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아드레날린성 작용제의 작용기전 분류 (adrenergic agonist mechanism)
-1) 직접작용제(direct-acting agonist)
α 또는 β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교감신경자극효과가 나타난다.
ex.) epinephrine, norepinephrine, isoproterenol, phenylephrine
-2) 간접작용제(indirect-acting agonist)
방출되는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원리
ex.) cocaine, amphetamines
-3) 혼합작용제(mixed-action agonist)
위 두가지효과가 혼합된경우
ex.) ephedrine, pseudoephedrine
▼ 아래 기관마다 아드레날린, 콜린수용체의 작용을 참고하면 약물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된다

II. 직접작용제(direct-acting agonist)
약물종류
|
작용
|
효능-효과
|
부작용
|
Epinephrine
|
α, β 수용체에 모두작용
저용량 - β / 고용량 - α
1) 심혈관계
심근수축력 ↑ : β1
심박수 ↑ : β1
SBP ↑ : α1 > β2
DBP ↓ : α1 < β2
신혈류 ↓ : β1 → Renin상승
말초혈관저항 ↓ : β2
2) 호흡기계
기관지 평활근 이완 : β2
알러지유발물질차단
3) 내분비계
혈당↑: β2(포도당신생합성,
글루카곤분비증가) α2(인슐린분비감소)
지방분해: β
Rapid onset, 짧은 지속시간
IV, SC, inhalation
|
(단, 심장부작용때문에 β2agonist가 만성적조절에는 주로이용함.) |
* CNS 부작용
* 심장 부작용
* 내분비
|
Norepinephrine
|
상대적으로 α > β
1) 심혈관계
심박수 ↓ : 보상적 vagal 작용
SBP ↑ : α1
DBP ↑ : α1
말초혈관저항 ↑ : α위주작용
Rapid onset, 1-2분작용시간
|
|
* 주사부위 괴사
(강한혈관수축작용)
말초혈관에서 사용X
|
Isoproterenol
|
β1, β2 비선택적 작용제
1) 심혈관계
심근수축력 ↑ : β1
심박수 ↑: β1
SBP 약간↑ : β1 > β2
DBP ↓↓ : β1 < β2
말초혈관저항 ↓↓ : β2
2) 호흡기계
기관지 평활근 이완 : β2
|
|
* CNS 부작용
* 심장 부작용
* 내분비
|
Dopamine
|
α, β 수용체에 모두작용
저용량 - β / 고용량 - α
D1,D2 수용체자극
(신장, 말초장기 혈관계 위치)
1) 심혈관계
심근수축력 ↑ : β1
심박수 ↑ : β1
(고용량시: 혈관수축_α1)
2) 내장 & 신장
내장&신장동맥 확장: D2
→ ★ 임상적 포인트
|
심박출량 ↑ 이면서 신장과 내장의 혈류를 유지해주기에 TOC
|
|
Fenoldopam
|
말초 D1 수용체 작용제
(관상동맥.신장수입동맥,내장동맥)
|
|
|
Dobutamine
|
β1 수용체 작용제
1) 심혈관계
심근수축력 ↑ : β1
심박수 ↑ : β1
|
|
* CNS 부작용
* 심장 부작용
* 내분비
|
Oxymetazoline
|
α1,α2 수용체 작용제
-점막에서 충혈제거작용
|
|
|
Phenylephrine
|
α1 수용체 작용제
1) 심혈관계
심박수 ↓ : 보상적 vagal 작용
SBP ↑ : α1
DBP ↑ : α1
말초혈관저항 ↑ : α위주작용
|
|
|
Clonidine
|
α2 수용체 작용제
교감신경의 억제작용
|
|
|
Albuterol &
Terbutaline
|
짧은 작용 β2 작용제
흡입제
|
|
|
Salmoterol &
Formoterol
|
긴 작용 β2 작용제
|
|
|
Mirabegron
|
β3 작용제
* 비뇨생식계
배뇨근의 이완
방광이완
|
|
|
(용어: SBP: 수축기혈압/ DBP: 이완기혈압 , DOC: drug of choice)
III. 간접작용제(indirect-acting agonist)
약물종류
|
작용
|
효능-효과
|
부작용
|
Amphetamine
|
1) CNS 자극
2) 심혈관계
|
|
|
Tyramine
|
1) Na+/Cl- 채널억제
→ 국소마취효과 2) 심혈관계
|
IV. 혼합작용제(mixed-action agonist)
약물종류
|
작용
|
효능-효과
|
부작용
|
Ephedrine
|
에피네프린과 유사하지만 더 작은 potent
CNS 통과율↑ /경구흡수율↑
SBP ↑ / DBP ↑
기관지확장제(단, 약효가 느리고 potency낮음)
CNS 약간 자극
|
|
|
Pseudoephrine
|
Ephedrine 보다 CNS 통과율 ↓
경구 또는 비강내 분무
충혈제거 효과
|
|
*** 총정리 표

Lippincott Illustrated Reviews: Pharmacology 6th _ Figure 6.17.
V. 출처
리핀코트 약리학 _ Lippincott Illustrated Reviews: Pharmacology 6th
반응형
'기초의학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치료제의 종류와 기전 | Metfromin, SGLT2i, GLP-1 RA, DPP-4i, TZDs, Sulfonylureas, Glucosidase 억제 (0) | 2025.01.07 |
---|---|
아드레날린 차단제(adrenergic antagonist)의 기전과 종류 (2) | 2024.11.18 |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위치와 기능 |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 (1) | 2024.11.18 |
NSAIDs(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작용기전, 효과, 부작용 (0) | 2024.11.18 |
콜린작용제(agonist)와 콜린차단제(antagonist)의 종류 효과 부작용 (0)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