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RCMP(제한성 심근병증)의 원인
Infiltrative
|
|
Storage
|
|
Fibrotic
|
|
Metabolic
|
|
Endocardial
|
|
Idiopathic / primary
|
|
■ RCMP(제한성 심근병증) 의 특징
- dyastolic dysfunction이 발생하는 심근병증으로, EF은 유지되는 편이다
- DCMP 와 HCMP의 양상과 원인과 겹치는 경우가 있음
- constrictive pericarditis 와 유사하나 RCMP는 종국에 systolic function 또한 떨어지는 점이 차이점
■ RCMP(제한성 심근병증)의 양상
- 운동시 호흡곤란, 폐울혈, 심부전 증상 발생
- 우심부전 증상이 흔함 (부종, 복수, 간비대) = 정맥압 ↑
- 심장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아도 폐울혈과 심부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
- S3 , S4 심음, 경정맥압상승
- Kussmaul's sign : 흡기시 경정맥압(JVP)이 상승함
※ 정상적인 경우, 흡기시 흉강내 음압이 걸려 정맥환류량이 증가(목정맥 →RA 혈액이동)로 인해 JVP ↓
RCMP에서는 RA의 부피가 제한 되기 때문에 RA로 혈액이동이 되지 않고 , 목정맥에 저류하고 JVP ↑
- Thromboembolic complication 1/3 정도에서 발생
■ Constrictive pericarditis(교착성 심낭염) 와의 차이점
RCMP(제한성심근병증)
|
constrictive pericarditis(교착성심낭염
|
|
|
■ RCMP(제한성 심근병증)의 검사소견
● RCMP 심전도

- low voltage QRS complex
- T wave changes (위 심전도에서는 T wave flattening)
- Atrioventricular block (3rd degree AV block may occur in sarcoidosis)
- Atrial and ventricular dysrhythmias
● RCMP 심초음파, CT, MRI

- 심실 확장없이 양측 심방의 비대가 보임
■ RCMP의 치료
- 심부전의 치료
- 원인 질환의 치료
☞ Hemochromatosis : phlebotomy, deferoxamine → 치료시 호전 가능
☞ Fabry's 병 : α-galactosidase β 보충
- anticoagulation
- 심장이식술
반응형
'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심장막염 (acute pericarditis) | 심낭염 | 원인 | 치료 | 증상 | STEMI와 심낭염의 심전도 (0) | 2025.02.08 |
---|---|
심부전(Heart failure)의 치료, 치료제, 관리 | 2022 심부전 진료지침 | 대한심장학회 | 심부전(2) (0) | 2025.02.04 |
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P)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치료 (0) | 2025.01.31 |
심부전(Heart failure)의 정의와 진단 | 2022 심부전 진료지침 | 대한심장학회 심부전(1) (0) | 2025.01.30 |
비후성심근병증 청진소견과 심전도| HCMP 심잡음 | Apical HCM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