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학/생화학

DNA Mutation 종류: Silent, Missense, Nonsense, Frameshift와 Triple Repeat Expansion

medhamstern 2025. 3. 5. 19:34
반응형

I.DNA mutation

- 기능변화의 정도 : silent << missnese < nonsense < frameshift

- Transition : 퓨린은 퓨린으로 변경 또는 피리미딘은 피리미딘으로 변이 되는 경우 (A to G / C to T)

- Transversion : 퓨린은 피리미딘으로 피리미딘은 퓨린으로 변이되는 경우 (A to C/ G to T)

 

II. Single nucleotide substitutions

single nucleotide substitutions
single nucleotide substitutions

■ Slient mutation 

- 하나의 염기가 바뀌었으나, 코딩하는 단백질이 동일한경우이다

- 염기의 변화와 관련 없이 단백질결과물이 동일하기 때문에 기능의 이상은 없다.

- 대게 코든의 3번째 염기가 바뀐 경우가 많다. (코돈 3번째 염기가 가장 비특이적인 염기이기 때문임)

■ Missensse mutation

- 염기변화로 인해 단백질이 달라지는 경우이다.

- 이경우 기능의 이상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 Ex. sickle cell disease : 글루타민(GLU)에서 발린(VAL)으로 아미노산이 바뀌어 적혈구의 형태가 변화하는 질환

■ Nonsense mutation

- 염기변화로 UAA, UAG, UGA 정지코돈이 생겨 도중에 단백질 합성이 중단되는 경우

- 대부분 기능의 이상이 동반함

▼ 정지코돈과 개시코돈

더보기

- 시작코돈 

Methionine(MET) 지정 = AUG

- 정지코돈

지정하는 아미노산 없음

UAA = U Are Away

UAG = U Are Gone

UGA = U Go Away

III. 기타 mutation

■ Frameshift mutation

frameshift mutation
Frameshift Mutation

- 하나 또는 두 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삽입 또는 삭제로 인해 변이 이후 모든 서열을 리보솜이 잘못 읽고 단백질을 생산

- 세 개의 뉴클레오타이드의 삽입 또는 삭제는 코돈이 3자리이기 때문에 이후 모든 서열을 잘못 읽지 않기에 X

- 단백질의 길이는 변화하는 경우가 많고, 단백질합성의 조기종료의 경향이 높다

- 대부분 기능이상을 초래하는 변이이다.

- Ex. Duchenne muscular dystrophy, Tay-sachs dz(글루코사민 뇌에 축적), Cystic fibrosis 

■ Splice site mutation

- mRNA의 splicing과정의 오류로 잘못된 엑손의 결합, 엑손의 결실, 잘못된 인트론의 제거가 발생하는 변이

- Beta-thalassemia, Gaucher dz.(간, 비장, 골수, 뇌에 지질축적질환), Marfan syndrome

■ Large segmental deletion

- 큰 수의 염기서열에서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

- Ex. alpha-thalassemia

■ Triple repeat expansion 

- 특정구간에 염기서열이 과도하게 반복되는 변이

- Anticipation(예상성)

하단의 질환들은 Anticipation 경향이 있는데, 이는 질병이 주로 생식기 이후 발병하며 자손으로 병이 유전될수록 병이 일찍 발병하며, 병의 중증도가 높아지는 특성이다.

감수분열 상동염색체 교차과정에서 불완전한 유전자 재조합이 발생 → 후대로 갈수록 반복염기서열이 확장되기 때문

1) Huntingtion's disease

· 염기서열: CAG의 반복(36회 이상 반복 시 병리적)

· 유전자 : HTT gene

· 증상: 운동조절장애, 인지장애, 정신질환등이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2) Fragile X syndrome

· 염기서열: CGG의 반복

· 유전자 : FMR1 gene

· 증상 : 지능저하, 발달지연, 행동장애

3) Myotonic dystrophy

· 염기서열 : CTG 반복

· 유전자 : DMPK gene

· 증상: 근육약화, 근긴장지속, 백내장, 심장질환

4) Spinocerebellar ataxia

· 유전자 : SCA1, SCA2, SCA3등에서 반복서열

· 증상: 운동실조, 근위약, 발음장애, 균형장애, 시각장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