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상청진
제 1심음(S1): MV(이첨판)과 TV(삼첨판)이 닫히는 소리
제 2심음(S2): AV(대동맥판막)과 PV(페동맥판막)이 닫히는 소리
S1심음은 단일음이지만,
S2 심음은 AV와 PV 가 닫히는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생리적으로 A2 - P2로 구분되어 들린다. 이를 Normal spliting of S2 라 한다.
Normal spliting of S2는 호기보다 흡기에서 저명하게 나타난다
이유는 1) 흡기시 흉강에 음압이 걸린다 2) 음압으로 인해 SVC(상대정맥)에서 우심방(RA)로 들어오는 정맥환류량(Venous Return)이 증가하고, 증가된 우심장혈류로 인해 P2(폐동맥판막이 닫히는소리)가 A2(대동맥판막이 닫히는 소리) 보다 늦어져서 발생한다.
* 기타 심음
제 3 심음(S3): Early diastolic
제 4 심음(S4): 수축기 직전 이완기에 들리는 심방소리: 주로 이완능이 안좋은 심장에서 들릴 수 있다.
2. S2 심음의 비정상
1) Wide fixed splitting
정의: A2-P2 사이 간격이 정상 심음보다 넓고, 흡기와 호기사이의 차이가 적어지는 것.
* 원리:
호기시 Left to Right shunt의 증가로 인해 RV systole prolong (우심실 수축기의 연장) 으로 인해 발생함.
흡기시 Venous retrun의 증가로 , L to R shunt 감소, wide split
* 원인 질병
- volume overload를 만드는 ASD(심방중격결손), PAPVR(전폐정맥환류이상)
- Pressure overload를 만드는 PS(폐동맥협착증)
- Electical delay= RBBB(우각차단)
- Early aortic close = MR(이첨판 역류)
2) Narrow split S2
정의: A2-P2 사이간격이 좁거나 없음
- Single S2 (AV or PV가 열리지 않거나 없는경우)
ex. Pulmonary/aortic atresia ,
ex. Truncus arteriosus(동맥간증; 발생과정에서 폐동맥과 대동맥으로 분리되지 않는 Arterial trunk만 남아있음)
- 위치상으로 대동맥이 폐동맥보다 앞에 존재 해 있는경우 Ex. TGA
- 페동맥고혈압
3) P2 심음의 세기
소리크기증가: 폐동맥고혈압
소리크기감소: severe PS, TOF, TS
3. 심잡음
정상심장또는 심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심장내 와류로 인한 소리
* 심잡음의 구성 5요소
- Location: 가장 크게 들리는 곳
- intensity: 강도
- timing
- 전도방향(radiation)
- 호흡, 자세에 따른 변화
3-1) Location

Ⓐ = RUSB(right upper sternum border): AS(대동맥판막협착)
Ⓟ = LUSB(left upper sternum border) :PS(폐동맥판막협착), ASD(심방중격결손), Pulmonary murmur of Inocent and Newborn(생리적 신생아순환), CoA(대동맥축착), PDA(동맥관개존증), TOF, subarterial VSD, PAPVR, TAPVR(부분/전체 폐정맥환류이상)
Ⓣ = LLSB(left lower sternum border): VSD(위치마다 다를수 있음) Still's 심잡음(2-7세 정상심잡음),
Ⓜ = APEX(심첨부) : MR, Still's, MVP, MS
3-2) Intensity
I~ VI도 까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청진의 세기는 IV~VI
IV: 크게 들리며 + 진전(trill)이 만져진다.
* 무해성 심잡음 (Innocent Murmurs); 정상적인 경우에도 들릴수 있는 잡음

- Carotid bruit: 쇄골위 목부분에서 들리는 잡음으로; Carotid artery가 갈라지는 부위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
- Cervial venous hum: 쇄골하정맥에서 발생하는잡음
- Pulmonary Efection Murmr: 왼쪽 흉골 경계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정상신생아에서 제일 잘 들리는 잡음
- Still's murmur: 왼쪽흉골하, 심첨부에서 잘들리는 잡음으로 hight picth이며 누울때 잘 들리는 것이 특징이다.
- Cardiorespiratory murmur
생리적잡음의 경우 IV이상의 강도가 아니다. 또한 이완기에 발생하는 심잡음이 아니다!
'심장 > 소아심장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ongenital long QT syndrome | 발생원리 치료 | Torsades de pointes (0) | 2025.01.27 |
|---|---|
| 사람의 대동맥 발생학 _ 중복 대동맥궁(Double aortic arch) + 악어의 대동맥 (2) | 2024.12.21 |
|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PPHN) - 증상, 치료 , 원인 (1) | 2024.11.18 |
| 영아기 심부전의 증상과 원인 | 선천성 심장질환의 원인과 분류 (2) | 2024.11.18 |
| 태아순환의 특징 | 태아순환과 출생 후 순환의 차이점 (0)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