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심전도 | 부정맥

[항부정맥제(2)] - 부정맥 약물의 종류, Class, 작용부위 및 기전, 부정맥약물의 적응

medhamstern 2024. 12. 31. 10:18
반응형

♣ 항부정맥 약물의 class , 종류, 작용

항부정맥제의 전체적인 종류와 원리에 대해서는 저번 게시글에서 설명하였다.

Class
작용부위
종류
작용
IA
Na 채널
Quinidine
Procainamide
Disopyramide
  • Phase 0 탈분극 속도감소
  • 활동전위 기간 증가
IB
Lidocaine
Mexiletine
  • Phase 3 재분극 기간 단축
  • 활동전위 기간 감소
IC
Propafenone
Flecainide
  • Phase 0 탈분극 속도의 큰감소
  • 활동전위 변화없음
II
베타수용체 차단
Atenolol
Esmolol
Metoprolol
  • SA node, AV node에서 Phase 4 탈분극을 억제
III
K 채널
Amiodarone
Dofetilide
Dronedarone
Ibutilide
Sotalol
  • Phase 3 재분극 기간을 연장한다
IV
Ca 채널
Diltiazem
Verapamil
  • SA node, AV node에서 활동전위를 차단한다
기타 항부정맥 약제
Adenosine
Digoxin
Mg sulfate
 

I. Class I 항부정맥제

Class I 항부정맥제전압의존나트륨통로(Voltage-senitive sodium channel, 이하 Na채널)에 작용한다. Class I 약물들은 재분극기의 Na채널보다 탈분극기의 Na통로에 더 빠르게 결합한다. 이는 자주 재분극하는 세포에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낮고 정상적인 빈도로 박동하는 심장에 영향없이, 고빈도 탈분극 하는 이상세포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use dependancy라고 한다.

[Class IA 항부정맥제]

항부정맥제 class IA
class IA

■ 작용 기전

- Na채널에 결합하여 Na 유입을 억제 Phase 0 탈분극 속도감소

- K채널에도 영향 → Phase 4 재분극 연장

■ 결과

- 탈분극속도저하

- 활동전위기간증가, 유효불응기증가

■ 약제

● Quinidine

- 약한 α-수용체 차단효과와, 항콜린 효과 존재

- Atrial, AV junctional 심실상성 빈맥에서 심실반응조절

- 심실빈맥, 심실주기외수축 감소

- 부작용: 시야흐림, 이명, 두통, 정신증

● Procainamide

- α차단효과 X, 항콜린효과 적음

- acute atrial or ventricular 부정맥에 이용가능함. (아미오다론, 전기율동전환이 더 많이 이용됨)

- 부작용: 저혈압

● Disopyramide

- α차단효과 X, 항콜린 효과 강함, 심근수축력감소효과 → 말초혈관수축효과

⇒ Systolic Heart failure에게 심근수축력을 줄여줌

- 심실부정맥치료, 심방부정맥에서 동율동유지로 이용가능

- 부작용: 항콜린성(구강건조, 소변저류, 시야흐림, 변비)

[Class IB 항부정맥제]

항부정맥제 class IB
class IB

■ 작용기전

- Na 통로와 빠르게 결합하고 빠르게 분리되는 특성으로 심근세포의 빠른재분극을 만든다.

■ 결과

- 활동전위기간 감소

- Phase 3 재분극 기간감소

■ 약제

● Lidocaine

- 급성 심실성빈맥에 사용, 아미오다론과 병합하여 사용하기도 함.

- AV junction or Atrial 기원 부정맥에는 효과 없음.

- 넓은 TI를 갖고 있다. CNS 부작용발생가능함

● Mexiletine

- 만성적인 심실부정맥에 치료가능

- 좁은 TI를 갖고 있기 때문에 CYP2D6 약물과 상호작용을 주의해야 한다. 위장관계 부작용이 흔함

[Class IC 항부정맥제]

항부정맥제 class IC
class IC

■ 작용기전

- 휴지 중인 Na 채널과 느리게 분리되는 특성이 있고, 정상 심박수에도 효과를 보인다.

- 구조적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 위험.

(구조적 심장질환 : 좌심실비대(LVH), 심부전(HF), 죽상경화성심장질환)

■ 약제

● Flecainide

- 모든 심장 조직에서 Phase 0 탈분극 속도를 '크게 느리게'하며, 활동전위기간에는 변화 X

- 심방세동/심방조동에서 동율동 유지 (단, 구조적 심장질환 X)

- 심실빈맥의 치료 (단, 구조적심장질환 X)

Propafenone

- Phase 0 탈분극속도가 크게 느려진다

- K채널도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활동전위 기간을 연장한다.

- 심실상성부정맥 (단, 구조적 심장질환 X)

- 심근수축력을 떨어뜨리는 작용이 있어 만성심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음.

- β 차단 효과가 있어 천식의 악화, 서맥의 악화 가능.

II. Class II 항부정맥제

 

항부정맥제 class II
class II

■ 작용원리

- Phase 4 탈분극을 감소시켜, 자동능을 억제하고 AV conduction을 연장한다.

- 심근수축력감소, 심박수저하

■ 약제

- 심방세동, 심방조동, AV nodal reentry tachycardia와 같이 심실상성빈맥 치료

Metoprolol : 선택적 차단제로, 기관지수축부작용 X

Propranolol

Esmolol : fast onset, short acting

III. Class III 항부정맥제

Class III 약제는 K채널을 억제한다. 이는 심근세포 재분극 기간 동안 칼륨의 방출을 억제하고 활동전위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활동전위기간 연장에 따라 유효불응기가 늘어난다. 전도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항부정맥제 class III
class III

■ 약제

● Amiodarone

- 복합적인 효과가 있다. class I, II, III, IV의 효과를 모두 보임

- α 차단효과도 있다.

- 심각한 불응성 심실상성/심실성 빈맥에 이용.

- 부작용: 폐섬유화, 심경병증, 간독성, 각막침착, 시신경염, 갑상선기능이상 등 다양함.

● Dronedarone

- 아미오다론과 유사한 약제

● Sotalol

- Class III 항부정맥효과 + 비선택적β차단효과

- 심방세동/심방조동에서 동율동유지

- 불응성 심실상성빈맥과, 심실빈맥에서 이용

- 좌심실비대 또는 죽상경화성 심질환자에서 주로 이용(β차단효과)

- 신장배설약제로 신기능저하환자에서 유의, QT 간격의 관찰이 필요하다.

● Dofetilide

- K통로만 차단하는 Pure Potassium channel blocker

- 심부전 또는 죽상경화성 심장질환자에서 심방세동 지속 시 이용

● Ibutilide

- K채널과 함께 inward sodium 채널의 차단효과가 있음(class IA + III)

IV. Class IV 항부정맥제

항부정맥제 class IV
class IV

혈관평활근과 심장에 작용하는 칼슘채널 차단제이다. 칼슘에 의한 내향성 전류를 차단한다. 전도속도를 늦추고, 재분극기간을 연장한다.

■ 약제

● Verapamil

- 심장 > 혈관평활근

● Diltiazem

- 심장 ≒ 혈관평활근

V. 기타 항부정맥제

■ Digoxin

digoxin디곡신의 작용 활동전위
digoxin의 작용
 

- Na/K-ATPase 펌프를 억제함. → 세포 내 Na↑/K↓ ⇒ Ca 세포 외 배출이 감소 ⇒ 심근수축력증가

- 미주신경의 항진, AV node에서 유효불응기증가, 전도속도감소, 심박수감소

- 심방조동/심방세동에 따른 심실반응을 조절하는 약제

- Inotropic 효과로 심부전에서 이용 / 나트륨과 수분배설 기능

■ Adenosine

- AV node의 자동능 ↓, 전도속도 ↓ , 불응기 ↑

- 급성 심실상성빈맥의 치료

■ Magnesium sulfate

- SA node에서 자극형성 및 전도속도 저하

- digoxin 유발 부정맥과 Torsades de point 부정맥의 치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