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Double strand DNA repiar
■ Nonhomologous end joining(NHEJ)
- 상동서열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복구 기작
- 절단된 DNA 가닥을 강제로 연결 및 부착함
- 다른 복구기작 대비 삽입, 결실이 잘 일어나고 정확성이 떨어지는 복구기작
- 주로 G1기에서 발생함(상동가닥이 필요 없으니 G1에도 가능한 것)
- Ataxia telangiectasia가 NHEJ 기능이 떨어진 경우로 생각됨,
■ Homologous recombination(HR)
- 상동서열을 필요로 하는 복구기작
- 절단된 DNA의 가닥을 상동서열의 상보적 서열을 주형으로 하여 복구함
- BRCA1, BRCA2 유전자 관련 유방/난소암 환자에서 손상이 관찰됨
- Fanconi 빈혈에서도 손상이 관찰됨
- 상대적으로 정확한 복구기작
II. Single strand DNA repair
■ Base excision repair
- 열 또는 화학적 손상으로 Cytosine deamination이 발생하여 C → U로 염기가 바뀜
- Uracil gylcosylase가 당-염기사이 결합을 제거
- AP endonuclease가 핵산끼리 Phosphodiester 결합을 제거
- 이후 DNA 중합효소와 DNA ligase가 올바른 염기로 수정함
- 전세포주기에 걸쳐서 진행됨
■ Neucleotide excision repair
- 자외선(UV) 손상으로 Thymine dimer가 형성됨
- Endonuclease가 thymine dimer를 포함 여러 염기를 제거함
- 이후 DNA 중합효소와 DNA ligase가 올바른 염기로 수정함
- 세포주기 G1기에 진행됨
※ Xeroderma pigmentosum(색소피부건조증)
- Endonuclease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AR(열성유전) 질환
- 자외선 손상에 대한 수선능력이 떨어짐
- 증상: 창백, 주근깨, multiple skin cancer, corneal ulcer
■ Mismatch repair
- DNA 복제과정에서 불일치하는 염기가 합성되는 경우
- mismatched segment를 제거 후 DNA 중합효소와 DNA ligase로 복구
※ HNPCC(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Lynch syndrome)
- hMSH2, hMLH1 유전자의 결함으로 mismatch repair의 문제가 발생하는 질환 AD(우성유전) 질환
- 가계도 특이적 대장직장암병력
- Proximal large bowel에 호발 하는 대장암 (일반적인 경우 Recto-sigmoid region에 흔함)
- 난소암, 자궁내막암, 소장암, 비뇨생식계암, 담췌암의 발생률 높음
※ Microsatellite instability(MSI)
- microsatellite는 DNA 내에 반복적인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단백질 생산은 하지 않는 염기서열이다.
- 정상적 세포에서는 mismatch repair 기전으로 인해 세포마다 microsatellite의 구성이 동일함
- 종양세포의 경우 mismatch repair 기전의 결함이 있어, microsatellite의 염기 구성이 다른 정상세포랑 다를 수 있고 이를 MSI라 한다
III. DNA repair가 일어나는 cell cycle : Rb, P53 종양억제유전자
■ Rb, p53
- G1기에서 S기로 넘어가는 과정을 조절하는 유전자, G1기에서 이상이 발견된다면 S기로 넘어가는 걸 막아 mutation이 복제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함
- 종양억제유전자로 G1기에서 결함이 많은 경우 세포자멸사를 유도할 수도 있다.
- hPV 또는 HBV는 p53과 Rb를 억제하는데, 이는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하는 주원인이 된다.
'기초의학 > 생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A Mutation 종류: Silent, Missense, Nonsense, Frameshift와 Triple Repeat Expansion (0) | 2025.03.05 |
---|---|
Prokaryotic vs Eukaryotic Transcription | 전사과정, 특징, RNA 가공 및 임상적 의의 (0) | 2025.03.03 |
DNA 복제 과정 |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차이, 선도가닥·지연가닥 | 텔로미어 (0) | 2025.03.01 |
핵산의 구조(2) - DNA 복제와 유전자 발현 | 전사, 번역, 뉴클레오타이드 구조부터 항암제 기전까지 (0) | 2025.02.24 |
핵산의 구조(1) - 염색질 구조 이해하기 | 뉴클레오솜, 히스톤, 전사 조절 메커니즘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