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

골관절염(Osteoarthritis): 정의, 병태생리, 양상, 치료법 가이드

medhamstern 2025. 3. 9. 06:17
반응형

I. 골관절염의 정의 & 병태생리

- 가동관절(diarthrodial joint)에서 관절연골의 손실로 인해 뼈와 뼈가 마찰하여 통증과 신생골형성을 일으키는 질환.

- 가장 흔한 관절질환으로 50세 이후 성인에게서 주로 보임

- 위험인자 : 고령, 여성, 비만, 직업(운동선수, 농부, 광부, 기계공업근로자), 관절손상(ACL손상,반월상연골판 손상), 관절주변 근력저하, 염증성관절질환 병력

■ OA의 병태생리

1) cartilage & subchondral bone은 정상적이나 관절에 가해지는 힘이 과도함

2) 관절에 가하지는 힘은 정상적인 수준이나, cartilage & subchondral bone이 상태가 안좋은 경우

● articular cartilage

- 초기에는 hypertrophic repair

- 진행되면 관절 표면이 얇아지고, 연골의 강도가 약해지고, cartilage ulcer가 발생

bone hypertrophy

- appositional bone growth → subchondral sclerosis

- osteophyte 발생

II. 골관절염의 양상

1) 관절통증

- deep, localized, asymmetric

- 운동 또는 활동시 악화, 휴식시 완화되는 특징

- 서서히 악화되는 통증, 말기에는 nocturnal pain 가능

- 조조강직 (짧은 시간 < 30분)

2) 진찰소견

- localized tenderness, soft tissue swelling

- 관절 염발음

- 관절주위 근육위축, 관절운동 감소

3) 관절별 소견

■ 손

Heberden's node = DIP (m/c)

Bouchard's node = PIP

Thumb = 1st CMC joint : osteophyte, 기능손상, swan-neck deformity

손에서 발생한 관절염
 

- 엄지발가락의 MTP joint

무릎

- osteophytes, tenderness, crepitus, patella를 누를 경우 통증

→ medial OA : varus deformity : 안짱다리

→ lateral OA : valgus deformity : 외반슬, X자 다리

외반슬과 내반슬의 골격
 

고관절 

- 서혜부 통증 ~ 대퇴부 무릎통증까지 가능

- internal rotation → extension → adduction → flexion 순 으로 운동능력 상실

척추 

- L3-L4가 가장 흔함

III. 골관절염의 소견

■ 영상 소견

- osteophytosis (골극의 형성)

- joint space narrowing (uneven, unilateral, irregular)

- subchondral bone sclerosis

- central subchondral erosion (gull-wing / sawtooth)

무릎 관절염의 xray
내측 관절사이 간격이 좁아져있는 medial OA의 사진 붉은 화살표 : 골극형성 ❘ 초록 화살표 : 연골하 뼈의 경화 소견

손가락관절염 xray
손가락 관절염의 사진 DIP joint 에서 관절사이가 좁아져있고, 골극이 자라나 있다. (sawtooth) 상대적으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MCP joint는 괜찮다

■ 골관절염의 혈액검사 소견

- ESR, CBC, U/A 등 모두 정상소견이다. 염증성 관절염을 감별하기 위해 시행한다

■ 골관절염의 관절천자 소견

- WBC < 2000 이하(단핵구 위주)이며, 맑고 투명한 관절액 성상을 보인다

IV. 골관절염의 치료

1) 골관절염의 비약물치료

■ 관절 부하 감소

- 과도한 활동은 줄인다, 관절보호대, 지팡이 등을 이용하여 체중부하를 줄인다. 비만할경우 체중을 감량한다. 적절한 운동을 통해 관절 주위 근육의 강화와 체중감소

■ 물리치료

- 온열치료(통증, 강직의 감소), 관절통증을 완화하고 근육을 강화할수 있는 수영, 산보 운동 병행

2) 골관절염의 약물치료

acetaminophen

기본적인 약물, mild pain에서는 효과가 있으나 Nsaid 대비 효과 ↓

NSAIDs (naproxen, ibuprofen)

- 효과는 AAP보다 높으나 부작용 문제가 존재함, 처음엔 통증시에만 이용하도록

- 위궤양, 위장관출혈의 위험성 → PPI 병용 or cox2- inhibitor 교체

- 신기능감소, 혈압증가, 혈소판기능억제부작용 존재함.

selective cox2-inhibitors (celecoxib)

- UGI 부작용 고위험군에서 사용 (고령, 스테로이드이용, 항응고제이용, UGI bleeding Hx.)

- cox2-inhibitors와 diclofenac의 경우 혈소판억제효과가 없어 심혈관질환의 위험성 ↑

- cf) naproxen : 심혈관위험성 X

■ topical NSAIDs

- 경구 nsaid 대비 효과는 약간 떨어지나, 부작용은 적다.

- 관절과 피부가 가까운 무릎,손 관절염에서 권장 (고관절 X)

- 피부 자극 증상이 발생 할수 있음

■ 관절강내 glucocorticoid 주사

- 3개월 이상 간격을 두고 시행, 통증이 심하나 다른 치료에 반응 없을 경우에 단기간으로 고려

■ 관절강내 hyaluronic acid 주사

■ 기타 진통효과를 위한 약

- duloxetine , Capsaidin cream, Tramadol

3) 골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 약물과 비약물적 치료로 통증과 관절장애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 시행

- osteotomy, arthroplasty,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