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부신의 해부학, 조직학
■ 위치
양쪽 신장위에 얹어진 형태로 위치하고 있다.
■ 크기
정상두께는 1cm, 길이는 4-6cm

■ 영상소견
신장 주위에 Inverted-T-shape으로 보이는 부신을 확인 할 수 있다.


부신은 피질과 수질로 구성되는데, 피질이 90% 라면 수질은 10%정도이다.
피질은 바깥에서 부터 토리층(glomerulosa)-다발층(fasciculata)-그물층(reticularis)로 나뉘는데, 각각 층별로 효소가 달라 만들어지는 호르몬의 종류가 다르다.
Zone Glomerulosa(토리층) - 알도스테론(aldosteron)
Zone Fasciculata(다발층) - 코티솔(cortisol)
Zone Reticularis(그물층) - 안드로젠(androgen)
Medulla(수질)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Epinephrine, Norepinephrine)
Cortisol은 세포핵내에서 작용하는 호르몬으로 세포막을 통과한뒤 11β-HSD1 효소를 통해 Cortisone에서 Cortisol로 바뀐뒤 세포질내 Glucocorticoid Receptor(GR)와 결합한후 세포핵 내로 진입한뒤 전사인자를 촉진하여 기능한다. 신장 원위세뇨관 세포에서는 aldosterone이 Mineralcorticoid receptor(MR)와 결합한후 세포핵내에서 전사를 촉진하는데, MR에 cortisol 또한 결합후 핵내에서 기능할수 있다. 이는 고용량의 cortisol이 체내 투입된경우 aldosterone효과가 나타내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CYP11B2 : aldosterone synthase
HSD11B1,2 : 11β-hydroxysteroid dehydrongenase type 1,2
모두 콜레스테롤을 기본재료로 하고, 각각 층마다 어떤 효소가 있는지에 따라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호르몬 산물이 다른 것을 위 사진에서 확인 할수 있다.
II. 부신피질호르몬의 조절

호르몬
|
조절
|
기능
|
Glucocorticoidhormones
(Cortisol)
|
ACTH에 의해 조절
|
|
Mineralocorticoidhormones
(Aldosteron)
|
주로 RAAS에 의해 조절
|
|
Androgenic steroid
|
ACTH에 의해 조절
|
|
코티솔은 ACTH에 의해 조절되는 호르몬이다. 코티솔의 기능은 단백질 이화작용(분해), 인슐린저항성증가, 식욕증가, 기억력유지 이다. 안드로젠은 ACTH에 의해 조절되는 호르몬으로 음모의 발달과 성욕의 증가기능이 있다. 하지만, 남성의 경우 고환에서 안드로젠이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부신 안드로젠의 분비는 큰의미가 없다. 부신위주로만 안드로젠이 나오는 여성에게서 주된 역할을 하는 성호르몬이다. 알도스테론은 혈관수축,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 칼륨의 배설, 심박수와 심근수축력의 증가 기능이 있다. 다른 두호르몬과 달리 주로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e-system)에 의해 조절을 받는다. 참고로 부신 수질에서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나오는데 이들의 기능은 이전에 정리한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면된다
다음화에서는 부신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들과 부신질환인 쿠싱증후군에 대해서 소개할것이다.
'내분비학 > 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친화세포종,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와 Paraganglioma의 진단과 치료 | 카테콜아민 | 부신질환 (3) | 2024.12.22 |
---|---|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의 원인 진단 치료 | Chushing's disease (2) | 2024.12.09 |
부신기능검사와 부신호르몬검사 정상수치 (1) | 2024.12.04 |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원인, 진단, 치료 / 급성부신피질기능저하증 (1) | 2024.11.28 |
고알도스테론증(hyperaldosteronism)의 원인, 진단, 치료 (0)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