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학/생화학

핵산의 구조(1) - 염색질 구조 이해하기 | 뉴클레오솜, 히스톤, 전사 조절 메커니즘

medhamstern 2025. 2. 21. 04:02
반응형

I. Chromatin structure 

■ Nucleosomes and Chromatin

뉴클레오솜의 구조

- Chromatin = DNA + Protein

- DNA는 chromatin(염색질)의 형태로 핵 안에 보관되어 있음

- DNA는 histone 단백 8개를 두 바퀴 두른 Nucleosome을 구성

- histone H1 단백은 뉴클레오솜에 부착되어 chromatin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함

- DNA는 phosphate group에의해 음전하

- Histone 은 Lysine Argine 아미노산에 의해 양전하 (histidine은 양전하 아미노산이지만 histoneX)

- DNA와 Histone 사이 전하로 인해 결합함.

- DNA는 mitosis 시기에 염색체 형태

- S phase 에서 DNA와 Histone의 합성이 일어나는 시기

- 미토콘드리아는 자신만의 DNA를 따로 갖고 있지만 선형이 아닌 원형 DNA이며 histone 단백과 결합한 상태가 아니다.

 

II. Heterochromatin 과 Euchromatin

Heterochromatin 과 Euchromatin전자현미경으로 핵내부 관찰

 

 Heterochromatin  Euchromatin
inactvice gene
more condense

darker on EM(전자현미경)
전사 활동   (sterically inaccessible)
barr body
active gene
less condense

lighter on EM 
활발한 전사 활동

※ Nucleoulus(핵인) : assembly of Ribosomal RNA 

III. 전사조절기전

■ Transcriptional suppression

- Histone methylation : 가역적인 전사억제 작용

- Histone deacetylation : 아세틸 기를 제거→ DNA coiling thigtened → 전사억제

■ Transcriptional promote

- Histone acetylation : histone의 양전하를 제거 → DNA와 histone 결합약화 → 전사촉진

- Histone phosphorylation : histone의 양전하를 제거 

※ DNA methylation 

- DNA sequence의 변화 없이 DNA expression을 가역적으로 조절함

- 노화, 암발생, 후성유전(epigenetics), X chromosone inactivation과 관련

- Fragile X syndrome : DNA methylation의 문제로 발생함

- Barr bodies(바소체) :  비활성화된 X염색체로 핵 주변부에서 발견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