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학

임신주수에 따른 산전진찰 항목 정리

medhamstern 2025. 4. 6. 20:15
반응형

♣ 임신주수에 따른 산전검사항목

임신주수에 따른 산전진찰 항목

첫 방문 검사  위험 평가 
분만 예정일 산출
pelvic and cervical examination
Hct(Hb), ABO, Rh factor
urinanalysis, urine culture
Rubella, syphilis, chlamydia, HBsAg, HIV, Pap smear
매방문 마다 검사 - 엄마 검사 
BP, weight, fundal height, contraction
Bleeding, Membrane rupture
- 태아 검사
HR, Fetal movement, size, 양수량, 양막파열여부, 선진부 및 하강도 
11-14주 태아 염색세 이상 선별검사(dual marker test) 
PAPP-A, hCG + nuchal translucency
15-20주 태아 염색세 이상 선별검사(triple or quad test)
MS-AFP, hCG, estriol + inhibin 
24-28주 Hct(Hb)
50g OGTT 당뇨병 선별검사
28주 Rh(-) 여성에서 항체검사, 적응증일 경우 anti-D Ig 투여

  산전진찰간격

28주 : 4주 간격
29-36주 : 2주마다
37주 이후 : 매주 
 

I. 임산부진찰

■ 위험신호평가

- 질출혈 : 유산의 가능성
- fluid 유출 : PROM의 가능성
- 전자간증의 의심소견 
손가락 및 얼굴 부종 (단, 하지 부종은 정상적임)
심한 두통 또는 시력저하
구토, 복통
- 오한, 열, 배뇨곤란 : 요로계 감염 확인
- 태아 움직임 횟수 및 강도의 변화 

■ 분만예정일 산출 

최종월경일 : 3개월 + 7일 / +9개월 +7일

■ 신체 진찰

- 복부 진찰

HOF(height of fundus)는 자궁저부 ~ 치골사이 거리
12주 : 치골 바로 위에서 촉지 됨, 자궁이 골반밖으로 나오기 시작함
20~34주 :  HOF와 주수가 일치함
32주 : Xyphoid process에 도달함
34주 이후 : 양수의 감소로 인해 약간 줄어든다

- 골반 진찰

외음부 진찰 → 질경검사 → 내진 → bimanual exam
골반계측을 통해 cpd 가능성 확인

III. AFP(알파태아단백)

■ 변화양상

- 농도 변화 및 측정

임신초기 yolk sac에서 생성 이후 태아 간 및 소화기계 조직에서 생성됨
태아 혈장, 양수 내 AFP = 13주에 peak, 이후 감소
모체 혈장 AFP (MSAFP) = 12주 이후 증가하여 임신 33주에 최고 농도 도달
임신 15-20주 [MSAFP, hCG, Estriol, Inhibin] 쿼드러플 테스트 진행
임신주수 대비 AFP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하므로 정확한 임신주수측정이 중요함.

- AFP의 상승요인

1) 저평가된 임신주수 (기준이 되는 임신주수가 실제보다 빠름)
2) 다태아 임신 (절대량이 증가함)
3) 태아 사망 (AFP의 상승 및 하강 모두 해당)
4) Neural tube defect (m/c) (양수에 태아 조직이 노출)
5) Gastroschisis (양수에 태아 조직이 노출)
6) Omphalocele (양수에 태아 조직이 노출)
7) GI tract obstruction
8) Oligohydramnios (농도가 높아진다 생각)
9) Maternal hepatoma or teratoma (liver cancer marker, AFP)

- AFP의 감소 요인

1) 고평가 된 임신주수 (기준이 되는 임신주수가 실제보다 늦음)
2) DM (임신주수 고평가 가능요인)
3) Obesity (임신주수 고평가 가능요인)
4) trisomies 21/18 (다운증후군 선별검사로 이용)
5) 태아 사망 (AFP의 상승 및 하강 모두 해당)
6) GTD

■ AFP의 평가

- MSAFP가 감소한 경우

quad test or triple test를 통해 평가함
다운증후군 환아 ; [MSAFP ↓, hCG ↑ , unconjugated estriol ↓ , Inhibin ↑]
→ USG로 임신주수 재측정
양수천자, 태아혈액으로 핵형검사 시행

- MSAFP가 증가한 경우 (aFP > 2.00)

standard sonography : 임신주수를 재측정
→ aFP < 2.50 = 정상
aFP > 2.50 = specialized sonography(기형확인), 양수천자 고려

 

IV. 침습적 산전진단 (융모생검, 양수천자, 탯줄천자

■ 침습적 산전진단 검사가 필요한 경우

1} 산모나이가 35세 이상인경우
2} 초음파에서 염색체 이상 위험이 높은 경우
3} 이전 임신에서 autosomal trisomy가 확인된 경우
4} 병합 염색체이상 선별검사에서 비정상
5} 산모 혹은 배우자가 balanced translocation 이 있는 경우

■ CVS(융모막융모생검)

검사 시기: 10-12주, 임신 제1 삼 분기
임상적 이용 : 염색체검사 및 유전자 수준 질환 진단 가능 (단, NTD 불가)
빠른 시기 검사가 가능하나, 양수천자대비 fetal loss 가 높음

■ Amniocentesis (양수천자)

검사 시기 : 15-20주 (early는 11~14주)
임상적 이용 : L/S ratio 측정, 염색체 분석, NTD 확인

■ Fetal blood sampling (탯줄 천자)

검사 시기 : 20주 이후

임상적 이용 : 배꼽정맥에서 채취함, 혈액응고 질환, 태아감염질환, 태아 염색체 확인, 태아 수혈

V. 기형 vs 변형 vs 파열

기형 : 유전자 자체가 문제 m/c
변형 : 자궁 내 환경으로 인해 비정상모양 발달
파열:  심한 변화로, 정상 조직이 변형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