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학/부신

부신기능검사와 부신호르몬검사 정상수치

medhamstern 2024. 12. 4. 10:57
반응형

* 부신기능을 평가하는 여러 방법

(I)기저 호르몬(Basal level)을 직접측정하는 방법과 (II,III)Dynamic endocrine test으로 나뉘고, 기저 호르몬 측정의 경우 혈액에서의 측정과 소변에서의 측정으로 또 나뉜다.

I. 기저호르몬 측정

I-a) 혈액검사

■ ACTH

- 박동성, 산발적분비를 하며, 오전 8시에 가장최고치(8-25pg/ml)

- 쉽게 분해되는 특성이 있어 채혈 후 즉시 혈장분리후 보관

■ Cortisol

- 하루 15-30mg 분비됨

- 오전 6-8시에 5-25ug/dl 최고치, 한밤중 최저농도, ACTH 일중농도와 유사함

-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증가

⇒ Stress 상태에서 증가, 아침에서 일어나는거 자체가 스트레스이니 오전에 제일 높다고 생각하자.

■ 혈장레닌활성도(plasma renin activity)

- angiotensinogen을 혈장내 첨가후 형성된 angiotensin I 수치를 검사한다. (angiotensiogen → angiotensin I 전환하는 효소가 Renin이기 때문)

- 안정시 : 0.3-3.0 ng/mL/hr , 4시간 기립시 : 1.0-9.0 ng/mL/hr

■ 알도스테론

- 안정시: 2-9 ng/dL, 4시간 기립시 : 25배까지 증가 가능.

I-b) 소변검사

■ 소변내 free cortisol

- 24시간 분비량을 반영하고, 신장기능이 저하되도 영향을 잘 안받음

- 정상: 100 ug/d 이하

■ 17 ketosteroid

- 17 keto 구조의 안드로겐으로 부신암일 경우 상승함

II. Cortisol dynamic endocrine test

억제검사와 자극검사가 있다. 억제검사는 호르몬을 억제해보고 호르몬이 억제되지 않으면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검사이다. 자극검사는 자극이후 호르몬이 증가되지 않음을 확인하여 호르몬이 부족함을 입증하는 검사이다.

II-a) Cortisol 자극검사

■ 급속 ACTH 자극검사

- 코르티솔생산에 대한 평가

- 정상결과: 자극후 코티솔 18ug/dL 이상, 기저치보다 7ug/dL 이상 증가

■ 인슐린유발저혈당검사

- 인슐린 유발 저혈당자극에 따른 ACTH와 , 코티솔의 분비 반응 평가

- 정상결과: 자극후 코티솔 18ug/dL 이상

■ Metyrapone test

- 코티솔합성 최종효소를 억제하여 코티솔감소 → ACTH의 증가

- 정산결과: 11-deoxycortisol 7ug/dl 이상, ACTH 75pg/ml 이상

- 잘사용하는 검사 X

■ CRH 검사

- CRH 자극에도 ACTH 분비가 일어나지 않음 → 뇌하수체문제

급속 ACTH 자극검사는 ACTH 자극에 따른 코티솔생산만 평가하기 때문에 다른 검사들과 달리 H-P-A axis 전체를 평가 할수 없다.

II-b) Cortisol 억제검사

야간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overnight 1mg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고용량 dexamethasone 억제검사

저용량 dexamethasone 억제검사

III. Mineralocorticoid dynamic endocrine test

■ 정맥내 식염수 검사

- 생리식염수 2L를 4시간동안 주입후 알도스테론 농도측정

- 정상수치 : 알도스테론 5ng/dL 미만 억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