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학

여성생식주기 : Estrogen, Progesteron, hCG 호르몬의 합성경로와 기능

medhamstern 2025. 4. 3. 02:43
반응형

I. 생식주기

여성호르몬의 분비 조절 생식주기

■ 여포기와 황체기

1) Follicular phase

- 여포기 =  proliferative phase
- 난소 내 dominant follicle estrogen 분비함 
- 전체 월경주기에 영향을 주는 기간이다
- 배란직전까지 estrogen 증가함 
- 여포기 초기에는 FSH > LH인데, FSH가 일차난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함

2) Ovulation

- 배란 전 1-2일간 급격히 LH의 양이 증가(LH surge). FSH surge도 작지만 발생한다.
- 평소에는 음성피드백이 작용되나, 배란직전 에스트로겐 → LH, FSH 사이 양성피드백이 일어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 폐경 전 몇 개월 또는 초경 후 초기에 무배란 주기가 발생하는데, 이는 LH surge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3) Luteal phase 

- 황체기 = secretory phase
- Corpus luteum에서 progesteron의 분비 
- 황체기 중반까지 점차 증가하고, 생리 때까지 다시 줄어듦
- 황체기의 평균기간은 14일로 고정 
- 황체에서 분비되는 Inhibin으로 인해 FSH의 분비를 억제하고, 이후 황체를 퇴화시킨다.

■ 자궁내막의 변화

- estrogen에 의한 자궁내막의증식
- estrogen과 progesterone에 의한 glandular secretion
- 이후 자궁내막 spiral a. 의 수축을 시작으로 조직이 떨어져 나감 

 

II. Estrogen

■ 에스트로겐의 생산

에스트로겐은 난소에서 주로 합성되며 콜레스테롤을 주재료로 하여 합성된다.
안드로겐(ADD, Testosteron)이 먼저 합성된 후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된다.
Theca cell이 LH의 자극에 의해 androgen을 합성하고, granulosa cell이 FSH 자극에 의해 에스트로겐으로 변환한다

■ 에스트로겐의 종류

- 비임신여성 : Estradiol(E2)
난소 granulosa cell에서 생산된다
E1, E3 대비 효능이 각각 12배 , 80 배로 가장 주된 에스트로겐이다.
- 임신여성 : Estriol(E3)
태반에서 생산된다
임신 18주경 시행하는 triplet test의 측정항목이다(aFP, hCG, unconjugated estriol)
- 폐경여성 : Estrone(E1)
부신 겉질, 피부, 지방조직에서 Androstenedione이 aromatase에 의해 전환됨.

■ 에스트로겐의 기능

- 여성 성기관에 미치는 영향

사춘기 이후 vagina epithelium을 입방상피세포를 중층형 상피세포로 변화시킨다.
자궁의 크기를 2-3배 정도 증가시키고, 자궁내막 기질세포의 증식을 일으킨다
난관 내 섬포상피세포수를 증가시켜, 자궁 내 수정란의 움직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 유방에 미치는 영향

유방 기질조직의 발달 및 지방 침착이 일어나게 한다.

- 골격계에 미치는 영향

파골세포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osteoproteogerin 자극으로 인해 뼈흡수를 억제한다. (폐경 후 골다공증)
성장판을 닫는 역할을 하며, 테스토스테론보다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성장의 중지가 빠르게 되는 이유이다.

- 신체 대사 및 피부

신체의 대사율을 증가시키나, 테스토스테론의 1/3 정도 수준이다.
조직내 지방침착을 증가시켜 남성대비 체지방률이 훨씬 크다.
피부에 보온력 증가를 위한 혈관 발달을 증가시킨다.
피부결을 부드럽게 한다.

- 전해질 및 수분평형

aldosterone처럼 나트륨 재흡수 및 수분 저류를 일으키나 효과는 미미하다.
단, 임신 여성에서 매우 높은 에스트로겐 수치는 임신 중 체액저류를 일으킨다.

III. Progesteron

■ 프로게스테론의 합성

배란 후 황체기에 granulosa-lutein cell에서 LH 수용체가 증가하고, LH의 자극에 의해 프로게스테론이 생산된다.

■ 프로게스테론의 기능

- 여성 성기관의 변화

자궁내막의 분비변화를 유도하여 수정란의 착상을 위한 준비를 한다
난관의 점막내막에 의한 분비 또한 촉진한다

- 유방에 미치는 영향

유방의 소엽 및 꽈리의 발달을 향상한다
체액증가 및 기능 발달로 인해 유방의 팽창하도록 한다.

- 임신 관련 기능

자궁의 relaxation을 유지한다
출산 및 수유의 준비

IV. hCG

임신중 hCG의 농도

■ hCG의 생산과 구조

임신 시 syncythiotrophoblast에서 착상 이후 합성된다.
착상 후 일주일 이후부터 혈장 또는 소변에서 검출이 가능하다
임신 8-10주경 peak level에 도달한 이후 감소한 뒤 일정 수준을 유지한다.
alpha unit과 beta unit으로 구성되며 alpha unit은 LH, FSH, TSH와 동일하다.

■ hCG의 기능

- 임신초기 황체를 유지한다
hCG가 황체를 유지 → 임신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progesterone이 생산되도록.
Luteoplacental shift: 임신 6주경 충분히 태반이 발달하게 됨 → 이후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 합성은 감소하고 황체에서 태반으로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전환되는 것. 

■ hCG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

- 다태아임신
- 태아용혈성 빈혈
- GTD : H-mole, choriocarcinoma
- 임신 중기 다운증후군 아이를 임신한 여성

■ hCG의 농도가 낮게 나오는 경우

- 절박유산(threatened abortion)
- 자궁외임신(ectopic preganancy)
- 태아사망(fetal death)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