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신경

DSM-5 양극성장애 | 순환성장애 | 주요우울장애 진단기준과 차이점

medhamstern 2024. 11. 16. 19:24
반응형

I. 기분장애는 아래 DSM5 기준 하위항목들로 구분된다.

양극성 및 관련 장애(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1
제I형 양극성장애 Bipolar I Disorder
2
제II형 양극성장애 Bipolar II Disorder
3
순환성장애 Cyclothymic Disorder
4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양극성 및 관련 장애Substance/Medication-Induced Bipolar and Related Disorder
...
기타 여러가지 양극성 관련장애...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1
파괴적기분조절부전장애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2
주요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3
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증)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Dysthymia)
4
월경전불쾌감장애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5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우울장애Substance/Medication-Induced Depressive Disorder
...
기타 여러가지 우울장애

II. 순환성장애 와 양극성장애, 주요우울장애 사이 감별

순환성장애
순환성장애 DSM5

 

■ 기분삽화의 유무

- 주요우울삽화 또는 경조증, 조증 삽화수준의 우울함 또는 기분고양감은 아니여야다는 점으로 우울 증, 또는 양극성장애와 감별된다

■ 기간의 차이

- 기간이 2년이상, 무증상기가 2개월이상이면 안된다.

MDD: 2주 이상 의 우울삽화 Bipolar I: 1주이상의 조증삽화 Bipolar II 4일이상의 경조증삽화

-> 기간의 차이가 있다.

III. 지속적 우울장애와 주요우울장애사이 관계

지속성우울장애 DSM5
지속성우울장애 DSM5

 

  • 지속적기분저하증은 MDD와 동시진단이 가능하다.

IV. 파괴적기분조절장애(DMDD)의 진단 그리고 적대적 반항장애 사이의 감별

파괴적기분조절장애 DSM5파괴적기분조절장애 DSM5
파괴적기분조절장애 DSM5

■ 나이

10세이전 발생하며, 6세이전 또는 18세 이후 처음진단 불가능함

 

■ 양극성장애와 동반이환할수 없다

> 조증/경조증 삽화를 경험했다면 양극성 장애로 진단해야한다.

 

■ 적대적 반항장애, 간헐적폭발장애와 동반이환할수 없다.

 -> DMDD의 경우 반복적이고 빈번한 분노발작과 함께 평소에도 과민한 상태가 유지되며 이러한 기간이 1년이상 되는 소아 또는 청소년에게 진단할 수 있다. 평소의 기분상태는 좋으나, 권위에 대해서 반발하고 보복하는 적대적반항장애와 감별이되는 지점이다.

 

■ 주요우울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품행장애, 물질사용장애와는 동반이환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