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

골다공증(Osteoporosis)와 골감소증(Osteopenia)의 원인, 진단 | DXA 해석

medhamstern 2025. 1. 14. 20:05
반응형

I. 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

골다공증 뼈의 강도가 감소하고 골절의 위험성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뼈의 강도골량(bone quantitiy)와 골질(quality)​로 결정된다.

  • WHO 골다공증의 정의

- BMD peak bone mass (20-29세)보다 2 standard deviations 이상 감소하는 경우를 말한다.

- T점수가 -2.5 이하

  • 골다공증의 영향

- 골절, 뼈통증, 키 감소, 신체적 변형

■ 골절 위험성과 관련된 요소

1) Bone density (뼈의 밀도)

2) Bone quality (뼈의 질)

- 뼈의 미세구조

- 뼈의 턴오버

- 손상의 축적 (미세골절)

- 미네랄화 과정

3) 낙상, 외상

4) 나이

- 연령의 증가와 함께 크게 증가

- 뼈의 부위마다 골절 위험성이 다름

▶ Colles fracture(손목 골절): 60대 중반에 상승한후 이후 고원기

▶ 고관절 골절: 여성에서 65세 이후 급상승

▶ 척추 골절: 고관절 골절보다 빨리 발생

-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5~10년 늦게 진행함

5) 성별 차이

- 같은 골밀도를 갖더라도 bone size가 남성이 더커서 골절의 위험성이 낮음

6) 인종,지역적 차이

- 위험도: European Americans > Asian, Hispanics Americans > African Americans

연령별, 성별 골절부위와 골절발생률
연령별, 성별 골절부위와 골절발생률

 

■ 골다공증 골절 부위

  • Spine : 가장흔함
  • Proximal femur : 높은 사망률, 고비용이 발생하는 골절
  • Distal forearm
  • Proximal humerus, Pelvis

■ 골다공증 병태생리

 
최대 골량에 도달하지 못함
골소실 속도의 증가
  • 유전적 요인(가장 주된 요인)
  • 영양부족(Calcium, Vit D)
  • 체중부하 운동의 부족
  • 흡연
  • 호르몬 부족
  • 성호르몬 영향
- 폐경(여성호르몬의 감소)
- ​노화(남성호르몬의 감소)
  • 부갑상샘 호르몬 이상
  • 영양부족(Calcium, Vit D)
  • 흡연, 음주
  • 약물

1] 연령관련 골소실 (여성)

폐경이행기, 폐경기에 골소실증가

폐경기의 에스트로젠 감소 → 사이토카인 변화 → 골흡수 > 골생성

비만여성은 골소실 속도가 느림(지방조직에서 aromatization 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에스트로젠이 높음)

2] 기타 이차성 골소실 원인

● 내분비 질환

- 부갑상샘항진증, 쿠싱증후군, 성선기능저하증, 갑상샘기능항진증

약물

- Glucocorticoids (골생성 억제)

- 항경련제 (Vit D 대사 억제)

- 알코올 (osteoblast 기능억제)

영양

- 영양실조 (Vit D 결핍)

- 간담도질환

Malignancy

-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결합조직 질환

- 말판증후군, 골형성 부전증, Enlers-Dnalos 중후군

II. 골다공증 증상 | 진단 | 평가

Physical Examination

 

척추후만증(kyphotic spine)
후만증(kyphotic spine)

 

- 신장감소 : 젊은 시절 대비 4cm 이상 감소척추골절의심

- 상부 흉추 후만증(kyphotic deformity)

■ 골다공증에서 골강도 평가

골의 강도 = 골량(bone mass) + 골질(bone quality)를 평가

- 골량 = 골밀도 측정

- 골질 = 뼈의 구조, 피로 누적, 무기질화 , 미세손상

 

골밀도 측정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XA) 이용

 

골밀도 측정 적응증

- 골절의 위험인자가 없는, 65세 이상 여성/ 70세 이상 남성

- 골절의 위험인자(저체중, 비외상성 골절 관련 병력, 40세이전 폐경)가 있는 폐경후 여성/ 50세이상 남성

- 비외상성 골절

- 골밀도 감소 질환 (RA or Steroid 약물 복용자)

Z-score

- 폐경전여성, 50세 미만 남성

- 같은 성별, 민족, 나이의 평균값과 비교

- Z-score ≤ -2.0 = 연령 기대치이하 ⇒ 이차성 골다공증 평가 필요

T-score

- 폐경후여성, 50세 이상 남성

- 같은 성별, 민족의 젊은성인 평균값과 비

진단
T-점수
골감소증(osteopenia)
-2.5 < T점수 < -1.0
골다공증(osteoprosis)
T점수 ≤ -2.5
심한 골다공증
(severe osteoprosis)
T점수 ≤ -2.5 + 한개이상의 골다공증 골절 존재

● DXA 결과 해석

L-spine, Femoral neck, total hip 중에서 T-점수가 -2.5 이하인 폐경후 여성, 50세 이상 남성 = 골다공증

 

▶척추 골밀도 해석

기본적으로 L1-L4의 평균치 이용한다. 척추의 압박골절, 퇴행성 변화, 대동맥석회화, 보형물로 인한 변화가 있으면 실제 골밀도 보다 높게 측정된다. 따라서 1)구조적 이상이 보이는 척추분절은 제외한다. 또한 L1-L4로 갈수록 정상적으로는 골밀도가 증가해야하지만, 이러한 2)경향성에 맞지 않는 척추분절3)주위 척추와 1 표준편차 이상 T-점수가 차이나는 척추분절은 제외​하고 평가한다.

 

▶ 대퇴골 골밀도 해석

femur(대퇴골) xray
femur

 

대퇴골 Total과 대퇴골 경부(neck) 골밀도 중 낮은 부위로 결정한다. Ward's와 대퇴골 전자부(Trochanter)는 사용하지 않는다.

■ 혈액검사

  • 칼슘, 인, ALP, PTH를 측정 (이차성 원인 의심)

■ Bone turnover marker (골교체 표지자)

- 골대사를 간접적으로 반영함, 골다공증의 진단에는 이용X

- 골다공증 치료반응 평가 가능

· 골흡수 억제제 사용: 골흡수 표지자 감소

· 골형성 촉진제 사용: 골형성 표지자 상승후 골흡수 표지자 상승

bone turnover markers
Bone turnover mark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