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콜린성수용체 작용제의 종류
-1) 직접작용 콜린성 작용제(direct-acting cholinergic agonist)
-2) 간접작용 콜린성 작용제, 가역적 (anti-cholinesterase agent, reversible)
-3) 간접작용 콜린성 작용제,비가역적 (anti-cholinesterase agent, irreversible)
II. 직접작용 콜린성 작용제(direct-acting cholinergic agonist)
▼ 직접적으로 콜린성 수용체에 결합하는 약물들
약물종류
|
효과
|
이용
|
부작용
|
Acetylcholine
|
1) 심박수&심박출량의 감소
2) 혈압의 감소 (혈관평활근 내피세포 M3수용체 작용)
3) GI 운동성&분비물증가(침)
4) 기관지분비물증가
5) 배뇨근 수축 -> 배뇨작용
6) 눈 섬모체근 자극(근거리)
7) 동공수축
|
||
Bethanechol
|
무스카린성>>니코틴성
-> 방광 & GI 위주 효과 - 소화운동 증가 - 배뇨근수축&조임근이완 |
1} 방광무수축질환시
2} Neurogenic atony(거대결장)시
|
|
Carbachol
|
수용체 비선택적
- 심혈관계, GI에 모두 큰효과 -> 에피네프린 증가 가능 - 동공축소 |
1} 녹내장 치료
(수용체 비선택적이고, potency가 높아 다른용도는 거의X)
|
안과적 이용시 거의없음
|
Pilocarpine
|
potency는 낮으나, CNS 통과
- 동공축소, 섬모체근 수축 - 땀,눈물,침의 분비 |
1> 녹내장 치료
2> 응급- 안압하강시
3> 구강,안구건조증
|
|
II. 간접작용 콜린성 작용제, 가역적 (anti-cholinesterase agent, reversible)
▼ anti-cholinesterase agent, reversible

약물종류
|
효과
|
이용
|
부작용
|
Edrophonium
|
짦은 시간 작용 AchE inhibitor
(10~20분간 짦은작용후 배설)
|
1} 중증근무력증진단
(myasthenia gravis)
일시적완화 |
|
Physostigmine
|
자율신경계의 무스카린 & 니코틴수용체
신경근육접합부 작용 CNS 콜린성 수용체에도 작용
(30min-2h 지속) |
1> 방광, 장무력증
2> 아트로핀과다사용시 antidote로 이용
|
|
Neostigmine
|
Physostigmine과 달리 극성이 있음
- 위장관흡수도 떨어지고 CNS에는 효과X - 골격근에 강한효과 (30min ~ 2h) |
1> 중증근무력증의 증상조절
2> 신경접합부차단제 antidote
|
|
Pyridostigmine
Ambenonium
|
지속시간
(3~6h and 4~8h 더 길다)
|
||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
1}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완화
|
|
III. 간접작용 콜린성 작용제, 비가역적 (anti-cholinesterase agent, reversible)
▼ anti-cholinesterase agent, ireversible
치료용도로는 잘 이용하지 않음. 대부분 독성이 있음. 살충제로 이용함
약물종류
|
효과
|
이용
|
부작용
|
Echothiophate
|
비가역적인 AchE의 차단
(100시간 이상 효과)
1} 운동기능마비(호흡부전가능)
2} 경련
3} 한 축동, 안구내압감소
|
1} 개방각 녹내장
국소적 안구점안액
|
|
I. 콜린 차단제의 종류
-1) 무스카린성 수용체 차단(anti-muscarinic agent)
-2) 신경절 차단제(ganglion blocker)
-3) 신경근육접합부 차단제(neuromuscular blocker)
-a) 비탈분극(경쟁적)차단제_Nondepolarizing (competitive) blockers
-b) 탈분극(비경쟁적)차단제

II. 무스카린성 수용체 차단(anti-muscarinic agent)
효과는 주로 침샘, 땀샘에 연결된 교감신경과,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작용한다.
니코틴성 수용체에 거의 작용하지 않아서 골격근신경근육접합부(NMJs)와 자율신경계 신경절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약물종류
|
효과
|
이용
|
부작용
|
Atropine
|
◆ 눈
- 동공확대, 눈물감소,섬모체근마비 (근거리의 물체를 보기 힘듦) ◆ 위장관계 - 위장관운동성의 감소 - 침분비감소, ◆ 심혈관계 - 저용량일경우 심박수 감소 - 고용량일경우 심박수 증가 (저용량일때는 억제성 시냅스전 뉴런의 M1을 차단해서 Ach증가로인해 감소, 고용량에서는 SAnode의 M2 수용체 차단으로 증가) ◆ 소변의 저류 |
1} 안과적이용: 동공확대 + 섬모체근마비효과로 눈의 조절능력을 제외한 눈의 굴절이상 검사시 이용
2} 진경제(atnipasmodic)
3} 서맥치료제
4} 수술중 상하기도 분비물 감소를 위해
5} 콜린성작용제 중독시 해독제로 이용
|
- 입마름 - 시야흐림 - 소변저류 - 변비 - 혼돈, 섬망 - 땀분비억제 |
Scopolamine
|
Atropine 대비 CNS 효과강함
1} 멀미약으로 주로 이용
2} 진정효과 (단 고용량에서는 흥분효과)
|
1} 멀미약 또는 수술후 오심구토 방지
(붙이는 패치형태_
|
|
Ipratropuim
Tiotropuim
|
CNS에는 효과없음, 흡입제로
호흡기계에만 영향을 준다
|
1} COPD 관련 기관지 수축시 치료제
2} 천식의 급성악화
|
|
Tropicamide
Cyclopentolate
|
아트로핀보다 짧은 효과발생
|
1} 안약제: 산동과 섬모체근 마비용도
|
|
Benztropine
Trihexyphenidyl
|
1} 파킨슨병에서 이용
2} 파킨슨 증후군에서 이용
3} 항정신병약의 추체외로 증상에 이용
|
||
Darifenacin
Fesoterodine
Oxybutynin
Solifenacin
Tolterodine
Trospium-chloriode
|
방광내압의 감소
방광근육의 수축빈도 감소 |
1} 과민성방광에서 이용
|
III. 신경절 차단제(ganglion blocker)
부교감/교감신경계의 신경절에 작용하지만, 신경근육접합부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치료적 목적으로는 잘 이용하지 않는다.
약물종류
|
효과
|
이용
|
부작용
|
Nicotine
|
모든 신경절이 마비 -> 신경전달물질의 많은 증가 가 일어남.
아래는 신경전달물질 증가에 따른 효과들
|
IV. 신경근육접합부 차단제(neuromuscular blocker)
Ach과 유사한 특징을 갖고있어서 길항제(비탈분극유형 약물) 효현제(탈분극형 약물)로 나눠진다.
IV- a) 비탈분극(경쟁적)차단제_Nondepolarizing (competitive) blockers
-1) 용도:
마취시 근육의 이완을 위해 사용함, 적은 량의 마취제로도 근이완을 유도할 수있음.
-2) 기전:

적은용량에서는, 아세틸콜린과 경쟁적으로 결합하므로 약물은 근육세포의 탈분극을 막고 따라서 근육의 수축을 막는다. 하지만 Neostigmine같은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제(cholinesterase inhibitor)를 이용하면 신경근육접합부의 아세틸콜린 농도가 높아져 저해효과가 낮아진다. 이를 이용해 마취시 신경근육차단효과를 시간을 줄이기도함.
따라서 고용량에서는, 콜린에스터레이즈에의한 반대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경쟁적 저해제이기에 나타나는 특성이라 볼 수 있다.
-3) 작용:
작고 빠르게 수축하는 근육이 먼저 작용받는다.
얼굴및 안구근육 -> 손가락근육 -> 사지근육 -> 몸통근육 -> 갈비사이근 -> 가로막근 순으로 마비가 일어난다.
회복은 이의 역순이다.
-4) 약물약동학
장내 흡수력이 떨어지고, CNS세포나 장세포를 통과하지못한다.
약물은 경구로는 흡수되지 않고 정맥내 또는 근육내 주사한다.
-5) 약물 상호작용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 : 저용량에서는 신경근육차단제는 극복하지만, 고용량 신경근육차단제에서는 효과가 없다.
할로젠 마취제: NMJ에서 신경근육차단제의 상승효과가 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 신경근육차단제의 상승효과가 있다.
칼슘채널차단제: 신경근육차단제의 상승효과가 있다.
IV-b) 탈분극(비경쟁적)차단제
-1) 용도:
근이완제로 사용하며, Rapid onset of action 덕분에 마취시 빠른 기관내 삽관이 필요할때 이용한다.
-2) 기전


ACh처럼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하지만, AChE에의해 즉각적으로 분해되는 ACh과 달리 시냅스에서 오랜시간동안 Succinyl-choline은 작용한다. Phase1에서는 탈분극현상으로인해 일시적인 근육의 경련(Fasciculation)이 발생한다. 계속해서 Succinyl-choline이 붙어있다보면 지속적인 탈분극으로인해 추가적인 신호를 전달할수는 없고, 서서히 재분극상태로 돌아온다.(Phase 2) 이때 재분극 상태이지만 여전히 Na채널은 닫혀있고 탈분극은 될수 없어 근육의 이완마비가 발생하는 것이다.
-3) 작용
non-depolarizing agent 대비 AChE(acetylcholinesterase) 저항성이 높다.
succinyl-choline은 혈장내 pseudocholinesterase에의해 매우 빨리 분해되지만, 신경근육접합부에서는 AChE에 의해 쉽게 대사되지 않는다. 약물의 효과는 몇분정도만 지속한다
기전 |
약물종류
|
작용시간
|
부작용
|
경쟁적
(비탈분극)
|
Atracurium
|
최대효과도달시간(분) : 3
최대반응에서 25%회복(분) : 90
|
|
Cisatracurium
|
자발적으로 혈장내에서 분해되는데, 이는 간기능 및 신기능에 의존적이지 않다. 다발성장기부전환자에게 사용한다.
|
||
Pancuronium
|
최대효과도달시간(분) : 3
최대반응에서 25%회복(분) : 86
|
|
|
Rocuronium
|
최대효과도달시간(분) :1
최대반응에서 25%회복(분) : 43
|
||
Vecuronium
|
최대효과도달시간(분) : 2
최대반응에서 25%회복(분) : 44
|
||
비경쟁적
(탈분극)
|
Succinyl-choline
|
최대효과도달시간(분) : 1.1
최대반응에서 25%회복(분) : 8
|
|
V. 출처
리핀코트 약리학 _ Lippincott Illustrated Reviews: Pharmacology 6th
'기초의학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위치와 기능 |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 (1) | 2024.11.18 |
---|---|
NSAIDs(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작용기전, 효과, 부작용 (0) | 2024.11.18 |
콜린수용체(무스카린성 수용체/니코틴성 수용체)와 콜린성신경전달물질 (0) | 2024.11.16 |
SGLT-2 억제제의 작용기전 | 효능 부작용 | SGLT2i (3) | 2024.11.16 |
당뇨약 Metfromin(메트포르민)의 기전 | 생화학 | 약리 (2)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