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장 50

[심장전기생리학] - 동방결절의 활동전위, SA node action potential, funny current , non pacemakers cells와 차이점,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심박수 조절, Ivabradine의 기전

I. 동방결절의 활동전위 심근세포(non pacemakers)의 활동전위  ▶ https://medhamstern.tistory.com/78 ■ Phase 4 - Slow depolarization by funny current (느린탈분극) - If(pacemaker current = funny current)는 동방결절이 자동능을 갖게 해줌   → 세포내 느린 Na+ 유입 : mixed sodium-potassium current - 동방결적 막전위가 과분극시 활성화됨( -60mV ~ -40mV에서 활성화) ■ Phase 0  - L type Ca 채널의 작용 - 느린 탈분극기  ■ Phase 3 - 점진적인 재분극 - Ikr Iks inward-rectified K 채널의 작용  II. non-pa..

[심장전기생리학] - 심근세포의 활동전위 , non-pacemaker cells action potential, cardiac ion channel

◈ 심근세포의 활동전위 심장근육세포의 탈분극과정에 대해서 알기전에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Na이온과 Ca이온 Cl이온의 경우 세포외부에 더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통로가 열린다면 세포내부로 들어온다. 반대로 K이온의 경우 세포내에서 세포외부로 나간다.  1) Phase 4-90mV의 전위를 유지하는 구간으로, 안정막전위(resting potential)이다.iKr(inward-rectifier K channel)에 의해 낮은 안정막전위를 유지한다.  iKr채널의 경우 안정막 전위가 낮을때, K이온에 대한 투과도가높다. 따라서 phase4 기간동안 세포내 → 세포외로 칼륨이 이동이 발생하고, 이는 심근의 안정막세포전위에 기여한다. 참고로 이후 살펴볼 동방결절세포의 경우 iKr채널이 없어 안정막전..

[서맥성부정맥(2)] - 방실차단(AV block)의 심전도, 완전방실차단, 이탈박동 | Escape beat, Mobitz type AV block

I. 이탈박동(escape beat)란?■ 정의 정상적인 심장에서는 SA node가 자극형성을 담당한다. 이탈박동은 SA node가 아니라, 동결절 이하 AV node or His속 or 심실에서 자극형성을 담당하는 것을 말한다.  ■ 발생원리 SA node → 60-100회/분AV node or His속 → 60-40회/분심실내 → 20-40회/분심장의 자극전도계는 하방으로 갈수록 자발적탈분극의 속도가 느려진다. 동방결절의 빠른 자발탈분극이 이소성(Ectopic)심박동세포를 억제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는 SA node가 자극형성을 담당한다. 따라서 1) SA node의 자발적 탈분극 속도가 느려지거나, 2) SA node의 자극이 동방차단/방실차단에 의해 잘 전달되지 않을 경우 이탈박동이 발생한다. ■ ..

[서맥성 부정맥(1)] - 동결절 기능장애(sinus node dysfunction) | sinus arrest, sinus exit block, tachycardia-bradycardia syndrome, 동서맥

I. 동결절 기능장애(sinus node dysfunction)■ 종류 ● 동서맥(sinus bradycardia)  EKG: 심박수 정상동조율을 보이지만 심박수만 정상인 보다 느림.원인: 운동선수, 노인(idopathic degeneration) 에서 발견가능, 갑상선기능저하증, 장티푸스열 (Typhoid fever), 미주신경성실신(vasovagal syncope), 저산소증 ​ ● 동정지(sinus arrest) EKG: 3초이상 P와 QRS 군이 모두 없음동정지기간동안 PP간격이 정상 PP간격의 배수X​ ● 동방차단(sinus exit block) 동방차단은 SA node에서는 신호가 발생했으나, 주위조직으로 전기신호가 전도되는 과정 장애1도 동방차단: 주위조직으로 전도속도 저하⇒ EKG: 확인..

우각차단(RBBB)와 좌각차단(LBBB)의 심전도 소견 | 각차단 심전도의 원리 | bundle branch block

I. 우각 차단의 심전도 ■ 원리   (1) 정상적 중격의 탈분극 진행 (Left to Right)(2) Left bundle branch 따라서 좌심실 탈분극이 먼저 진행(3) 우심실 탈분극이 가장 마지막으로 진행​■ RBBB(우각차단)의 심전도   ◈ V1 심전도 - QRS widening > 120 ms - RSR' pattern(토끼귀 모양, Rabbit = RBBB) - T wave inversion (1) 중격파 → V1유도 방향 (2) 좌심실 탈분극 흐름 → V1유도 반대방향 (3) 마지막에 한번에 우심실이 탈분극 → V1 유도 방향 ◈ V6 심전도 - slurred S wave in V6 (3) 마지막에 한번에 우심실이 탈분극이 되면서 깊고 넓은 S파가 나타난다. {좌심실전도 → 우..

사람의 대동맥 발생학 _ 중복 대동맥궁(Double aortic arch) + 악어의 대동맥

I. 동물의 심장포유류/조류2심방-2심실파충류2심방-불완전2심실양서류2심방-1심실어류1심방-1심실포유류와 조류는 완전한 2심실 구조를 갖고있다. 이는 심실내에서 정맥혈과 동맥혈이 섞이지 않기 때문에 다른 동물대비 효율성이 좋고, 강한 좌심실압력이 연약한 폐동맥으로 전달되지 않아 강한 압력으로 멀리까지 혈액을 보낼수 있다. 이는 포유류의 몸집이 커질수 있는 이유이다.  그런데 악어의 심장은 조금 특이하다. 파충류이지만 완전한 격벽으로 심실이 나뉘어져있다는 점이다. 악어가 조류로 넘어가기전 파충류에서는 가장 진보적인 심장을 갖고 있다.  악어순환계의 정말 특이한점은 악어는 대동맥이 두개이고, 폐동맥 → 대동맥으로 혈류를 조절할수 있다는 것이다. 평소 물밖에 있을때는 우심실 → 폐동맥 → 폐로 산소교환을 한다..

[ECG 기초정리(4)] - 심전도 QRS파의 형성, 병적Q파 (pathologic Q wave), 전기흐름의 방향, QRS duration

I. 심장의 전기흐름순서 AV node에 도달한 전기흐름은 2) Bundle of His - 3) Left/Right Bundle branch - 4) Purkinje fiber로 흐른후 심실근육세포로 전해진다. 아래 심전도 그림을 확인하면 심방 탈분극이후 보이진 않지만 His-BB-Purkinje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있다. II. QRS 파■ QRS wave duration심실에 도달한 전기신호는 세밀한 Purkinje fiber 덕분에 심실 내막에서 외막까지 빠르게 펴져나갈 수 있다. 이는 심실의 탈분극이 매우 빠르게 일어날수 있는 이유이다.⇒ 정상적인 심실 탈분극시간 (QRS 기간)은 80ms이내​■ q wave 의 발생    앞서 심실의 탈분극 전에 심실 중격에 전기신호가 먼저 도달함..

[ECG 기초정리(3)] - 심전도 P파의 형성, 좌심방비대, 우심방비대 심전도 소견, 정상 동조율의 정의, normal sinus rhythm

I. 심방 전기의 흐름  우심방에 위치한 동결절에서 부터 심방은 탈분극된다. 심방의 탈분극은 우심방부터 시작하지만 우심방이 탈분극이 마무리되기전에 좌심방도 탈분극을 시작한다(사진에서 t2참고). 이후 좌심방끝까지 탈분극되면 심방의 탈분극 과정은 종료된다. 심방탈분극 순서: (SA node → RA탈분극 → LA탈분극 → RA탈분극종료 → LA탈분극종료)심전도에서 P파전 아무것도 보이진 않지만 동결절(S)에서 전기신호를 만든다. 이후 심방이 탈분극하며 만들어내는 파형이 P파(A)이다. 앞서 설명한대로 심방의 탈분극은 우심방부터 시작하고 좌심방이 늦게 시작하고 늦게 끝난다. ​♠ P파의 의미 - P파의 시작 : 우심방 탈분극의 시작 - P파의 최대 : 우심방&좌심방 모두 탈분극중인 구간 - P파의 끝 : 좌..

[ ECG 기초정리(2)] - 흉부유도 심전도의 원리, 우심실비대, 좌심실비대 심전도소견

I. 흉부 유도의 의미와 위치    심전도 기초 1편보러가기  ▶ https://medhamstern.tistory.com/67    전 글에서 사지유도는 심장을 정면에서 본 평면(frontal plane) 을 기준으로 심장의 전기 방향을 분석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흉부유도는 사지유도와 달리 심장을 머리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transverse plane)을 기준으로 심장의 전기방향을 분석하는 유도 이다. 만약 등 → 가슴으로 튀어나오는 전기신호가 있다면, 사지유도에서는 잘 관찰되기 어렵겠지만, 흉부유도에서는 잘 관찰될것이다. ♠ 심장의 위치복장뼈(sternum)를 기준으로 심장이 오른쪽에 우심방:우심실이 있고 왼쪽에 좌심방/좌심실이 있다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아래 표가 정확한 심방/심실..

[ ECG 기초정리 (1) ] - 심전도 기초설명, 심전도의 원리, 사지유도 정상심전도

I. 기초적인 지식심근세포만의 탈분극이나, 동결절세포의 활동전위등등.. 순환생리에서 부터 설명할 내용은 너무 많지만, 그런 내용들은 나중에 기회가 되면 정리해보려 한다. 이번 글에서 심전도를 측정하는 원리와 사지유도 심전도에 대해서 소개하려한다. 심전도를 기초부터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예전에 심전도를 처음 마주쳤을때를 되돌아보면 너무나 혼란스러웠던 기억이 난다...) 내용들은 주로 '노태호의 알기쉬운 심전도' 내용을 많이 참고해서 적었다. 정말 유명한책이고 닉값대로 보기 쉬운책이라 제대로 공부하고 싶으면 사는것을 추천한다. 꼭 알아야하는 기본적인 내용이 있다. {1} 심근세포가 탈분극하면 심근세포의 전위는 (+)가 되고, 재분극이 되면 (-)가 된다는 것.{2} 심근세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