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대동맥판 역류의 원인

■ Primary valve disease
1) Rheumatic disease (2/3) → 이완기 닫힘 문제 & 수축이 열림 문제 공존하는 경우가 많음 isolated AR is rare
2) Ankylosing spondylitis(강직성척추염)
3) Congenital bicuspid valve
4) VSD (subarterial type) : sub-atrial VSD가 수술적응증인 이유
5) Trauma, infective endocarditis
■ Primary aortic root disease
- aortic dissection
- cystic medial degeneration : Marfan, Bicuspid AV, Familial aneurysm
- Syphilis, Ankylosing spondylitis
II. 대동맥판 역류의 양상
- MR 대비 역류되는 양이 많음 (대동맥에서의 역류이므로) → 판막질환 중 volume overload 최대임
- Eccentric hypertrophy _ 좌심실의 확장 (Aortic stenosis _ Coccentric hypertrophy)

■ 증상
- 10-15년간 무증상기
- 초기증상 : 심계항진, 불편한 느낌의 심장박동
- 심부전증상 : 운동시호흡곤란, 야간 호흡곤란, 피로, 기좌호흡
- 말기증상 : anginal chest pain, 부종, 울혈성 간비대
■ 신체진찰
- wide pulse pressure (맥압증가) : SBP↑, DBP↓
Corrigan's pulse : 급격히 상승했다가 떨어지는 pulse
Quincke's sign : 손톱 끝을 누르면, 손톱에서 pulsation 관찰가능
Traube's sign : femoral artery 위해서 pistol-shot sound
Headpounding(De Musset's sign) : 수축에 따라 머리를 움직임
- 청진소견

▷Diastolic high pitched Decresendo type (m/c)
→ 이완기 말이 될수록 역류량은 줄어듦 (decresendo)
→ Erb's point (좌측 흉골연, 3rd ICS) 에서 제일 잘 들림
→ 앉은 자세에서 앞으로 기대고 숨을 다 내쉬고 청진하면 더 잘 들림
▷mid systolic ejection
▷A2 (aortic valve closure) 소실
▷S3와 systolic ejection sound
(S3 심음은 심부전에서 좌심실이 늘어난 소견을 반영하는 심음임)
▷Austin Flint : severe AR apex에서 soft rumbling middiastolic or presystolic murmur
(AR flow로 인해 MV 진동)
■ 검사소견
1) EKG
- LVH, LV strain pattern, LAD
2) 영상소견
- LV dilatation

※ HOCM(비후성심근병증)과 AR(대동맥판 역류) _ ERB'S POINT

- HOCM과 AR 모두 Erb point(3rd ICS)에서 가장 잘 들림
- AR은 diastolic, HOCM은 systolic murmur가 가장 특징적이나
- AR에서도 mid systolic murmur 소견이 들릴 수 있고, 두 질환 모두 LVH의 소견이 나타남
- HCM에서 특징적인 병력/과거력 또는 ECG(pathologic Q wave)로 구분가능
- 심잡음의 강도와 증상이 변하는 상황으로 구분가능
(AR: handgrip↑, squat ↑ , Valsalva maneuver ↓)
(HCMP : handgrip ↓, squat ↓, Valsalva maneuver ↑)

III. 대동맥판 역류의 치료
■ 내과적 치료
- 혈압조절(vasodilator), Diurectis _ SBP < 140mmHg 목표
■ AVR (대동막판 치환술, AV replacement)의 적응증
- 증상이 있는 AR
- 무증상 severe AR + LVEF ≤ 55%
- 무증상 severe AR + LVESD > 50mm
- 무증상 severe AR + LVEDD > 65mm
> AS와 달리 수술적 판막 교체
cf ) AS와 달리 LVEF 기준이 55%로 더 높음 : AR에서는 LV로 돌아온 regurgitant flow가 EF에 측정됨, 실제 전신순환에 기여한 EF는 측정된 값에 비해 작음.
IV. Acute AR
원인 : infective endocarditis, aortic dissection, sinus Valsalva aneurysm rupture
증상 : 좌심실이 확장하는 적응시간이 없어, 폐부종이나 심장성쇼크의 발생
청진소견 : 맥압 상승이 경미 하거나 거의 없음, AR diastolic sound
치료 : 수술적 치료 우선 _ 수술 전 혈압조절(nitroprusside), diurectics, IV inotropics 사용
금기 : IABP(intraaortic balloon pump)_AR이 심해짐, betablocker
'심장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맥판 협착증 (AS) | TAVI/TAVR | SAVR | 원인 | 청진소견 | 치료 | Aortic stenosis (0) | 2025.03.29 |
---|---|
고혈압의 치료 | 항고혈압제 | 약물치료 | 고혈압의 관리 | 2022 고혈압 진료지침(2) (0) | 2025.02.12 |
만성교착성심낭염 협착심장막염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0) | 2025.02.11 |
심낭 삼출(pericardial effusion) | 심낭압전(cardiac tamponade)의 심전도 진단 치료 (0) | 2025.02.10 |
고혈압의 진단기준 | 고혈압의 정의와 평가 | 고혈압 진료지침 2022 (1)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