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학/약리학

당뇨병치료제의 종류와 기전 | Metfromin, SGLT2i, GLP-1 RA, DPP-4i, TZDs, Sulfonylureas, Glucosidase 억제

medhamstern 2025. 1. 7. 05:01
반응형

♣ 한눈에 보는 경구혈당강하제의 효과와 부작용

당뇨약의 효과와 부작용
당뇨약의 효과와 부작용

1. Metformin(Biguanides, 메트포르민)

메트포르민의 기전
메트포르민의 기전
 

■ 작용원리

- 간의 포도당신생합성과정억제 (포도당신생합성 : 2형 당뇨에서 공복혈당을 올리는 주범)

- 장에서 설탕의 흡수 지연, 말초 인슐린 저항성 개선

- 식욕저하로 인한 체중감소 효과

■ 부작용

- 젖산산증 (신기능저하 : 급성심부전악화, 패혈증, 심근경색시 중단필요)

- 장기간 사용시 Vitamin B12 흡수의 방해

다른적응증

-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인슐린저항성 개선, 배란유도 및 임신을 위해 사용가능함

2. SGLT2i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

■ 작용원리

-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포도당과 나트륨을 신세관에서 재흡수하는 수송체인데, 이 수용체를 억제함

- 포도당 재흡수 억제 → 포도당배설증가 → 혈당감소, 체중감소

- 나트륨 재흡수 억제 → 체내수분배설증가 체액량감소, 혈압감소

- 인슐린 비의존 약제라 2형 당뇨말기에도 사용가능

■ 종류

- Dapaglifozin, Empaglifozin, Ipraglifozin, Etrugliflozin, Enavaglifozin

■ 부작용

- 생식기 감염증가(소변 내 포도당 때문)

- 체액 결핍 증상

- LDL증가

- 칼슘 배설로인한 골절위험성 증가

-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 Rare) Euglycemic DKA

■ 기타 적응증

- 심부전 사용

- 신기능 감소 시 사용

{기타 적응증 또는 부작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SGLT-2i 관련글로 이동}

3. GLP-1 receptor agonist (GLP-1 작용제)

■ 작용원리

인크레틴호르몬의 기능
인크레틴호르몬의 기능

* Incretin(인크레틴)

Incretin 호르몬은 포도당섭취 시 인슐린 분비는 촉진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떨어뜨리는 장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이다. glucose-dependant insulinotropic polypeptide(인슐린의존성 인슐린분비 유도 단백)이며, 인체 식후 인슐린분비기능의 60-70% 정도를 기여하는 호르몬이다. 인크레틴 호르몬의 반감기는 2분으로 매우 짧은 편이다.

인크레틴이란?

-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분비능력은 2형 당뇨환자들에게 많이 떨어져 있는데, GLP-1RA는 이점을 개선한다.

- 기존 인크레틴 호르몬의 반감기가 짧은 것을 개선한 GLP1-RA는 인크레틴이 오래 지속되게 한다.

- 포도당 의존 인슐린 분비능력을 향상

- 위배출시간을 지연 → 포만감강화 → 식욕저하 → 체중감소효과

- 식후 글루카곤분비를 억제, β세포의 분열 촉진

■ 종류

- 상품명 : (오젬픽, 위고비, 삭센다)

- Liraglutide, Semaglutide, Exenatide, Dulaglutide, Lixsenatide

- polypeptide 이기 때문에 경구제가 아니라 주사제이다.

■ 부작용

- 위장관부작용(구역, 구토, 설사, 변비)

- 일부 췌장염 위험성

4. DPP-4 억제제 (Dipeptidly peptidase-4 inhibitor)

■ 작용원리

- 인크레틴(incretin) 호르몬을DPP4 효소를 억제하여 인크레틴 호르몬의 작용시간을 늘린다.

- 이하 원리는 인크레틴의 생리적 기능과 유사함

■ 종류

- Alogliptin, Linagliptin, Saxagliptin, Sitaliptin, Vildagliptin, Linagliptin, Gemigliptin, Tenegliptin, Angliptin, Evogliptin

■ 부작용

- 대부분 없으나, 구인두염과 두통의 발생가능

- 일부 췌장염

5. Thiazolidinediones(TZDs, 티아졸리딘디온)

■ 작용원리

thiazolidinediones의 기전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에 작용한다. 지방세포, 근육세포, 간세포에 작용한다. PPARγ의 활성 → GLUT4 수용체발현 → 포도당 흡수증가 과정을 통해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한다. 지방세포에 작용하는 만큼 콜레스테롤 수치에도 영향을 준다. Rosiglitazone은 LDL↑, TG↑, HDL↑ / Pioglitazone은 TG↓, HDL↑ 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변화한다.

■ 종류

- Pioglitazone, Rosiglitazone

■ 부작용

- 간독성 보고, 간기능평가가 필요함

- 체중증가(피하지방과 체액저류로 인함)

- 체액저류 부작용으로 인해 심부전환자에서 사용 유의

- 골감소증과 골절위험성

■ 기타 적응증

- 다낭성난소증후군 : 메트포르민과 함께 인슐린저항성 개선을 위해 사용가능

6. sulfonylureas 설폰요소계

인슐린분비기전

 

■ 작용원리

이자 β세포에서 인슐린분비를 촉진한다. ATP-sensitive K+ channel를 차단 → 탈분극유도 → Ca2+유입 → 인슐린 외포작용촉진 과정을 통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 또한 설폰요소계 약물들은 간에서 포도당생산을 억제하고말초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 종류

glyburide, glipizde, glimepiride

■ 부작용

- 체중증가(고인슐린부작용)

- 저혈당

- 약물상호작용, 간기능, 신기능에 주의해야 함

7. Glinides

■ 작용원리

설폰요소계 당뇨약과 유사한 기전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 설폰요소계 대비 rapid onset과 short duration of action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유사한 약제이므로 Glinides와 sulfonylureas의 병용요법은 금한다.

■ 종류

- Repaglinide, Nateglinide, Mitiglinide

■ 부작용

- 설 폰요소계와 동일한 체중증가, 저혈당 문제가 있지만 설폰요소계 대비 발생률은 덜한 편이다.

sulfonylurea Glinide의 작용시간차이
붉은색: Sulfonylurea 계열, 푸른색 : Glinide 계열 : 작용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음

8. α-Glucosidase inhibitor

■ 작용원리

- intestinal brush border에 존재는 α-glucosidase 효소탄수화물을 포도당을 비롯한 단순당으로 분해&흡수하는 효소이다. α-glucosidase를 억제하면 식후 탄수화물이 소화되는 속도가 지연되고 식후 혈당증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인슐린 무관한 기전이기 때문에 단독사용 시 저혈당의 부작용은 없다.

■ 종류

- Acarbose, miglitol

■ 부작용

- 위장관부작용(복부팽만감, 설사, 복통)

- 염증성 장질환환자 또는 소장폐색환자에서는 금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