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장 50

제한성 심근병증 (Restrictive cardiomyopathy, RCMP)의 원인, 양상, 검사, 치료 | 교착성심낭염

■ RCMP(제한성 심근병증)의 원인Infiltrative amyloidosissarcoidosisGaucher's (glucocerebroside macrophage)Hurler's (mucopolysaccharide marcophage)neoplastic infiltrationStoragehemochromatosisFabry'sglycogen storage diseaseFibroticRadiationsclerodermadoxorubicinMetabolicCarnitine deficiencyFatty acid metabolism defectsEndocardial endomyocardial fibrosishypereosinophilic syndromecarcinoid syndromeradiationalI..

심장 2025.02.02

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P)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치료

I. DCMP의 원인과 병태생리 - 심실의 수축기능 장애로 인한 심실의 확장과 그로 인해 심부전이 발생함. - systolic dysfunction원인Idiopathic DCMP (50%)Familial (>30%) TTN gene (tinin) AD 유전ARVC, ARVDInflammatory myocarditis (9%)감염 : viral(제일흔함), bacterial, TB, parasite, fungal, HIV-related비감염 : peripartum, SLE, hypersensitivity, Transplant rejection,granulomatous inflammatoryIschemic cardiomyopathy (7%) Hypertension (3%) Toxicalcocholic ca..

심장 2025.01.31

심부전(Heart failure)의 정의와 진단 | 2022 심부전 진료지침 | 대한심장학회 심부전(1)

I. 심부전의 정의와 원인심부전은 심장의 기능적 이상 또는 구조직 이상으로 인해 심실의 혈액 박출의 이상(⇒수측능저하) 또는 충만의 이상(⇒이완능저하)이 발생하여 말초기관에 필요한 만큼 산소를 전달하지 못하고 여러 증상과 징후가 생기는 임상 증후군☞ 구조적이상 ex) 심실의 비대, 심방의 비대☞ 기능적이상 ex) 수축기능의 저하, 이완기능의 저하 ​■ 심부전의 원인 - 허혈성 심질환 (37.6%) - 심근병증 (20.6%) - 판막질환 (14.3%) - 빈맥연관 (10.6%) - 고혈압연관 (4.0%)​II. 심부전의 증상과 진단■ 심부전의 증상 1) 폐울혈에 의한 증상 - 호흡곤란 (병에 진행에 따라 말기에는 휴식시 호흡곤란 발생) - 기좌호흡 : 누워있으면 호흡곤란이 심해짐 , Paroxysmal n..

심장 2025.01.30

비후성심근병증 청진소견과 심전도| HCMP 심잡음 | Apical HCM

I. 비후성심근병증의 정의와 병태생리 ■ 비후성심근병증의 정의 - LVH의 유발인자(고혈압, 판막질환)와 좌심방의 확장없이 좌심실의 벽이 두꺼워진것 - 고혈압 및 판막질환이 있는경우 심근자체의 문제라기보다 혈역학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remodelling 된것으로 일반적으로 심방의 변화도 같이 발생한다. ■ 비후성심근병증의 병태생리· 비대칭적인 심근 비대 :asymmetric septal hypertrophy = anterior interventricular septum 비대 · 이완기능의 장애 : 심근의 비후로 인해 심장애 혈액을 채우기 힘들어지고 이로인해 EF and CO 감소 · 심근허혈· Left ventricle outflow tract ( LVOT, 좌심실유출로)의 pressure grad..

심장 2025.01.29

Polymorphic VT(PMVT) | 다형심실빈맥 | Torsade de Pointes(TdP)의 심전도 | 치료 | long QT syndrome

I. Polymorphic VT (다형심실빈맥, PMVT)의 정의와 종류■ 정의 - 심실 빈맥의 포커스가 여러개이기 때문에, QRS의 진폭, 축, 기간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심실빈맥 - monomorphic VT 보다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며, 심근혀혈/경색이 가장 주된 원인■ 종류1) Torsade de pointes (PMVT with QT prolongation) - 긴 QT 간격이 선행하는 다형심실빈맥의 특이적 형태2) PMVT with normal QT intervaL - QT 간격이 길지 않은 다형심실빈맥, 기질적 심장질환의 여부 또는 각각의 원인에 따라 분류 - Ischemic / Exercise / Genetic / Unknown (운동유발성, 유전관련, 기타 다형심실빈맥은 따로 소개할..

congenital long QT syndrome | 발생원리 치료 | Torsades de pointes

I. congenital long QT sydrome (선천성 QT 연장증후군) 이란?선천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QT 간격연장과 관련 다형심실빈맥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congenital long QT sydrome의 정의, 종류 - 유전적 이상으로 인해 심근세포의 재분극기에 이상이 발생 - QT interval의 연장과 심실부정맥(주로 Torsade de pointes)의 발생 - 원인 유전자의 종류, 청력장애의 유무, 유전양상에 따라 분류 할 수 있음■ long QT syndrome 이 Torsades de pointes 부정맥이 되는 원리 - 길어진 활동전위 후기에 발생한 early depolarization 발생 - 비정상적인 QT 간격이 갑작스러운 심박수 변화에 적응 하지 못하여 발생함..

용적-압력곡선 | pressure-volume loop | 심장의 일 | 순환생리학 | 심부전 과 판막질환의 용적-압력곡선

I. 심장의 일■ 심박출량 용어 정리CO(심박출량) = SV(일회박출량) X HR(심박수)1) 심근수축력2) 전부하(Preload) : 심근 수축 시작전에 걸려있는 장력3) 후부하(afterload) : 심근 수축을 방해하는 부하​SV = EDV(end-diastolic volume) - ESV(end-systolic volume)일회박출량(SV)은 심장이 1회 박동할때,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량으로 심실의 최대용적과 최소용적의 차​■ 심장에서 에너지 사용 - 1) 용적-압력일(volume-pressure work) - 2) 혈류운동에너지(kinetic energy of blood flow)대부분의 에너지는 정맥에서 동맥으로 혈액을 이동시기키 위한 용적-압력일에서 사용되고, 판막을 통해 혈액을 가속하는 ..

Idiopathic VT (특발성 심실빈맥) | outflow tract VT(유출로 심실빈맥) | Fascicular VT (섬유속 심실빈맥) 의 심전도 치료

I. Idiopathic VT (특발성 심실빈맥) 이란? - 정의 : 구조적 심장질환이 없으면서 monomorphic VT가 발생하는 것 ⇒ VT의 10% - monomorphic VT의 90%는 구조적심장질환(IHD, 선천성심질환, 판막장애)로 인해 발생함 - Idiopathic VT 중에서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 75-90% - Idiopathic VT 중에서 Fascicular VT ⇒ 10-25%II. Outflow tract VT (유출로 심실빈맥, Adenosine-sensitive VT)■ Outflow tract VT 양상​ - idiopathc VT 의 가장 흔한 원인 - 80%정도는 RVOT-VT(우심실 유출로)기원, 20%정도..

제3심음(S3)과 제4심음(S4) 심음의 의미, 발생원리 | E/A ratio 비율 | Transmitral Doppler Velocities

제3심음, 제4심음을 알기전에 Transmitral Doppler velocities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한다.  I. Transmitral Doppler velocities과 E/A ratio Transmitral Doppler velocities 란 심첨부(apex)에서 탐침자를 가져다 댄후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넘어오는 혈액의 흐름을 관찰한것을 말한다. 심방에서 심실로 이동하는 혈액의 흐름과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 심방에서 심실로의 혈액이동 기전 1) 심방-심실간의 압력차로 인해 심방에서 심실로 피가 이동한다 = E wave2) 심방의 수축으로 인해 피가 심실로 이동한다 = A wave  크게 심방에서 심실로의 혈액 흐름은 이완기초기에는 압력차(pressure gradient)에 의한 이동이 ..

Monomorphic VT |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의 정의 심전도 치료 | VT vs SVT 감별 | Brugada criteria

I.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의 정의와 분류 ◆ 3개 이상의 PVC(심실조기박동)이 100회/분의 이상속도로 연속에서 나타나는 것 1st : stable VT vs unstable VT (저혈압, 흉통, 심부전, 의식의 저하)          ⇒ 초기 치료를 결정하는데 중요함 2nd: 심실빈맥의 지속시간          - Sustained VT : 30초 이상, 개입이 필요한 상태임          - Non-sustained VT : 30초 미만, 지속형 대비 기저심질환이 없는 경우가 많음 3rd : 심실빈맥의 형태        · Monomorphic VT ​         · Polymorphic VT         · Fascicular VT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