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착성 심낭염의 정의
- 심장막의 만성적인 염증반응 → pericardium의 비후와 섬유화 → diasystolic dysfunction
- 이완기 초기에는 filling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심낭의 섬유화로 인해 이완기중 갑작스럽게 filling이 제한됨
■ 교착성 심낭염의 원인
- idiopathic pericarditis
- 감염 ; 결핵(국내 ↑ ) , 세균성, 바이러스성
- 심장수술후 발생, 방사선치료후 발생
- 결체조직 질환 : SLE, RA, sclerosis,
- 요독증, sarcoidosis
- 악성종양 관련
■ 교착성 심낭염의 양상
- liver cirrhosis(황달, 복수, 간기능이상) 와 유사함, LC와 달리 경정맥확장 존재
- 정맥울혈 : 복수, 간비대, 비장비대, 황달, 하지부종
- 운동시 호흡곤란, 피로
- 폐부종은 흔하지 않음(정맥환류량 자체가 줄기 때문)
- Kussmaul's sign(+) : 흡기시 jvp 가 감소되지 않거나 상승함 ← 흡기시 늘어난 정맥환류량 수용 X
- paradoxical pulse (+) : 흡기시 맥박이 감소하거나 소실, 1/3 가량에서 관찰 ← RV 증가로 인해 LV 압박
- diastolic pericardial knock = early sound S3 : 심실충만능의 갑작스런 감속으로 인해 발생
■ 교착성 심낭염의 검사
● ECG
- low voltage QRS complex
- diffuse inversion or flattening T wave
- atrial fibrillation, p-mitrale (좌심방의 만성적 상승으로 인해 발생함)
● chest x-ray

- pericardial calcification (-50%)
- 심장의 크기는 정상 내지는 약간 증가
● 심초음파
- pericardial thickning
- IVC, hepatic vein distension, 심방확장
- early diastole ventricular filling의 갑작스러운 정지
- 심실 중격의 확장기 운동이상
● CT / CMR
● 심도자
- square root sign (√)
- prominent x&y descent
■ 교착성 심막염의 치료
- 수술적 치료 (pericardiectomy) : 근본적인 치료법
- 증상이 경미한경우 약물치료 + 관찰 가능 → 이뇨제 사용, 저염식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X)
- 50세 이상은 관상동맥질환 확인 필요 → Coronary angiography 시행
- 결핵이 원인인경우,항결핵 요법 같이 (24개월이상)
'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맥판 협착증 (AS) | TAVI/TAVR | SAVR | 원인 | 청진소견 | 치료 | Aortic stenosis (0) | 2025.03.29 |
---|---|
고혈압의 치료 | 항고혈압제 | 약물치료 | 고혈압의 관리 | 2022 고혈압 진료지침(2) (0) | 2025.02.12 |
심낭 삼출(pericardial effusion) | 심낭압전(cardiac tamponade)의 심전도 진단 치료 (0) | 2025.02.10 |
고혈압의 진단기준 | 고혈압의 정의와 평가 | 고혈압 진료지침 2022 (1) (0) | 2025.02.09 |
급성 심장막염 (acute pericarditis) | 심낭염 | 원인 | 치료 | 증상 | STEMI와 심낭염의 심전도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