부 패임을 통해 쌍각자궁과 중격자궁 구분이 가능함
 

II. 중복자궁, 쌍각자궁, 중격자궁

중격자궁중복자궁쌍각자궁
왼쪽에서 부터 중격자궁, 중복자궁, 쌍각자궁
  외부 윤곽소견 자궁강의 분리도 자궁각간 거리  자궁각 간 각도 자궁경부의 수
중격자궁 평평하거나 오목함 (<10mm) 완전 또는 부분 분리 좁음 (<4cm) 좁음 (<75°) 1개
쌍각자궁 깊은 오목함 (>10mm) 부분 분리 넓음 (>4cm) 넓음 (>105°) 1개
중복자궁 깊은 오목함 완전 분리 매우 넓음 매우 넓음 2개

■ 중격자궁 

중격자궁의 MRI 소견중격자궁의 MRI 소견중격자궁의 MRI 소견
중격자궁의 MRI 소견

- 자궁저부 윤곽이 평평
- 자궁간 각 각도 < 75도 (예각)
- 자궁강은 두 개이나 자궁경부는 하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중복자궁

중복자궁의 MRI중복자궁의 MRI중복자궁의 MRI
중복자궁의 MRI

- 자궁저부의 윤곽에서 오목함을 확인하수 있다
- 자궁강의 완전한 분리
- 자궁경부의 수가 2개 
- 자궁각 간 거리와 각도가 매우 크고 넓다

■ 쌍각자궁 

쌍각자궁의 MRI쌍각자궁의 MRI쌍각자궁의 MRI
쌍각자궁의 MRI

- 외부 자궁저 윤곽에서 오목함을 확인할수 있다
- 자궁강이 부분분리되어 있음
- 자궁간 사이 각도 > 105 (둔각)
 

III. 자궁기형의 치료 및 관리

- 자궁경하 중격성형술 : 중격자궁의 경우 임신과 출산을 위해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다
- 나머지 자궁기형의 경우 자연유산과 조산과 관련성이 있을 수 있으나, 반드시 교정이 필요하진 않다.
- 중격자궁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1)자궁바닥의 오목함이 적거나 평평 2) 자궁각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