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학/부정맥

WPW syndrome(조기흥분증후군, Wolff Parkinson White syndrome)의 발생원리, 심전도, 치료 | delta wave(델타파), AF

medhamstern 2025. 1. 4. 21:41
반응형

I. WPW syndrome (Wolff-Parkinson-White)의 발생원리와 심전도

WPW syndrome
WPW 증후군에서 부전도로(accessory pathway, AP)

■ WPW 증후군 병태생리

조기흥분증후군(pre-excitation syndrome, 이하 WPW syndrome)은 선천적인 부전도로가 존재하여 AV node를 통하지 않고 부전도를 통해 전기신호가 심방과 심실에 전달되어 조기흥분하는 것이다. 이러한 Pre-excitation이 심전도에서 나타나며, tachyarrhythmia와 관련이 있다. 부전도로의 방향과 위치 따라 심전도가 다르다.

▶ 부전도로의 방향

- 양방향 전도(m/c)

- Retrograde only(심실→심방) : 15%

- Anterograde only(심방→심실) : Rare

▶ 부전도로의 위치

- Left side : type A WPW

- Right side : type B WPW

■ WPW 증후군 심전도의 발생원리

- PR interval의 감소: 부전도로를 통한 빠른 전도 때문에 짧아진다

- QRS 기간의 증가: 부전도로를 통한 빠른활성 + 정상전도 심실활성의 융합으로 인해.

- delta파 : 부전도로 인해 활성은 빠르나 이후 심실탈분극은 느리기때문에 느린 상승파 발생

■ WPW의 동율동 심전도 소견

WPW syndrome ECG
WPW in sinus rhythm 심전도 : 붉은색: delta δ 파

- PR interval < 120ms

- Delta wave, QRS 연장 ( > 110ms)

- ST segment, T-wave change

- 환자의 70%정도, pseudo-infarction pattrern

● WPW의 분류

▶ WPW type A left-sided (부전도로가 왼쪽)

type A WPW
type A WPW

 

WPW syndrome type A ECG
WPW 타입 A
  • 기본적인 WPW 심전도 특징이 있음
  • V1-3에서 R wave의 상승과 T파의 역위 - 우심실비대 심전도 유사
  • aVL 에서 negative delta wave는 Q파와 유사함, pseudo-infarction pattern이라 함

▶ WPW type B right-sided (부전도로가 오른쪽)

WPW syndrome type B ECG
type B WPW
WPW syndrome type B ECG
WPW 타입 B

 

  • 기본적인 WPW 심전도 특징이 있음
  • V1 유도에서 dominant S파
  • V4-6에서 높은 R파와 T파의 역위 - 좌심실비대 심전도유사

※ WPW의 특징이 안보이는 WPW 증후군 (concealed pathway)

부전도로를 갖고있는 환자들중 15%는 Retrograde only pathway를 갖고있다. 이런경우 심방→심실에서 조기흥분되지 않아 pre-excitation의 특징이 보이지 않는다. 정상 동율동리듬에서는 WPW 심전도의 특징이 보이지 않지만. retrograde 한 방향으로 re-entry circuit를 형성하여 빈맥성 부정맥을 겪을수 있다.

II. WPW 증후군관련 부정맥

WPW 증후군 자체로는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 WPW증후군에서 합병되는 부정맥이 있음

 

● 방실회귀빈맥(AVRT, WPW with PSVT)

부전도로 때문에 구조적으로 WPW 환자에서 AVRT가 더 잘 발생함.

- 정방향(Orthodromic, m/c) AVRT : 규칙적인 narrow QRS complex

- 역방향(Antidromic) AVRT : 규칙적인 wide QRS complex로 VT(심실빈맥)과 감별필요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WPW with AF)

- WPW 환자의 20%에서 발생

- 심방세동이 부전도로로 전도될경우 VF(심실세동)을 유발할수 있어 위험

(정상적인 심장의 경우 AV node에서 심실세동전기신호를 걸러 심실로 전달해주기 때문에 심방세동이 심실리듬에 큰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WPW증후군의 경우 부전도로의 존재로 인해 더 위험하다.)

 

* WPW with AF의 심전도 소견

WPW syndrome with Atrial fibrillation

- 200 bpm 이상 심박수

- 불규칙하고 wide 한 QRS

- subtle beat to beat variation in QRS morphology (약간 변화하는 QRS파 모양)

- Polymorphic VT와 달리 축(axis)는 stable함.

 

III. WPW 증후군의 치료

1] 증상이 없으면 경과관찰

(단, 부정맥이 동반시 치료 필요함)

2] WPW with PSVT

- 미주신경자극술 (발살바요볍, 경동맥마사지)

- IV adenosine

- IV beta blocker or calcium channel blocker

- 재발시 RFCA(고주파 도자 절제술)치료

3] WPW with AFib

- 혈역학적 불안정 : DC cardioversion

- 혈역학적 안정: Procainamide(class IA) or ibutilide(class III) 항부정맥

- 급성기 치료 이후 RFCA(고주파 도자 절제술)치료

- 금기: 베타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 아데노신, 디곡신, 아미오다론은 사용 불가

(위 약들은 AV node를 차단 → 부전도로를 통한 전도가 증가→ VF,VT의 이행 위험성 증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