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lmonary Edema (폐부종)
§ 폐부종의 임상적 특징
- acute breathlessness
- orthopnea
-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 foaming at the mouth
- distress
§ 폐부종의 영상학적인 중증도는 3단계로 나눌 수 있고, pulmonary venous pressures에 따라 결정된다.
grade 0: normal chest radiograph, PCWP 8-12 mmHg
grade 1: upper lobe diversion on a chest radiograph, PCWP 13-18 mmHg
grade 2: interstitial edema on a chest radiograph, PCWP 19-25 mmHg
grade 3: alveolar edema on a chest radiograph, PCWP >25 mmHg
§ 폐부종의 분류
■ Vascular redistribution
- pulmonary venous pressure 증가의 첫 징후
- 하엽 대비 상엽의 혈관 직경이 증가
- cephalisation of pulmonary veins _ 정상 좌심방압은 5-10 mmHg, 좌심방압이 10-15mmHg 이상이 되면 발생


■ Interstitial edema
- secondary pulmonary lobule 주위를 둘러싼 pulmonary vein의 액체 증가로 인해 발생함
- 폐혈관 경계의 불분명
- interstitial marking의 증가
-> Kerley B line: 폐의 주변부에서 관찰되며 interlobular septa thickened 반영
-> Kerley A line: 폐문에서 바깥으로 방사상으로 뻗어나감, 림프관의 확장 시사
◁ interstitial edema
1) 양쪽폐의 upper lobe pulmonary venous diversion
2) interstital lung markings and multiple Kerley B line(파란색박스)
■ Alveolar edema
- 폐포내가 액체로 찬 것
- 폐문주위(중심)의 opacifications (batwing appearance)
- 흉수 또는 심비대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우측 CT : central peribronchovascular distribution, interloblar septum thickening
좌측 xray : bilateral perihilar airspace opacity , interstital edema , Kerley B line
§ 폐부종의 CT 소견
- ground glass opacification (간유리 음영)
- interlobular septal thickening (소엽 간 비후)
- 흉강 내 원인으로 인한 폐부종(ex.HF) ▶ patchy ground glass
- 전신성 원인으로 인한 폐부종(ex. sepsis, low protein) ▶ diffuse ground glass
§ 폐부종의 기타 소견
- 일반적으로는 대칭적, 중력의존적
- 우상엽 단독 페부종(비대칭적 폐부종의 예시)
by. 심근경색으로 인한 유두근 파열로 발생한 급성 승모판 역류
- Reexpansion pulmonary edema(재팽장 폐부종)
by. 과도한 thoracentesis
♠ ICU imaging | Support devices
§ Vascular pedicle
- 상부 종격동의 가로폭 [정상폭 < 58mm]
- right border : SVC와 right mainstem bronchus
- left border : 대동맥에서 나오는 subclavian artery의 외측경계
- Vascular pedicle의 증가 (Chest AP: 63mm or 70mm 이상 증가)
-> 체액과다, PCWP(>18mmHg)의 증가와 연관

■ Support devices
§ Endotracheal tube
- Carina 보다 4-6cm 위에 위치해야 함


§ Central venous catheters
- 중심정맥관은 대정맥-심방 접합부 또는 SVC에 위치해야 함

§ Pulmonary artery catheter


'영상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성 병변, 낭성 병변, 섬유성 변화 | 폐 질환의 주요 영상소견 | CT Xray (1) | 2025.02.23 |
---|---|
무기폐의 진단과 x-ray 소견 | 무기폐의 원인과 위치 | atelectasis (0) | 2025.02.20 |
흉부 CT 와 X-ray 판독과 이상소견 | 흉부 영상의학 | 이차폐소엽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