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SIADH의 병태생리
SIADH는 항이뇨호르몬의 과다분비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인데, 기억해야할 점은 Euvolemic Hyponatremia 라는 점이다. 저나트륨혈증이지만, 수분량은 정상수준이라 부종, 탈수증상, 기립성 저혈압 같은 혈량 변화에 의한 증상은 없다.
Q. 항이뇨호르몬이 작용하면, 수분의 재흡수량이 늘어 혈중나트륨농도가 낮아지고, 수분배출량이 줄어 체내 수분량이 늘어날것 같은데 왜 Euvolemic 할까?
A. ADH 분비가 많아지면 ANP분비가 증가된다. ANP는 RAAS를 억제 → 알도스테론기능이 떨어진다. 결론적으로 [ 수분저류 by ADH+ 나트륨과 그에 딸린 물의 배설 by ANP ] 로 인해 등혈량성 저나트륨혈증이 된다.
ANP의 기능들
Natriuresis
Diuresis
Improve glomerular filtration rate
& filtration fraction
Inhibit renin release
↓ circulating angiotensin II
↓ circulating aldosterone
Systemic vasodilation
Arterial hypotension
cv physiology.com
II. SIADH의 원인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그중 종양에 의한 부종양증후군(paraneoplastic syndrome)이 흔하다.
■ 종양
- 폐암(m/c) : 특이 SCLC에서 많다
- 흉선종, 췌장암, 난소암
■ 감염성
- 폐렴(세균, 바이러스)
- 농양(폐 또는 CNS)
- 결핵(폐 또는 CNS)
- 뇌수막염, 뇌염, AIDS
■ 외상성
■ 약물성
- Desmopressin
- vincristine(항암제)
- SSRI, MOAI, TCA
III. SIADH의 임상양상과 진단
■ 양상
>부종이 없는 저나트륨혈증의 신경학적 증상 발생
Na 130~135 : 쇠약, 식욕부진, 구토
Na 120 미만 severe : 혼수, 경련, 흥분
■ 진단
1) 기타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 배제 필요
갑상선기능저하증, 부신기능저하증 (얘네들도 euvolemic함) 배제
당뇨병 배제(혈장 포도당이 36mg/dL 증가할때마다, Na는 1mEq/L 씩 감소함)
{ Corrected Pna : Measured PNA + (P포도당 - 90) / 36 으로 교정해서진짜 저나트륨인지 확인}
2) 부종, 기립성혈압, 탈수증이 없어야함
3) serum Osm < 275 & urine Osm > 100
urine Na > 25mEq/d ,fractional Na excretion > 1%
BUN, 요산, 크레아티닌 알부민 감소
IV. 치료
1) 원인교정
2) 만성 또는 mild한 저나트륨혈증
- 수분섭취제한
- selective V2 antagonist (tolvaptan) : AVP 항이뇨호르몬의 작용을 차단 → 물배출증가
3) severe & 급성 저나트륨혈증 (na < 125mEq/L 이하)
- 고장성식염수(3% saline) _ 너무빠른교정, 과교정시 뇌교수초용해증 발생위험, 130mEq/L이상시 중단, 교정속도 빠르지 않게
- V2/V1a antagonist(conivaptan)
*** SIADH 총정리
1) 진단: 부종,기립성저혈압,탈수 증상은 없어야한다
DM, 갑상선저하, 부신저하를 먼저 배제
정상삼투압(275-290) 대비 삼투압이 낮은데(275미만), 소변이 농축된 양상(100이상)
⇒ 소변삼투압 & 혈장삼투압의 불일치
2) 치료: 급성_severe한 경우와 만성_mild한 경우의 치료 차이점
severe : 3% saline
mild : 수분제한
'내분비학 > 뇌하수체 | 시상하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붕증(Diabetes insipidus)의 원인, 진단, 증상, 치료 (2) | 2024.11.26 |
---|---|
뇌하수체종양의 역학, 증상, 진단, 검사, MRI (0) | 2024.11.25 |
항이뇨호르몬의 기능, 분비, 작용 | 뇌하수체후엽 호르몬 (7) | 2024.11.20 |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 쉬한 증후군(sheehan's syndrome)증상, 원인, 치료 (0) | 2024.11.19 |
성장호르몬 분비와 기능 | 말단비대증의 증상, 진단, 치료 | 뇌하수체전엽질환 (2)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