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장 50

빈맥성 부정맥의 발생기전 | abnormal automaticity(비정상 자동능) | Triggered activity(방아쇠활동) | Reentry(회귀)

I. 비정상 자동능(abnormal automaticity)■ abnormal automaticity 발생원리 - 정상적인 경우, SA node 세포를 제외한 심방과 심실 근육세포는 휴식기에 전기적 활동 X - 비정상 자동능은 심근세포가 SA node 세포 처럼 휴식기에 스스로 탈분극을 하게되는 것 - 활동전위의 Phase 4의 기울기가 증가함 ​■ 비정상 자동능(abnormal automaticity) 부정맥ex) Paroxysmal atrial tachycardia with block (PAT with block)ex) Accelerated Junctional Rhythm (AJR)ex) ectopic atrial tachycardia (EAT, AT)II. 방아쇠 활동(Triggered acti..

조기박동(Premature complex) | 심방조기수축(PAC)과 심실조기수축(PVC) | R-on-T 현상 | 방실접합부 조기수축(PJC)

I. 심방조기수축(Premature Atrial Complex)■ 심방조기수축(PAC)이란? - PAC는 atrium내 ectopic pacemaking tissue에서 기원한 박동이다. ​ -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p파와 정상적 qrs complex로 이루어져있다. - PAC의 동의어로는 atrial ectopics, atrial extrasystoles(심방기외수축), atrial premature beat, atrial premature depolarisations이 있다. - 정상인에서도 24시간 Holter 검사상 60%이상에서 발견​■ PAC 분류 · Unifocal : single ectopic focus로 PAC의 모양이 같다 · Multifocal : 다양한 P-wave의 형태가 나타남..

PSVT(발작성 심실상성빈맥) | AVNRT | orthodromic AVRT | antidromic AVRT | 발생원리 심전도소견 치료

I. PSVT란? PSVT(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히스속 상방 죽, 심방 또는 방실 결절에서 발생하는 심실상성 빈맥이 갑자기 발생하고 또 갑자기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SVT (심실상성 빈맥)는 narrow QRS 이지만, 상방 표를 참고하면 1) SVT + 조기흥분(▶자세한 내용)에서 발생하는 2) SVT + 각차단이 동반되어있는 경우 그리고 3) antidromic AVRT에서는 wide QRS로 나타날 수도 있다. PSVT는 크게 1) AV node(방실결절,AVN)을 통한 AVNRT(방실결절 회귀성 빈맥) 과 2) AV node 바깥의 부전도로를 경유하는 AVRT(방실 회귀성 빈맥)으로 나누어진다.​II. AVNRT(방실결절 회귀성 빈맥)■ 역학 - AVNRT는 정상심장구조를 갖는 환..

빈맥의 치료 | 전기율동전환 (DC cardioversion)의 적응증 - tachycardia with a pulse algorithm

■ 빈맥에서​ Synchronized cardioversion의 적응증저혈압급성 의식변화쇼크의 징후 허혈성 심장질환 흉부불편감급성심부전 ⇒ Unstable SVT(A.fib, A.flutter)⇒ Unstable regular monomorphic tachycardia with pulse​■ Unsynchronized shock을 하는 경우Pulselesssevere shock, polymorphic VT​■ Stable narrow qrs tachycardia (Vagal menuversAdenosineβ-blocker, CCB(Verepamil, Diltiazem은 천식환자에서 이용가능)(저혈압이 있는 경우 Digoxin 이용가능)

WPW syndrome(조기흥분증후군, Wolff Parkinson White syndrome)의 발생원리, 심전도, 치료 | delta wave(델타파), AF

I. WPW syndrome (Wolff-Parkinson-White)의 발생원리와 심전도■ WPW 증후군 병태생리조기흥분증후군(pre-excitation syndrome, 이하 WPW syndrome)은 선천적인 부전도로가 존재하여 AV node를 통하지 않고 부전도를 통해 전기신호가 심방과 심실에 전달되어 조기흥분하는 것이다. 이러한 Pre-excitation이 심전도에서 나타나며, tachyarrhythmia와 관련이 있다. 부전도로의 방향과 위치 따라 심전도가 다르다.▶ 부전도로의 방향 - 양방향 전도(m/c) - Retrograde only(심실→심방) : 15% - Anterograde only(심방→심실) : Rare▶ 부전도로의 위치 - Left side : type A WPW - Righ..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과 심방조동(atrial flutter, AFL)의 진단, 치료, 발생기전, 심전도소견

I. 심방세동이란?■ 심방세동의 역학과 위험 - 가장 흔한 지속성 부정맥. 국내 2015년 심방세동 유병률은 1% 전후 -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 - 허혈성 뇌졸중 원인의 20-30% → 심장으로부터의 혈전색전증, 동반된 혈관의 동맥경화에 의함 - 심방세동 환자의 20-30%는 심부전 동반→ 빠른 심박수, 불규칙한 심실수축등에 의해 발생 또는 원발성 질환 때문 - 인지기능저하, 혈관성 치매​는 1.5배 위험도 → 미세색전증, 관류저하, 염증, 뇌백질 병변 - 심방세동 ➡️ 60% 이상의 환자들에게서 삶의 질이 떨어진다.​■ 심방세동의 발생기전​● Focal activation Left atrium 근방과 폐정맥 입구에서 ectopic action potential 이 발생 (automaticit..

Narrow QRS Tachycardia | 심방조동 vs 심방세동 vs 심방빈맥 vs 동빈맥 심전도 | 심실상성빈맥의 심전도 소견과 원리

I. 좁은 QRS 빈맥 (narrow QRS tachycardia)Narrow QRS tachycardia는 좁은 QRS간격( 을 말한다. AV node(방실결절) 자체 또는 그 상방에서 전기신호가 기원한 것이다.위에 칠해진 심전도 소견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II. Narrow QRS tachycardia의 심전도 먼저, QRS 간격이 불규칙한지 안 한 지 확인한다. ​1) 규칙적인 리듬1-a.) Sinus tachycardia(동성빈맥)● 심전도 소견 - QRS파 앞에 P파가 나옴 - P 파의 모양이 정상적이고 균일하다.(이후 심방빈맥과 감별점) - 규칙적인 RR 간격, Narrow QRS● 원인 - 발열, 체액소실, 불안, 운동,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혈압등 생리적 반응 - β-agonist, 교감..

[항부정맥제(2)] - 부정맥 약물의 종류, Class, 작용부위 및 기전, 부정맥약물의 적응

♣ 항부정맥 약물의 class , 종류, 작용항부정맥제의 전체적인 종류와 원리에 대해서는 저번 게시글에서 설명하였다.Class작용부위종류작용IANa 채널QuinidineProcainamideDisopyramidePhase 0 탈분극 속도감소활동전위 기간 증가IBLidocaineMexiletinePhase 3 재분극 기간 단축활동전위 기간 감소ICPropafenoneFlecainidePhase 0 탈분극 속도의 큰감소 활동전위 변화없음II베타수용체 차단AtenololEsmololMetoprololSA node, AV node에서 Phase 4 탈분극을 억제IIIK 채널AmiodaroneDofetilideDronedaroneIbutilideSotalolPhase 3 재분극 기간을 연장한다IVCa 채널Dilt..

[항부정맥제(1)] - 부정맥의 발생원리 | abnormal automaticity(비정성자동능) , reentry(회귀)

I. 부정맥이 생기는 이유?​1) 비정상 자동능정상심장에서는 SA node가 전기신호를 만들고, 다른 세포들은 억제되는 것이 정상적이다. 하지만 모종의 이유(▶추가설명 링크)로 SA node가 아니라 다른 심장세포가 자동능 얻고 전기자극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비정상 자동능에 의한 부정맥이 발생한다. 항부정맥제들은 Na채널 또는 Ca채널을 막아 안정막전위를 낮추거나, 역치전위를 올려 비정상자동능을 억제한다. 이러한 항부정맥제의 작용은 정상세포보다 이소성박동세포에서 효과가 더 크다.​2) 전도경로의 이상 정상적으로 전기신호는 하방으로 내려올때, 분지되어 내려온다. Reentry에 의한 부정맥은 1) 심근세포의 손상 또는 2) 불응기가 길어질때, 한쪽 경로가 막히게 되고 비정상적인 전도경로가 발생..

서맥의 응급치료 - Bradycardia algorithm AHA 2020

I. 서맥 응급치료심박수가 50미만일 경우, 평가가 필요하며 기본적인 조치를 완료한다. 아래 응급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관찰하면된다,​■ 응급조치가 필요한 경우1) 저혈압2) 급격한 의식변화3) 쇼크의 징후 4) 허혈성 흉부 불편감5) 급성심부전​■ 응급 조치 1) Atropine IV 투여2) Atropine의 효과가 없는경우, Dopamine/Epinephrine을 사용할수 있다.3) Transcutaneous Pacing 역시 고려가능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