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심전도 | 부정맥

[ ECG 기초정리(2)] - 흉부유도 심전도의 원리, 우심실비대, 좌심실비대 심전도소견

medhamstern 2024. 12. 18. 10:42
반응형

I. 흉부 유도의 의미와 위치

    심전도 기초 1편보러가기  ▶ https://medhamstern.tistory.com/67

 



 

 

표준 12유도 심전도
표준 12유도 심전도

 

전 글에서 사지유도는 심장을 정면에서 본 평면(frontal plane) 을 기준으로 심장의 전기 방향을 분석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흉부유도는 사지유도와 달리 심장을 머리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transverse plane)을 기준으로 심장의 전기방향을 분석하는 유도 이다. 만약 등 → 가슴으로 튀어나오는 전기신호가 있다면, 사지유도에서는 잘 관찰되기 어렵겠지만, 흉부유도에서는 잘 관찰될것이다.

왼쪽사진 : 흉부 유도를 붙이는 위치, 오른: 수평면과 흉부유도 노란화살표:심장의 전기방향
왼쪽사진 : 흉부 유도를 붙이는 위치, 오른: 수평면과 흉부유도 노란화살표:심장의 전기방향

 

♠ 심장의 위치

복장뼈(sternum)를 기준으로 심장이 오른쪽에 우심방:우심실이 있고 왼쪽에 좌심방/좌심실이 있다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아래 표가 정확한 심방/심실의 위치이다.

 
위치
우심실(RV)
복장뼈(sternum) 바로 아래
(가장 앞쪽가슴에 가까움)
좌심방(LA)
식도와 가까운 몸의 중심부쪽 위치
우심방(RA)
복장뼈(sternum) 오른쪽
좌심실(LV)
왼쪽 깊은곳에 위치

가장 중요한 좌심실을 보호하기 위해 심장이 왼쪽으로 돌아가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1편에서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흉부 유도에서 정상 QRS 모양을 알아보자.

II. 흉부유도에서 정상 QRS의 모양

■ V1, V2 유도

심장의 전기방향V1,V2 유도는 멀어지는 형태이므로 QRS가 아래(하향파) 이다.

 
QRS가 아래로 향하는 V1, V2 유도
QRS가 아래로 향하는 V1, V2 유도

 

■ V3, V4 유도

심장의 전기방향과 V1,V2 유도 보다는 가까워지지만, V5,V6 유도보다는 먼 위치로 QRS가 아래/위 균등한 이행기이다.

QRS 이행기인 V3, V4 유도

QRS가 아래인부분 위인 부분이 균등한 편이다.
QRS 이행기인 V3, V4 유도 QRS가 아래인부분 위인 부분이 균등한 편이다.

 

■ V5, V6 유도

심장의 전기방향 가장 방향이 비슷한 유도들로, QRS가 위(상향파) 이다.

QRS가 위로 향하는 V5, V6 유도
QRS가 위로 향하는 V5, V6 유도 ​

 

III. 좌심실비대, 우심실비대상황 에서 흉부유도 심전도

■ 좌심실비대

 
좌심실비대
노란화살표 : 좌심실비대에서 심장전기 방향

 

좌심실 비대 상황의 경우 좌심실에 심장근육세포들이 많은것이므로 심장의 전기방향정상보다 더 좌측&뒤쪽으로 치우친다.

LVH 좌심실비대의 심전도
LVH 좌심실비대의 심전도

 

◈ LVH 심전도 소견

- S V1 + RV5 or RV6 ≥ 35mm

- RV5 or RV6 ≥ 25mm

- Left axis deviation

▶ 좌심실 비대 심전도 설명

- 정상심전도와 경향자체는 유사하다. 하지만 QRS파의 길이가 더 극단적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V5,V6 에서 정상적인 심전도 대비 상향파(R파)의 크기가 많이 증가한것을 확인 할수 있다. (붉은네모)

- I 유도에서 상향파 / aVF 유도에서 하향파 인것을 통해 Left axis deviation임을 알수있다(푸른네모)

(사지유도를 통한 axis분석은 전편에 설명이있다..)

- V1 유도를 보면 하향파(S파)가 정상 심전도 대비 길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우심실비대

우심실비대
노란화살표 : 우심실비대에서 심장전기방향

 

우심실 비대 상황의 경우 우심실에 심장근육세포들이 많은것이므로 심장의 전기방향정상과 다르게 우측으로 치우쳐 정면 방향(V1,V2)으로 향한다.

우심실비대의 심전도
우심실비대의 심전도

 

◈ RVH 심전도 소견

- tall R in V1 + S wave in V6

- R V1 + S V6 ≥ 11mm

- Right axis deviation

▶ 우심실 비대 심전도 설명

- 정상심전도에서는 V1는 하향파, V6는 상향파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우심실 비대의 경우 V1에서 상향파가 생기고, V6에서 없던 하향파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있다. (붉은네모)

- I 유도 이 하향파 / aVF유도가 상향파인 것을 통해 RAD(right axis deviation)임을 알수있다. (푸른네모)

전편에 이어서 이제 심전도의 베이스는 정리한 것 같다. 다음글에서는 P-QRS-T 분절에 대해 더 세부적으로 각각 알아볼예정이다.

 

심전도 기초정리 [1] ▶ https://medhamstern.tistory.com/67

심전도 기초정리 [3] ▶ https://medhamstern.tistory.com/69

심전도 기초정리 [4] ▶ https://medhamstern.tistory.com/7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