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원인과 증상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은 ACTH가 감소하여 Cortisol이 부족한 이차성저하증, Cortisol 자체가 부족하여 보상적으로 ACTH가 증가하는 일처성 저하증으로 나뉜다.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증상
|
|
Glucocorticoid 결핍증상
|
|
Mineralocorticoid 결핍증상
(일차성기능저하증에서만 발생)
|
|
Adrenal Androgen 결핍증상
|
|
기타증상
|
|
부신기능저하증은 전체적인 기력감소, 혈압감소, 혈당감소등이 증상이다. 중요한점은 색소침착과 Mineralocorticoid 결핍증상은 일차성 부신피질기능저하증에서만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차성 부신기능저하증에서는 ACTH가 증가하지 않아 색소침착증상이 없다. 또한, 이차성기능저하증에서는 부신의 기능자체는 정상이므로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에 의해 조절받는 mineralocorticoid의 분비는 정상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II. 일차성부신피질기능저하증(Addison's disease, 에디슨병)
■ 원인
- Idiopathic atrophy(자가면역성 위축) : 서구에서 가장흔한 원인으로 하시모토갑상샘염, 갑상선기능항진증, 1형당뇨병, MENII 같은 다른 자가면역질환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결핵균(M.tuberculosis) : 국내에서 가장 흔한원인이다.
■ 증상
- 만성적으로 서서히 쇠약증상, 식욕부진, 오심, 구토, 공복시 저혈당
- 알도스테론결핍증상, 안드로젠결핍증상 존재 (저혈압,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 피부의 색소침착(팔꿈치, 손바닥주름, 유룬등에 멜라닌세포증가)
■ 검사결과
- 코티솔, 알도스테론 수치의 감소
-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고칼슘혈증
■ 진단
- 급속 ACTH 자극검사
☞ aldosteron이 반응없으면 일차성 부신피질기능저하
☞ aldosteron이 증가하면 이차성부신피질기능저하
■ 치료
- Hydrocortisone + Fludrocortisone
- 나트륨섭취,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호르몬 투여량 증가
III. 이차성부신피질기능저하증(glucocorticoid-induced adrenal infficiency)
■ 발생증가요인 (HPS axis 억제)
- 스테로이드제제의 사용의 기간과 용량에 따라 억제
- 반감기가 길수록 발생 (hydrocortisone < prednisolone < dexathasone)
- 전신적 치료 > 안구내, 흡입, 국소적
- 자주 사용할수록
- 저녁사용 > 아침사용
■ 검사결과
- 아침 혈장 코티솔 < 3ug/dl (오후 혈장 코티솔 수치는 가치X)
■ 진단
- Rapid ACTH stimulation test < 18mcg/dL
■ 치료
- Glucocorticoid 보충을 통해 H-P-A axis 회복
(6-12개월정도소요, H>P>A순으로 회복된다)
IV. 급성부신피질기능저하증(adrenal crisis)
■ 원인
- 만성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급속한악화
- 부신피질기능저하증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투여의 급속 중단
- 패혈증, 외과적 스트레스 (m/c)
- 양측 부신피질의 괴사
- 수막구균, 녹농균패혈증, 항응고제 사용시, 임신시, 각종 쇼크에서 악화
■ 증상
- 심한 구역감, 구토, 저혈압, hypoadrenergic shock, 의식저하
■ 검사혈과
- 이유없이 낮은 저혈압, 저혈당,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 치료
- 수액(5% D/S 정맥주사)
- 고용량 스테로이드 정맥투여(고용량이므로 fludrocortisone은 필요 X)
'내분비학 > 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친화세포종,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와 Paraganglioma의 진단과 치료 | 카테콜아민 | 부신질환 (3) | 2024.12.22 |
---|---|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의 원인 진단 치료 | Chushing's disease (2) | 2024.12.09 |
부신기능검사와 부신호르몬검사 정상수치 (1) | 2024.12.04 |
부신피질호르몬의 기능과 조절, 부신의 구조와 위치 (2) | 2024.12.02 |
고알도스테론증(hyperaldosteronism)의 원인, 진단, 치료 (0)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