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아드레날린성 신경

아드레날린성 신경은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주된 신경전달물질로 분비를하며, CNS 와 교감신경계에서 발견된다.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 교감신경성이라 보면된다.

■ 노르에피네프린의 합성과 분해과정
1> 합성
노르에피네프린의 전구체인 타이로신(tyrosine)이 신경내로 들어오고 DOPA로 가수분해된다.
2> 저장
DOPA는 가수분해되고 소포내 저장된다.
3> 방출
활동전위가 신경말단에 도달하면, 외부에서 칼슘이온이 들어와 외포작용을 통해 시냅스로 노르에피네프린을 방출한다.
4> 부착
시냅스 후 수용체에 결합하여 기능하며 신호를 효과로 변환하기 위해 cAMP 시스템과 Phosphatidylinositol 시스템을 모두이용한다. 시냅스전 수용체(α2-수용체)에도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조절하기도한다.
5> 분해
시냅스 사이공간에서 확산후 전신순환계로 빠져나가거나, 시냅스 사이공간에서 COMT 에 의해 비활성대사물이 되고 소변내로 빠져나가거나, 신경세포로 다시 재흡수된다. (신경세포 재흡수과정은 TCA 나 SNRI 약물에 의해 억제될수 있음)
II.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는 크게는 alpha 와 beta 수용체로 나뉘고, 두 수용체는 Epinephrine, Norepinephrine, Isoproterenol의 친화도에 따라서 나뉜다. 각각 두그룹의 수용체 또한 세부 몇가지 수용체로 나누어진다.


II-ㄱ. alpha-adrenoceptor
Norepinephrine >> Isoproterenol의 친화도를 갖는다. 하위 수용체 그룹으로는α1,α2로 나뉘어지며,
phenylephrine은 α1>α2, clonidine α2>α1으로 약물마다 하위 수용체 친화도도 다르다.
수용체
|
기전
|
수용체의 위치
|
작용
|
α1 receptor
|
- 시냅스후 기관세포막에 수용체에 작용하며
- classic 아드레날린성 효과를 중개한다.
|
평활근에 위치
|
피부와 내장의 혈관수축작용
말초혈관저항, 혈압상승
|
α2 receptor
|
- 시냅스전 신경 말단에 위치하며,
Norepinephrine의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
- 세포내 cAMP 농도를 낮추는 기전으로 Feedback을 통해 아드레날린의 작용을 억제.
- 부교감신경의 시냅스전 뉴런에서도 발견되고, 여기서는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
|
시냅스전 뉴런 위치.
|
아드레날린작용억제
|
추가적인 하위분류로는 α1A, a1B, α1C 과 α2A, a2B, α2C 로 나누어진다.
tamsulosin은 α1A 차단제인데, 이는 양성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로 많이이용한다. α1A 수용체는 요로계, 전립선에 주로 위치하고 혈관에 주로 있는 a1B 수용체에는 작용하지 않아 심장관련 부작용이 적다.
II-ㄴ. beta-adrenoceptor
Norepinephrine << Isoproterenol의 친화도를 갖는다. 하위 수용체 그룹으로는 β1, β2, β3로 나뉜다.
수용체
|
작용
|
수용체의 위치
|
작용
|
β1 receptor
|
- 에피네프린 = 노르에피네프린 친화도가 같다.
|
- 심장근육
|
심근수축력증가
심박수증가
|
β2 receptor
|
- 에피네프린 >> 노르에피네프린 친화도이다.
|
- 혈관구조의 골격근
( β2 >> α1 )
|
혈관과 평활근이완
|
β3 receptor
|
- 방광배뇨근
- 지방분해
|

(참고>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카테콜아민에 지속적으로 수용체가 노출되면, 수용체의 반응성이 떨어지며 탈감작된다.)
III. 출처
리핀코트 약리학 _ Lippincott Illustrated Reviews: Pharmacology 6th
'기초의학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드레날린 차단제(adrenergic antagonist)의 기전과 종류 (2) | 2024.11.18 |
---|---|
아드레날린 작용제 (adrenergic agonist)의 작용기전, 종류 (1) | 2024.11.18 |
NSAIDs(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작용기전, 효과, 부작용 (0) | 2024.11.18 |
콜린작용제(agonist)와 콜린차단제(antagonist)의 종류 효과 부작용 (0) | 2024.11.16 |
콜린수용체(무스카린성 수용체/니코틴성 수용체)와 콜린성신경전달물질 (0)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