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콜린성 뉴런 (cholinergic neuron) 신경

- 부신수질로 들어가는 신경절전뉴런 (Preganglionic fiber terminating in the adrenal medulla)
- 자율신경계 신경절전뉴런 (autonomic ganglia, 부교감/교감 모두)
- 신경절후신경 중에서는 땀샘으로 들어가는 교감신경분절
- 부교감신경 신경절후뉴런
- CNS
- 체성신경계에서 골격근으로 들어가는 신경
=> CNS / 골격근 / 신경절전신경 / 신경절후는 부교감이랑 땀샘 이정도로 위치는 알면 좋겠다.
II.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작용-재흡수과정

1) 합성
콜린(Choline)에 아세틸코인자임A가 결합하여 합성된다.
2) 저장
만들어진 아세틸콜린은 소포(vesicle)에 쌓여서 보관된다.
3) 방출
신경이 탈분극이 전달되면 신경세포내로 Ca이온이 들어오고 소포(vesicle)이 시냅스로 방출된다.
4) 작용 및 분해
수용체에 붙으면 작용후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콜린 +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5) 재흡수
콜린은 나트륨과 함께 다시 신경세포내로 재흡수 된다.
III. 콜린성 수용체(cholinergic receptor)
무스카린성 수용체, 니코틴성 수용체 두종류가 있고. 모두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니코틴과 결합하지만 친화도의 차이가 있다.
(만약,무스카린 농도가 많이 높아지면 무스카린성 수용체말고 니코틴성 수용체에서도 일부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무스카린 수용체
(Muscarinic receptor)
뇌. 심장, 평활근, 뇌, 외분비샘
|
![]() |
M1
|
위장벽세포에 존재
사용. M1 agonist는 알츠하이머치료제로 이용함
|
M2
|
심장세포
평활근세포
|
||
M3
|
방광
외분비샘
평활근
사용. M3 antagonist는 COPD 치료제로 이용함.
|
니코딘 수용체
(Nicotinic receptor)
|
![]() |
NN
|
CNS
부신수질
자율신경절
|
NM
|
골격근 신경접합부(NMJ)
|
IV. 출처
리핀코트 약리학 _ Lippincott Illustrated Reviews: Pharmacology 6th
반응형
'기초의학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NSAIDs(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작용기전, 효과, 부작용 (0) | 2024.11.18 |
---|---|
콜린작용제(agonist)와 콜린차단제(antagonist)의 종류 효과 부작용 (0) | 2024.11.16 |
SGLT-2 억제제의 작용기전 | 효능 부작용 | SGLT2i (3) | 2024.11.16 |
당뇨약 Metfromin(메트포르민)의 기전 | 생화학 | 약리 (2) | 2024.11.15 |
Verapamil(non-DHP CCB)가 골격근에 작용하지 않는 이유 | 칼슘채널차단제 기전 (0)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