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학/부정맥

Narrow QRS Tachycardia | 심방조동 vs 심방세동 vs 심방빈맥 vs 동빈맥 심전도 | 심실상성빈맥의 심전도 소견과 원리

medhamstern 2025. 1. 1. 12:27
반응형

I. 좁은 QRS 빈맥 (narrow QRS tachycardia)

빈맥의 분류

Narrow QRS tachycardia는 좁은 QRS간격( <120ms )인 빈맥 말한다. AV node(방실결절) 자체 또는 그 상방에서 전기신호가 기원한 것이다.

위에 칠해진 심전도 소견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II. Narrow QRS tachycardia의 심전도

먼저, QRS 간격이 불규칙한지 안 한 지 확인한다.

1) 규칙적인 리듬

1-a.) Sinus tachycardia(동성빈맥)

동빈맥의 심전도
동성빈맥 _ sinus tachycardia

● 심전도 소견

- QRS파 앞에 P파가 나옴

- P 파의 모양이 정상적이고 균일하다.(이후 심방빈맥과 감별점)

- 규칙적인 RR 간격, Narrow QRS

● 원인

- 발열, 체액소실, 불안, 운동,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혈압등 생리적 반응

- β-agonist, 교감신경항진제, 카페인등 약물사용 시 발생

1-b.) Focal atrial tachycardia(국소 심방빈맥, MAT)

국소심방빈맥의 모식도
focal atrial tachycardia

● 발생원리: 심방에서 하나Ectopic pacemaker(이소성 자극형성)이 발생한 것으로 SA node에서 만들어진 P파와 모양의 차이가 존재한다.

Focal atrial tachycardia ECG
Focal atrial tachycardia(FAT)의 심전도소견 , 뒤집혀있는 비정상적인 P파(붉은색)

● 심전도 소견

- QRS파 앞에 P파 존재

- P파의 모양이 이상(p wave axis or morphology) ⇔ 동성빈맥과 감별점

- P 파끼리 모양이 동일함 ⇔ 다소성 심방빈맥과 감별

- Isoelectric baseline (심전도의 baseline이 일정) ⇔ 심방조동과 감별

- 규칙적인 RR 간격, Narrow QRS

1-c.) Atrial flutter(심방조동)

심방조동의 발생기전 모식도
atrial flutter

 

● 발생원리: 우심방내 회귀회로(re-entry circuit)로 인해 발생하는 심실상성빈맥이다. 이 회귀회로 자체의 심박수는 250-300회/분이지만 방실전도 차단으로 인해 1:1, 2:1, 3:1 등 일정비율만 심실로 전달된다. 이런 전달되는 비율이 심방조동의 심박수를 결정한다

2:1 차단 = 150 bpm

3:1 차단 = 100 bpm

4:1 차단 = 75 bpm

2:1 심방조동
atrial flutter 2:1 block = HR 150 bpm
4:1 심방조동
atrial flutter block 4:1 HR 75 bpm

 

● 심전도 소견

- 규칙적인 RR, Narrow QRS

- loss of isoelectric base line (톱니바퀴 모양)

- Saw tooth pattern(톱니바퀴모양 P파), II, III, aVF에서는 역위관찰

- 심실 박동수는 방실차단 비율에 따라 결정

⇒ 전형적인 Flutter파의 모양을 보고진단

심박수가 지나치게 균일한, 특히 150 bpm을 일정하게 유지할 경우 심방조동의심

※ 참고 : 불규칙한 심방조동?

atrial flutter with variable block
atrial flutter with variable block
 

가장 맨 위 표에서 불규칙한 narrow qrs tachycardia의 예시중 atrial flutter with variable block이 있다. 이는 심방조동에서 방실차단이 일정비율로 일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발생하여 심방조동임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한 RR 간격을 보이는 경우이다.

2) 불규칙한 리듬

2-a.)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 (다소성 심방빈맥, FAT)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 다소성심방빈맥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 다소성심방빈맥

 

● 발생원리: 심방에서 발생한 이소성자극형성(Ectopic pacemaker)이 여러 곳인 경우이다. 이때, FAT(국소 심방빈맥)과 달리 다양한 포커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불규칙한 리듬이다. 심방구조의 변화가 발생하는 질병에 동반한다. COPD(우심실부전), 또는 울혈성심부전에 동반한다. Premature atrial complex(PAC)에서 심방조동/심방세동이 되는 이행기에 나타나는 전형이다.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 (MAT, 다소성 심방빈맥) 심전도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 (MAT, 다소성 심방빈맥)

● 심전도 소견

- 불규칙한 P파와 QRS파, Narrow QRS

- 3개 이상의 구별되는 P파가 있어야 함(다소성)

- Isoelectric baseline (심방조동과 감별)

- 심방의 이소성 자극형성이 하나인경우는 MAT가 아니다. (동율동 또는 심방조기수축과 감별)

2-b.)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 발생원리: 심방 내(특히, 폐정맥부근)에서 빠르고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흥분에 의해 심방에 잔떨림이 발생하고 심방수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 발생하는 이소성 P파는 350-600회/분으로 매우 빠르나, 모두 전도되진 않기 때문에 실제 QRS의 리듬은 다양함.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 심전도소견

- 불규칙적인 리듬, Narrow QRS

- P파가 존재하지 않음

- Isoelectric baseline 없음

● 발생원인

- 갑상선기능항진에서 동빈맥 말고 심방세동 발생가능

- 심장구조의 변화

류마티스성 심장질환, 퇴행성심질환 → Mitral stenosis

고혈압성 심장질환, 만성폐질환

심방중격결손

- 빈맥서맥증후군

링크: 심방조동(A.flutter)과 심방세동(A.fib)의 진단 및 치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