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라파밀은 Non-DHP 칼슘채널 차단제이다.
평활근을 이완하는 효과를 통해 항고혈압제로 이용하는 약물인데
왜 골격근에는 작용하지 않을까?
■ 근육의 수축과 이완과정
근육의 종류는 심장근육/골격근/평활근으로 나뉘고 모두 세포내 칼슘농도가 상승하면 근수축이 일어난다.
근육세포의 탈분극이 세포막의 L-type calcium 채널을 활성화하여 세포내로 칼슘이 들어오게한다고 생각하면된다.
그런데. 평활근과 심장근육에서 세포내로 들어온 칼슘은 Salcoplasmic membrane의 RyR채널을 활성화시키는데, SER(sarcoplasmic reticulum) 이 저장하고있던 추가적인 칼슘을 세포내로 이동하게 한다.
결국 이과정이 Calcium induced calcium release(칼슘이 내부 칼슘농도를 더 높이는 과정) 이다.
이후, 심장근육은 칼슘이 Troponin과 결합하여 액틴과 미오신의 상호작용으로 근수축이 일어나고
평활근은 칼슘이 Calmodiulin과 결합하여 근수축이 일어난다.
■ Verapamil의 기전
Verapamil은 L-type Ca2+ channel를 차단하는데,
1. 초기의 세포외 -> 세포내로의 칼슘의 이동을 차단하고
2. 또한 내부로들어온 칼슘이 유도하는 Ca induced Ca release 과정을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평활근과 심장근의 근수축을 억제하는 것.
■ 왜 골격근에서는 작용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골격근은 무엇이다른가?
L-type channel - RyR채널사이의 연결이 평활/심장근육에서는 Ca이온을 매개로 일어났지만,
골격근에서는 두채널이 서로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한다는게 차이점이다.
골격근에서는 L-type channel 이 차단되어도 SER에서 세포 내부로 칼슘이 이동하는과정은 차단 되지 않아. 근수축이 정상적으로 이루 어진다.
'기초의학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NSAIDs(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작용기전, 효과, 부작용 (0) | 2024.11.18 |
---|---|
콜린작용제(agonist)와 콜린차단제(antagonist)의 종류 효과 부작용 (0) | 2024.11.16 |
콜린수용체(무스카린성 수용체/니코틴성 수용체)와 콜린성신경전달물질 (0) | 2024.11.16 |
SGLT-2 억제제의 작용기전 | 효능 부작용 | SGLT2i (3) | 2024.11.16 |
당뇨약 Metfromin(메트포르민)의 기전 | 생화학 | 약리 (2)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