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류마티스 | 알레르기 12

두드러기와 혈관부종의 기전과 치료 | IgE 매개, Bradykinin 매개 | 항히스티민제

I. 두드러기랑 혈관부종의 정의와 기전 ■ 정의 >>> 국소, non-pitting edema - 두드러기(urticaria) : 진피 상부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경계가 분명하고 창백한 팽진 ▶ 사지와 혈관 위주 - 혈관부종(angioedema) : 피하지방층을 포함한 깊은 층까지 포함한 부종 ▶ 눈 주변 입술 얇은 피부 위주로 ■ 증상- 혈관부종은 눈 주변과 입술에 존재하고, 두드러기는 사지와 얼굴에 위치함 - 대부분 2일 이내에 사라진다, 만약 3일이상 지속될 경우 혈관염 두드러기 - 가려움증이 있지만, 최근사이 생기고 사라지는 양상임 ( 아토피성 피부염)- 부종이 상기도에 나타나는 경우 응급, 그렇지 않으면 self - limited 한 질환 ■ 두드러기 및 혈관부종의 원인1) IgE-depe..

척추관절염(Spondyloarthritis)의 종류 | 강직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 진단, 영상소견, 치료

I. 척추관절염의 정의와 종류 축성척추관절염(axial SpA) : AS (침범부위 : spine, plevis, thoracic cage)말초척추관절염(peripheral SpA) : ReA, PsA, EA■ 특징 - axial arthritis(천장관절염, 척추염) - asymmetrical oligoarthritis : 무릎, 발목에 호발 하는 1-3개의 소수 관절 - RF(-), anti-CCP(-), ANA(-) - 포도막염, 건선,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근골격외 증상 동반 - 골부착부위염(enthesopathy) : 뼈에 부착하는 건, 인대, 근막등에 발생한 염증 - HLA-B27 관련성​■ 척추관절염의 분류와 개별적 특성 ​강직척추염(AS)반응관절염(ReA)건선관절염(PsA)장병성관절염 (E..

염증성 근육병증 | 피부근육염 | 다발근육염 | 봉입체 근염 | DM, PM, IBM

I. 염증성 근염의 정의 및 분류 - 골격근의 염증과 근력저하를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전형적인 피부병변을 보이는 DM 제외하고는 근육생검을 비롯한 복잡한 검사가 필요함.피부근염(Dermatomyositis, DM)다발근염(Polymyositis, PM)봉입체근염(Inclusion body myositis, IBM)중복증후군(Overlap syndrome)항합성효소 증후군(Anti-synthetase syndrome)괴사근육병증(immune mediated NM, IMNM)​II. 염증성 근염의 양상 1} 피부근육염(Dermatomyositis, DM) - Symmetric proximal muscle weakness (대칭적인 근위부 근육의 약화) - 특징적인 피부증상Heliotrope rash : 윗 눈..

베체트병 증상, 진단, 치료 | Bechet's disease | HLA-B51

I. 베체트병의 정의 - 반복적인 구강 및 생식기 궤양, 포도막염, 피부병변을 나타내는 만성 염증성 질환 - 혈관염 질환으로 분류 - 서양 - 10대-30대 호발, 남성이 더 증상이 심한편 II. 임상양상1) 구강궤양(aphthous ulceration) - 1-2주간 발생하는 다발성 & 재발성 궤양, 반흔 없이 치유2) 성기궤양 (>75%) - 남성은 음낭, 여성의 경우 질에 호발 하며, 구강궤양보다 더 깊고 흉터를 남길 수 있음3) 피부병변 (>75%) - 결절성 홍반(erythema nodosum) : 하지에 호발 하는 붉고 융기된 결절, 압통을 동반함 - 가성모낭염, 여드름양 병변 : 얼굴, 목, 가슴에 발생 일반여드름과 구분 어려움 - 초과민반응(Pathergy test) : 바늘을 수직으..

가성통풍(pesudogout, acute CPPD arthritis) | calcium pyrphosphate crystal

I. CPPD 관절염(가성통풍)의 정의 - ​CPP(calcium pyrophosphate dihydrate) 결정이 관절에 침착하여 발생하는 질환 - 고령, 골관절염과 동반된 경우가 많아, 진단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함■ 발생 원인 (대부분 특발성) 1) 고령 2) 대사성 질환 - hyperparathyroidsm(부갑상샘항진) - Hemochromatosis - Hypophosphatasia - Hypomagnesemia - Geitlman syndrome3) 골관절염 또는 관절손상 ​II. CPPD 관절염(가성통풍)의 양상 ■ 무증상 CPPD ■ 급성 CPPD 관절염 - 급성 통풍관절염과 유사하게 발적+열감+급성 단관절염 - 대게 ​큰 관절을 주로 침범 : 무릎(m/c), 손목..

무증상 고요산혈증부터 급성,만성 통풍 치료까지 | 요산저하치료

I. 무증상 고요산혈증의 치료 - 고요산 혈증의 원인 파악과 교정 (약물, 고혈압, 당뇨, 비만, 골수증식, 림프구증식성 질환 확인) - 식이 및 생활습관의 개선 → 체중감량, 수분섭취, 운동, 금연 → 안 좋은 음식: → 좋은 음식 : 무지방 우유, 요구르트, 치즈, 야채, 블랙커피 (요산배설 촉진) ​II. 급성통풍의 치료 - 치료 원칙​ → 절대안정, 빨리 치료할수록 효과적 → 요산 조절 약물을 끊거나, 약물의 용량을 변경하지 않는다 - 약물 치료 1) Colchicine NSAIDs와 glucocorticoids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이용, 24시간 내 투여 부작용: 위장관부작용(A/N/V/D)이 흔하고, 간독성과 신독성이 있음2) NSAIDs 약제: naproxen, indomethacin..

고요산혈증과 통풍(Gout) | 원인, 발병기전, 증상 단계 및 진단 방법 정리

I. 통풍(Gout)이란? ➡️ 고요산혈증을 원인으로 하는 만성대사성 질환, 관절염 - 1) 퓨린대사의 이상 , 2) 요산배설의 장애 → 고요산혈증 - 고요산혈증 → 요산의 결정화 + 백혈구의 탐식 → 관절의 반복적 염증 - 전신 만성대사질환으로 신부전, 요로결석의 발생도 가능 - 남 : 여 = 3-4 : 1 - 국내 유병률 2% (고요산 혈증은 10%) II. 통풍(Gout)의 발병기전 ◈ 핵심은 고요산혈증 ■ 요산의 대사 - 요산 = 퓨린의 최종대사산물, 체내 혈장, 관절액에서는 요산염(monosodium urate) 형태로 존재​함 - 다른 포유류들: Uricase에 의해 allantoin으로 분해 및 배설 → 낮은 요산농도 유지 - 사람: Uricase가 없음. - 음식물 섭취 또는 핵산 ..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제 DMARD와 biologic DMARD | NSAID

I.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 NSAIDs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 - RA의 증상개선 목적 또는 보조적 치료제 - 통증완화, 관절경직의 부분적 완화 가능 - 단, 병의 질병경과를 지연시키지는 못함! - 부작용 : GI (위궤양, 위천공, 위출혈), 신장독성, 혈소판기능장애, 천식악화 - COX-2 inhibitors (~coxib) : 위장관부작용 ↓ , 혈소판기능장애 ↓, 신독성은 동일, CVD risk ↑※ NSAID의 작용기전, 효과, 부작용 알아보기■ Steroid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염증을 빠르게 가라앉히고, bone erosion의 진행을 지연 - 단, 단독사용으로는 질병의 경과에는 영향 X - 증상 조절을 위해 다른 치료제에 단기간 + 보조적으로 사용함. 1} DMARDs의 ..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 | 검사 | 진단기준 | 평가 | RA

I.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 자가면역성 - 만성적인 염증 - 전신적인 질환관절의 활막염(synovitis)으로 시작하여 진행될수록 관절 손상이 나타나는 만성 전신성 염증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의 역학 - 유병률 : 0.5-1.0%, 여성 : 남성 = 3 : 1 (국내에서는 여성 비율이 더 크다) - 40-50대에 주로 발병, 남성의 경우 65세 이후 여성과 비슷한 발병률 ●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 원인 → 정확한 기전은 불명확하나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이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병 추정​II. 류마티스 관절염의 양상 ■ RA의 전구증상 - 피로감, 식욕부진, 쇠약, 모호한 근골격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2/3) - 일부는 비대칭적인 arthritis, 급격한 arthritis로 나타..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과 병태생리 | rheumatoid arthritis pathogenesis

I.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원인■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 활막의 염증과 과증식 - RF(rheumatoid factor), Anti-CCP(anti-citrullinated protein antibody, ACPA) 항체의 생성 - 연골과 골파괴 - 전신적 합병증(​심혈관계, 호흡계, 골격계)​■ 류마티스 관절염의 유전적 요인 (genetic factor) - 일란성 쌍둥이의 15-30% 정도 일치, 이란성 쌍둥이의 5%에서 일치 - HLA-DRB1 유전자가 류마티스 관절염과 연관성이 크다 - anti-CCP(ACPA) 양성 : NF-kB 신호전달과정, T 세포 관련 유전자... (PTPN22, CTLA4...) - anti-CCP(ACPA) 양성은 음성 대비 예후 ↓  ■ 류마티스 관절염과 흡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