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쿠싱증후군의 원인

쿠싱증후군은 코티솔(cortisol)이 과하게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때 발생하는 임상양상들이다.
1) ACTH가 증가한경우, 2) Cortisol 자체가 증가한 경우 가 존재한다. 1)이 ACTH의존성 2)가 ACTH 비의존성 쿠싱증후군이다.
|
쿠싱증후군의 원인
|
발병 비율
|
|
ACTH 의존성
|
쿠싱병 Cushing's disease
(ACTH-분비 뇌하수체선종)
|
90%
|
75%
|
이소성 ACTH Ectopic ACTH syndrome
(due to SCLC, 갑상선수질암, 카르시노이드종양)
|
15%
|
||
ACTH 비의존성
|
부신피질선종
Adrenacortical adenoma
|
10%
|
5-10%
|
부신피질암종
Adrenocortical carcinoma
|
1%
|
||
결절부신과다형성
Macronodular adrenal hyperplasia
|
1%미만
|
||
의인성
|
외인성 코티솔 주입
|
의인성은 흔함
|
◈ 참고) 쿠싱증후군 VS 쿠싱병
쿠싱증후군 ⊃ 쿠싱병, 쿠싱증후군의 원인들중 뇌하수체 corticotrope adenoma에 의한 쿠싱증후군을 언급할때, 쿠싱병이라고 일컫는다.
◈ 의인성 쿠싱증후군은 질병의 양상은 코티솔과다의 형태이지만, 실제 외인성 스테로이드의 과다사용으로 인해 내분비기관들의 위축이 발생한 상황이다. 의인성 쿠싱증후군은 외부 스테로이드 주입이 최근에 없었다면, ACTH, Cortisol 수치가 모두 낮다.
II. 쿠싱증후군의 증상
Glucocorticoid의 항염증, 면역억제기능을 갖고 있으며 류마티스관절염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에서 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부작용으로는 면역력저하, 혈당상승, 골감소증, 근감소증 등이 있다.

쿠싱증후군의 증상
|
|
신체 부위
|
증상과 징후
|
체내 지방
|
|
피부
|
|
뼈
|
|
근육
|
|
심혈관
|
|
내분비
|
|
생식기능
|
|
CNS
|
|
혈액 및 면역기능
|
|
III. 쿠싱증후군의 진단
선별검사 → 확진검사 → 원인검사 순으로 검사가 진행되는데, 각각 어떤 검사가 있는지 아는게 중요.
① 초기 선별검사
- Overnight 1mg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 1.8 ug/dL 이상시 의심
- 24h urinary free cortisol = 정상인은 100ug/d 미만임, 정상치의 3배이상시 의심
- midnight plasma salivary cortisol = 5ug/dL 이상시 의심
② 확진검사
- Low 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 1.8 ug/dL 이상시 의심
③ 원인검사
- High 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 Plasma cortisol 50%이상 억제시 ⇒ Cushing's disease(microadenoma)
☞ Plamsa cortisol 억제 X ⇒ Ectopic ACTH or Pituitary macroadenoma
- Plasma ACTH level
☞ ACTH < 5 ⇒ 비의존성
☞ ACTH > 15 ⇒ 의존성
- Metyrapone/CRH infusion test
- IPSS(inferior petrosasinus sampling) _ 뇌하수체정맥동 ACTH 양을 직접측정, 선종위치 예측검사
[ MRI, High dose 검사 불일치시 시행, Sella MRI에서 6mm 미만 종양일경우도 시행 ]
④ 기타 쿠싱증후군의 감별진단검사
● Adrenal Carcinoma(부신암종)
- 일측성, 6cm 이상 크기, 남성화경향, plasma DHEA ↑ , urine 17-KS ↑
● 영상검사
- Sellar MRI : ACTH 의존성 쿠싱에서 이용
- Adrenal CT : ACTH 비의존성 쿠싱증후군
- Chest CT : Ectopic ACTH Syndrome
● 가성쿠싱증후군
- 비만, 알코올중독증, 우울증 등 여러질환과 감별필요
● 의인성 쿠싱증후군
- 실제 ACTH, Cortisol의 분비능력이 떨어진상황 ⇒ Rapid ACTH 자극검사 필요
IV. 쿠싱증후군의 치료
■ 쿠싱병
TOC: 뇌하수체종양수술(TSA)
■ 부신신생물
{1} - 일측성 부신 종양 - 일측 부신절제술 치료
{2} - Bilateral hyperplaisa - 양측 부신절제술 치료
(양측부신절제후 뇌하수체 ACTH 분비 종양이 커지는 Nelon's syndrome f/u 필요)
※ 종양절제수술후 스테로이드보충이 필요, 양측성 절제술은 장기보충 필요함
■ 약물치료
Ketoconazole, Mitotane
'내분비학 > 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친화세포종,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와 Paraganglioma의 진단과 치료 | 카테콜아민 | 부신질환 (3) | 2024.12.22 |
---|---|
부신기능검사와 부신호르몬검사 정상수치 (1) | 2024.12.04 |
부신피질호르몬의 기능과 조절, 부신의 구조와 위치 (2) | 2024.12.02 |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원인, 진단, 치료 / 급성부신피질기능저하증 (1) | 2024.11.28 |
고알도스테론증(hyperaldosteronism)의 원인, 진단, 치료 (0)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