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학

산과 총론 | 산과적 통계와 임신 중 태아 발달

medhamstern 2025. 4. 5. 23:31
반응형

I. 산과적 통계작성

 임신경력

- 미임부(nulligravida) : 임신경험 X

- 초임부(primigravida) : 한번 임신을 경함 한 여성

- 다임부(multigravida) : 두 번 이상 임신경험이 있는 여성

 출산력

임신 20주 이상 태아를 분만한 횟수에 의해 결정된다

- 미산부(nullipara) : 20주 이상 태아를 분만한 경험이 없는 여성

- 초산부(primipara) : 20주 이상 태아를 분만한 경험이 1회인 여성

- 다산부(multipara) : 20주 이상 태아를 분만한 경험이 2회 이상인 여성

산과력 

[ 만삭 - 조산 - 유산 - 생존아 ]

- 만삭 : 37주 이상으로 낳은 아이 수

- 조산 : 20주 ~ 36주 6일 사이 낳은 아이 수

- 유산 : 20주 이내 태아 사망

- 생존아 

통계 기준

- 출생률 = 출생아수 / 인구 1000명

- 출산율 = 출생아수 / 15-44세 여성 인구 1000명

- Neonatal death :  생후 7일까지(early), 생후 8-29일(late)

- Infant death : 출생후 1년 내 사망 

II. 임신중 태아의 발달

■ 태반에서의 물질통과 

Simple diffusion 산소, 이산화탄소, 물, 마취가스
철과 칼슘을 제외한 전해질
insulin, steroid, thyroid hormone, hCG, hPL
fatty acid, amino acied
Facilitated diffusion glucose
galactose
latcate
IgG
Active transport Vitamin C
Iodine
phosphorus
칼슘이온, 철이온, 아연 

 

■ 태아의 발육 

임신 주수(GA) 태아 발육 정도
4-5 주 G - sac 임신확인 가능
6 주 fetal heart action
7 주 embryonic pole
8 주 fetal brain
12 주 자궁이 골반 밖으로 나오기 시작함, CRL 5-6cm, 태아 움직임 시작
16 주 태아 골격 확인, 외부 생식기 확인 가능
20 주 HOF가 배꼽 위치 (20 - 32주 HOF = GA)  

 

■ 임신 주수 평가 

1) 제1 삼분기 (~ 14주)

- CRL(crown rump length) : 머리엉덩길이로 판단

2) 제2 삼분기 (15~28주)

- BPD(biparietal diameter) : 양쪽 마루뼈 지름 길이로 판단 

- HC(head circumference), AC(abdominal circumference), FL(femur length)

3) 제3 삼분기 (29주 ~)

- 단일지표로 판단하기 어려움

 

■ 태아 순환

● 출생후 태아순환의 변화 

(1) 폐동맥압의 감소 → 대동맥과 폐동맥사이의 압력차로 인해 폐쇄 

(2) 동맥관을 지나는 산소농도로 인해 폐쇄 (PaO2 > 55mmHg)
> 동맥관 확장 : PGE1

> 폐쇄 촉진 : PG synthase inhibitor(indomethacin)

● 태아의 low O2 tension 

- 태아 제대정맥의 산소 포화도는 68%로 낮음

- 높은 Hemoglobin 농도로 보상 (18g/dL)

- 체중대비 심박출량이 높음

- HbF는 oxygen affinity가 높음 (shift to left)

 

▼ 태아순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2024.11.18 - [심장학/소아심장학] - 태아순환의 특징 | 태아순환과 출생 후 순환의 차이점

 

태아순환의 특징 | 태아순환과 출생 후 순환의 차이점

■  태아순환과 성인기 순환의 차이점 1} 동맥혈이 흐르는 곳이 다르다.동맥혈(산소포화도가 가장높은 혈액)의 시작점이 성인순환에서는 폐에서 산소교환을 마친직후, 즉 폐와 폐정맥에서 시

medhamstern.tistory.com

 

■ 태아의 조혈기관 

태아의 조혈기관

임신 1,2,3 분기 → Yolk sac, Liver, Bone marrow 순으로 주요 조혈작용이 일어난다. 

■ 태아의 폐성숙 

- 태아의 폐성숙 촉진

≒ fetal distress

모체 신장질환, 모체 심장질환, 고혈압, 태반경색, 융모양막염, PPROM, 태아성장지연

- 태아의 폐성숙 지연

임신성 당뇨

- 양수천자를 통한 태아 폐성숙도 측정

임신 32-33주경 lecithin & sphingomyelin 은 균형을 이루나, 이후 lecithin 농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L/S ratio 가 상승한 경우 태아 폐에서 더 많은 계면활성제가 있다는 것이고 출생 후 영아 호흡곤란증후군의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말한다.

L/S ratio < 1.5 인경우 infan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의 높은 위험도와 연관되어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