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장 - 비뇨기계 5

저칼륨혈증(Hypokalemia)와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정리

1. Hypokalemia■ 증상과 심전도 변화 정의 : K 신경 근육 증상 : 마비, 근위약, 장폐색 ECG: T파 평탄화, U파 강조, QT 연장, ST depression신장증상 : 다뇨, 다음 (ADH 반응저하)glucose intolerance : insulin 분비 감소로 인함 (인슐린이 저칼륨 혈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감소함)알칼로시스 : 저칼륨 혈증시 칼륨 소실로 인해 세포 내 → 세포 외 칼륨이온이동 → 보상적으로 세포 외 → 세포 내 수소이온이동으로 인해 alkalosis가 발생함■ 저칼륨혈증의 감별진단1) 세포내 칼륨의 이동- alkalosis- insulin- β-agonist2) 칼륨의 소실 증가 2-1) 신장외 손실Urine K+ : 위장관산증 : 설사알칼리증 : 구토 2-2) ..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과 고나트륨혈증(Hypernatremia) 정리

1.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정의혈청 Na Na → 중증 → tx. 고장성 식염수(3%, hypertonic saline) ■ 감별 진단1) 혈장 Osmolality저나트륨혈증이 있을 때 가장 먼저 serum osmolality 확인 필요함295 mOsm/kg 이상 : 고혈당, 만니톨 280-295 mOsm/kg 이상 : 고지질혈증, 고단백혈증 280 mOSm/kg 미만 : true hyponatremia (진짜 나트륨 부족으로 인한 저나트륨혈증)2) 소변 Na, Uosm 소변 Osm → primary polydipsia소변 Na = 유효혈장량의 감소 혈량 증가 인 경우 : HF, NS, LC혈량 감소 인 경우 : 구토, 설사, 이뇨제사용, 3rd space loss 소변 Na >..

신장 세뇨관 기능과 이뇨제의 기전과 부작용 | 선천 세뇨관 기능장애와 신세뇨관 산증(RTA)

I. 세뇨관 작용기전과 이뇨제 작용 부위1. 근위세뇨관 (Proximal Tubule)주요 작용Na⁺/H⁺ exchanger, Na⁺-HCO₃⁻ cotransporter가장 많은 양을 재흡수하는 곳 (70%) 가량포도탕, 인, 젖산, 아미노산등 여러 물질 - Na을 동시에 재흡수하는 Symporter 있음작용 이뇨제: AcetazolamideHCO3, Na 재흡수 억제, H 분비를 억제함작용 약물 : SGLT2i Na - Glucose symporter 억제 특징: HCO₃⁻ 배설 증가 → 대사성 산증 유발 가능관련 질환: RTA type 22024.11.16 - [기초의학/약리학] - SGLT-2 억제제의 작용기전 | 효능 부작용 | SGLT2 i SGLT-2 억제제의 작용기전 | 효능 부작용 | SG..

급성 신부전의 정의, 신부전의 원인 감별지표와 치료 | AKI vs CKD

I. AKI (Acute Kidney Injury)의 정의AKI는 다음 두 가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때 진단한다/Serum creatinine 상승Urine output 감소 (이는 급성 신기능 저하를 시사하며, 임상적으로는 기존 CKD(Chronic Kidney Disease)와의 감별이 중요하다.■ CKD와의 감별- AKI : 급성, 가역적일 수 있음, 구조적 이상 X- CKD : 비가역적인 구조적 손상을 동반함, 3개월 이상 abnormal DM, Amyloidosis, Polycystic kidney dz. 신증 제외 양측성 신장크기의 감소를 특징으로 함II. AKI의 분류와 그 원인 1. Pre-renal AKI (60-70%)신관류 저하로 인한 신장 기능 손상 원인: 저혈량, 심박출량..

NSAID 유발 부종 | 사구체 혈류조절 기전관련 부종

I. NSAID 복용 후 부종이 발생하는 기전은?NSAID는 흔히 통증과 염증 조절을 위해 사용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말초 부종(peripheral edema)이 나타납니다. 이는 단순 수분 저류가 아닌, 사구체 혈류 조절 실패로 인한 병태생리적 결과■ 병태생리 요약NSAID → COX 억제 → prostaglandin(PGE2, PGI2) 생성 억제Prostaglandin 감소 → afferent arteriole 수축사구체 관류압 감소 → GFR 저하나트륨·수분 재흡수 증가 → 체액 저류(edema)II. Afferent vs Efferent arteriole 조절 약물/호르몬조절 부위작용Prostaglandin (PGE2, PGI2)Afferent dilatationGFR 유지NSAIDAffe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