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척추관절염의 정의와 종류

- 축성척추관절염(axial SpA) : AS (침범부위 : spine, plevis, thoracic cage)
- 말초척추관절염(peripheral SpA) : ReA, PsA, EA
■ 특징
- axial arthritis(천장관절염, 척추염)
- asymmetrical oligoarthritis : 무릎, 발목에 호발 하는 1-3개의 소수 관절
- RF(-), anti-CCP(-), ANA(-)
- 포도막염, 건선,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근골격외 증상 동반
- 골부착부위염(enthesopathy) : 뼈에 부착하는 건, 인대, 근막등에 발생한 염증
- HLA-B27 관련성
■ 척추관절염의 분류와 개별적 특성
|
강직척추염(AS)
|
반응관절염(ReA)
|
건선관절염
(PsA)
|
장병성관절염 (EA)
|
남 : 여
비율
|
3:1
|
5:1
|
1:1
|
1:1
|
천장관절침범
|
대칭적 침범
|
비대칭적 침범
|
비대칭적 침범
|
비대칭적 침범
|
천상관절염 빈도
|
100%
|
40-60%
|
40%
|
20%
|
말초관절침범
|
+
|
++
|
++
|
++
|
부착부위염
|
++
|
+++
|
++
|
+/-
|
수지염
|
+/-
|
++
|
++
|
+/-
|
피부증상
|
|
Circinate balanitis
keratoderma blennorrhagicum
|
건선
|
Erythema nodosum
pyoderma gangrenosum
|
눈 증상
|
전방 포도막염
|
전방 포도막염
결막염
|
전방 포도막염
|
전방 포도막염
|
기타 증상
|
폐상엽 섬유화
전립선염
|
요도염 자궁경부염
|
|
|
§ 염증성 요통의 특징
- 40세 이전 발생
- 증상이 서서히 발생 (3개월 이상 지속)
- 운동/활동시 호전
- 야간의 통증
- 조조강직
II. 강직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의 증상
■ 강직척추염(AS)이란?
- axial skeleton을 침범하는 염증질환
- 남 > 여 (2-3:1), 10-20대에 발병하며 40대 이후 드문 질환, 유병률 0.2-1.2%
- HLA-B27 : 강직척추염환자의 90% 이상 양성 (질병활성도와는 무관함)
- IBD(UC,CD)와의 연관성
■ 증상
1) 관절 증상
- 대칭적인 sacroiliitis(천장관절염)
→ 허리/엉덩이의 둔통 : 점진적, 지속적, 야간↑ , 조조강직(수시간)
→ 운동시 호전함 / 휴식 시 악화
- 비대칭적인 말초 관절염
→ 1-3개 관절 oligoarthritis
→ ankle > hip > knee > shoulders
- 경추 침범
- enthesis(골부착부위염) : 주로 아킬레스건 통증, 압통, 종창
- dactylitis :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붓기 (sausage digits)
- 척추 골절 위험도 ↑
2) 관절외 증상
- acute anterior uveitis(전방 포도막염 : 류마티스 질환과 50%는 관련되어 있음)
→ HLA-B27(+), 오래된 AS에서 호발함
→ unilateral, photophobia, pain, 눈물
→ 후유증 : 백내장, 이차성 녹내장
- colon, ilieum의 염증
- psoriasis(건선) : 말초관절 침범이 더 흔함
- IgA 신증
- upper lung fibrosis
3) 척추관절염의 진찰 소견
■ 척추 운동성 ↓
- Schober test
→ 서있는 상태에서 lombosacral junction의 5cm 아래와 10cm 위 점을 찍은 후 허리를 굽히고 나서 늘어나는 길이를 측정함 (정상: 5cm 이상, AS: 4cm 미만)
- chest expansion test
→ 4th Intercostal space (or 유방바로 아래) 최대 흡기와 호기 시 가슴둘레의 차이 측정 (정상 : 5cm 이상, AS 2.5cm 미만)
- thoracic kyphosis (흉추 후만증)
- occiput to wall distance (OWD, 벽에 등을 대고 뒤통수와 거리 ↑ )
■ SI joint(천장관절) 통증
- SI direct compression test : 옆누움 후 ilium 압박
- SI distraction test : 바로 누움 후 양쪽 ASIS를 압박하며 벌린다
- FABER(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test: 무릎과 반대편 ASIS 압박 시 천장골 통증
IV. 강직척추염의 검사
■ 혈액검사
- HLA-B27 (+)
- RF(-), ANA(-), anti-CCP(-)
- ESR ↑ , CRP ↑ , mild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 PFT : restrictive pattern
■ 영상검사
1) Sacroiliitis (Pelvic X-ray)
- subchondral bone blurring
- erosion + sclerosis
2) Lumbar spine
- 척추체의 sqauring (요추의 정상적인 anterior concavity의 소실)
- Shiny coners : 척추체의 subchondral sclerosis at upper edge
- Syndesmophytes: 척추체 사이의 연결
- Ankylosis of apophyseal joints
- Lordosis (전만) 소실 → straightening
- Bamboo spine




V. 강직척추염의 진단

VI. 강직척추염의 치료
1) 생활습관 및 관리
- 완치는 불가하나 예후는 양호한 편
- 규칙적인 운동 (수영), 금연, 바른 자세
- 척추 골절의 위험성 ↑ 안전사고에 유의
2) 내과적 치료
● NSAID (1st)
- 통증을 감소시켜 운동성을 향상, 지속 복용 시 영상학적인 병의 진행 지연 가능
● TNF-a inhibitors
Ix. active AS 환자에서 2가지 이상의 NSAID 사용해도 효과가 없을 때
- 효과적이나, syndesmophyte 형성 예방 X
- 금기 : 활동성 감염, 암.... (투약 전 IGRA or PPD skin test 시행)
● IL - 17 inhibitors
- secukinumab, ixkizumab
● JAK inhinitors
※ axial SpA (요통)에는 nonbiologic DMARDs와 oral steroid는 효과가 없음,
3) 말초 관절염 & 부착부위염 치료
- NSAIDs, low dose oral glucocorticoids, intra articular glucocorticoid injection, nonbiologic DMARDs , TNF-a 순으로 사용 (bDMARDs, Steroid 효과 O)
4) 포도막염
- local glucocorticoid + mydriatic agent
- 심할 경우 systemic steroids + 면역억제제
5) 수술적 치료
- 심각한 통증, 심한 척추 변형, 척추 골절 시
'류마티스 | 알레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드러기와 혈관부종의 기전과 치료 | IgE 매개, Bradykinin 매개 | 항히스티민제 (1) | 2025.05.09 |
---|---|
염증성 근육병증 | 피부근육염 | 다발근육염 | 봉입체 근염 | DM, PM, IBM (0) | 2025.03.14 |
베체트병 증상, 진단, 치료 | Bechet's disease | HLA-B51 (0) | 2025.03.13 |
가성통풍(pesudogout, acute CPPD arthritis) | calcium pyrphosphate crystal (0) | 2025.03.11 |
무증상 고요산혈증부터 급성,만성 통풍 치료까지 | 요산저하치료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