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Biophysical Profile (BPP) 평가지표
1) marker (RBMTV)
■ acute marker
- NST : 활동성(2), 비활동성(0)
- fetal breathing : 30분에 30초 이상(2)
- fetal movement : 30분에 3회 이상(2)
- fetal tone : 30분에 1회 이상 (2), 사지의 폄 또는 굽힘
■ chronic marker
- 양수량 : AFI < 5cm or Largest pocket < 2cm 일경우 0점 아니면 2점
2) BPP 지수에 따른 management
- BPP 10점
> 산과적 처치 필요 없음, 1주일 후 재검
- BPP 8점 + 양수량 정상
> 산과적 처치 필요없음, 1주일 후 재검
- BPP 8점 + 양수량 감소
> 분만
- BPP 6점
양수량이 비정상 > 분만
양수량이 정상 + 36주 이상 + 자궁경부 상태 양호 > 분만
나머지는 재검, 재검후 6점 이하일 경우 > 분만
- BPP 4점
당일 재검후 6 이하일경우 > 분만
- BPP 2점
> 분만
3) NST 검사에서 활동성 평가
20분 동안 2회이상, 태동과 함께 15회/분 이상 상승하여 15초간 지속되는 태아심음 상승이 존재하는 경우
초기 검사에서 음성일경우 20-40분간 NST 추가관찰
NST 검사지 한칸은 보통 10초, 1.5칸 이상 15회/분 이상 상승하는 활동성 결과임을 볼 수 있다.
◈ 정리
양수과소증이 있음 → 분만
36주 이후 + 6점 → 분만
재검후 6점 이하, 0-2점 → 분만
II. 태아 심장 박동 패턴
1) 정상 심박수와 빈맥
- 일반적으로 110 - 160 bpm
- 빈맥 160 bpm 초과 10분 이상
- 빈맥의 원인 : 모체 발열, 융모양막염, 태아가사, 부정맥, 모체 약물 사용에 의함
2) beat to beat variation



- moderate (6 ~ 25 bpm)
- minimal (5 bpm ↓) : fetal compromise , 정상미숙아, 약물: analgesic drug, Mg sulfate
- absent : fetal compromise를 나타내는 가장 신뢰성 있는 지표, HR 감소와 동반할 경우 응급 제왕절개술 고려
- sinosoidal pattern : fetal anemia or hemorrage, 약물 : opioid drug


◈ beat to beat variation management
- Absent variability 단독 : 높은 태아가사 가능성 → C/S
- Minimal variability + 위험인자 → C/S
> 위험인자
1} FGR : 태아성장지연
2} 도플러 이상 : absent or reversed end-diastolic flow
3} 양수량 : AFI < 5cm or single pocket < 3cm
4} 서맥 : baseline HR < 110 bpm
5} 심한 전자간증
6} 태반조기박리의 의심
7} 지속적인 late decelelation
- Minimal variability + 위험인자 X → 면밀히 경과관찰
3) periodic fetal heart rate change
■ Early deceleration

- 자궁수축과 HR 감소 및 회복이 거울상으로 일어남
- onset to Nadir 사이 30초 이상 시간이 필요함
- 원인 : Fetal head compression으로 인해 태아 미주신경자극으로 인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정상으로 간주되는 소견
- 처치 : lateral decubitus with monitoring
■ Late deceleration

- 수축중 FHR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HR가 수축이 완료된 후 정상화 되는 소견
- onset to Nadir 사이 30초 이상 시간이 팔요함
- 원인 : uteroplacental insuffciency (태아 저산소증, 대사산증, 모체 고혈압, 교통사고, 박리) Tachysystole : 자주 또는 너무 많이 자궁이 수축하는 경우
- 처치 : oxytocin을 주고 있다면 중단, lateral decubitus + fluid, O2 mask / 반응하지 않는 경우 제왕절개술
■ Variable deceleration

- 30초 내에 FHR이 15bpm 이하로 감소하는 것
- 자궁 수축과 무관하게 시작하며 모양이 다름
- prolonged variable decleleration의 경우 태아 저산소증으로 이어질수 있음
- 원인 : Cord compression, 양수량의 감소
- 처치 : Cord compression 이 내진 통해서 확인된 경우 : 즉시 c/s
: Cord compression 이 없는 경우 자세 변화 후 면밀히 관찰 변화 > Fetal scalp pH 측정 후 7.2 미만이면 c/s
■ Prolonged deceleration
- 산발적인 FHR 감소가 15bpm 이상이며, baseline으로 돌아오는데 2~10분 정도 걸리는 경우
- 원인 : 자궁과활성, 탯줄압박,저혈압, 태반박리, 경련 등 태아 저산소증의 위험과 관련되어 있음
III. Fetal distress (태아곤란증)
1) Uteroplacental insuffciency
Fetal hypoxia : late deceleration
Acidemia : absence variability
2) 처치 및 관리
- oxytocin 사용중이였다면 중단
- 내진을 통해 umbilical cord prolapse 확인 (variable deceleration)
- Lateral decubitus , 산소 공급
- 산모의 저혈압 확인 후 교정
- 분만을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c/s을 함
'산부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x cord-stromal tumor (성끈간질종양)의 종류와 치료 | 비상피성 난소종양 (0) | 2025.04.17 |
---|---|
생식세포 종양의 분류와 기원, 치료법 비교 | 비상피성난소종양 (0) | 2025.04.16 |
응급피임약 vs 낙태약의 종류 및 기전 | Emergency Contraceptives and Medical abortion (0) | 2025.04.11 |
임신주수에 따른 산전진찰 항목 정리 (0) | 2025.04.06 |
산과 총론 | 산과적 통계와 임신 중 태아 발달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