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뇌하수체 | 시상하부

뇌하수체종양의 역학, 증상, 진단, 검사, MRI

medhamstern 2024. 11. 25. 11:15
반응형

I. 뇌하수체 종양 서론

1) 분류 & 역학

전체 뇌종양의 10%

대부분 뇌하수체선종(adenoma), 두개인두종, 터기안 주변종양, 악성은 드물다

1cm 기준으로 micro/macro adenoma를 구분함

⅔는 기능성종양, ⅓은 비기능성종양

2) 양상

■ 압박증상(거대) : 두통, 뇌신경마비, 요붕증, 고프로락틴혈증, 시야결손

■ 기능항진증(미세&거대) : 말단비대증(GH) / 고프로락틴혈증(PRL) / 쿠싱병(ACTH)

■ 기능저하증(거대종양) : By. stalk pressure or 조직의 파괴

3) 검사

Sellar mass가 발견될경우 호르몬 기능검사가 필요하다.

■ Prolactin (lactotroph cell)

■ IGF -1 (somatotroph cell)

■24h free Cortisol (corticotroph adenoma)

■ LH, FSH (gonadotroph cell)

■ fT4, TSH (thyrotroph cell)

4) 정상 MRI

뇌하수체 정상 MRI
정상 MRI: 후엽은 밝은 음영, 전엽과 stalk은 더 어두운 음영으로 나타난다. _ Radiopaedia.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