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난자형성과정과 배아발생과정

medhamstern 2025. 4. 2. 20:09
반응형

I. 난자형성과정과 수정

■ Oogenesis (난자형성)

난자형성과정

1) 출생 전

- 임신 5-7주 
생식선으로 이동하여 mitosis 
- 출생 시 
1st meiosis(1차 감수분열) diplotene(전기)에서 중지
출생 시 200만 개의 primary oocyte 정지 중

2) 사춘기 이후 

- 초경 이후
배란 전 감수 1 분열 완료 > secondary oocyte
이후 2차 감수분열을 진행하나 감수 2 분열 중기에서 중지
- 수정 시 
정자가 수정하면 이후 2차 감수 분열을 완료하게됨
mature oocyte가 됨

3) 폐경 

35세까지 달마다 1000개의 follicle 소모 

■ 수정(fertilization)

수정과정

위치 기간  상태  
ampulla 수정 직후  zygote(접합자)
blastomere(할구) 
* blastomere
- 세포가 나누어진 상태
자궁내 진입 수정후 3일  morula(상실배) : 16개 이상 딸세포 존재함 * Morula
- Totipotent 한 세포 
- 태아 및 태반 부속기관까지 형성 가능
- 배아전체를 만들수 있는 세포 
endometrium 수정후 6일 blastocyst(배포) 
zona pellucida(투명대) 소실 및 착상 
* Blastocyst
- Trophopblast / Embryoblast 로 나뉨
- 세포영양막 / 융합영양막으로 또 나뉨 
- Pluripotent 한 세포 
- 배아를 제외한 신체내 조직으로 분화 가능

 

Blastocyst(배포)의 구조
Blastocyst(배포)의 구조

 

Trophoblast 
Cytotrophoblast(세포영양막) Syncytiotrophoblast(융합영양막)
분화능력 O,  cell membrane 
내분비 기능은 미약함 
분화능력 X, no cell borderline
hCG를 분비하는 내분비 기능 존재함
→ progesteron을 분비하여 임신을 유지하는 역할
시상하부호르몬을 분비함
(GnRH, CRH, TRH)
뇌하수체 호르몬 및 기타 호르몬을 분비함
(hCG, ACTH, hPL...)

 

II. 배아기의 발생과정

■ Embryonic period 

- 배아기 vs 태아기 

배아기 : [수정 후 8주 = LMP 10주],  major organ genesis
태아기 : LMP 10주 이후 
GA(gestational age)는 LMP를 기준으로 함실제 수정시기 + 2주 

사람의 발생과정사람의 발생과정
배아기의 발생과정 일부

- Epiblast와 Hypoblast

innercell mass가 Epiblast와 Hypoblast로 분화함
Hypoblast : ventral side : Yolksac 형성부
Epiblast : dorsal side : Amnion 형성부
이후 3주경 : Epiblast에서 세포가 이주하여 Endoderm , Mesoderm , Ectoderm을 형성함 

- Yolksac(난황)의 기능 

trophoblast에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배아로 전달
태반이 성숙되기 전(4주 전) 가스교환 역할
임신 8주까지 배아 조혈기관
 

-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 조직

Ectoderm(외배엽) 신경조직과 외부 노출 상피조직 : nerve system, epidermis, hair, nail 
Mesoderm(중배엽) 근골격조직 순환계통 : skeleton, muscle, connective tissue, heart, blood vessel, kidneys
Endoderm(내배엽) 소화또는 호흡 내부 장기 : GI tract, pancreas, lungs

■ 태아막

태아막

태아 > 양막 > 융모막 > 피막탈락막 > (자궁강) >벽측 탈락막 순으로 바깥쪽이다.
탈락막은 착상부 쪽 탈락막을 바닥탈락막, 나머지 융모막을 싸고 있는 부분을 피막탈락막, 자궁강을 덮고 있는 부분을 벽측 탈락막으로 나눈다. 피막 탈락막과 벽측 탈락막은 임신 14-16주 경 진성탈락막으로 융합하고, 자궁강 공간 X

double ring sign
▲ double ring sign = 벽측 탈락막과 바닥 탈락막이 보이는 초기임신의 초음파 소견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