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학술지

비만 2형당뇨 소아환자 대상 비만수술 | Lancet 2025.02

medhamstern 2025. 3. 19. 20:47
반응형

I. 소아 비만과 소아 2형 당뇨의 증가

■ 소아비만

- 지난 30년간 상당한 소아비만의 증가가 있었음
- 2022년 기준 세계적으로 소아들의 8%가 비만
- 2형 당뇨를 비롯한 다양한 질환이 비만과 연관되어 있는 것은 성인과 소아 모두 동일

■ 소아 2형 당뇨

- 소아 2형 당뇨는 2002-2017년간 증가해 왔고, 2060년에는 700% 증가 예측
- 소아 2형당뇨는 adult onset type 2 DM , type 1 DM 보다 aggressive clinical course
- 당뇨병성 신장병증, 신경병증, 망막병증 역시 이런 환자들에게서는 일찍 발생함

II. 소아에서 비만 대사 수술

- 심각한 비만과 2형 당뇨 소아환자들의 치료옵션은 성인 대비 제한되나, 비만수술 은 가능한 옵션 중 하나
- 비만수술을 받은 청소년 환자 80%가 1년내에 2형 당뇨병 관해
- 수술 10년 후에도 55% 이상 관해
- 비만 관련 고혈압 과 이상지질 혈증 또한 개선

■ 메커니즘

- 수술 이후 체중 의존기전, 체중 비의존기 전 두 가지 모두로부터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함.
-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음

● 체중 비의존 기전

- 당독소의 감소, 이자섬 세포의 염증감소, 장내 미생물 변화, 위장관 호르몬의 변화
- 위 요소들을 통해 이자 B cell의 기능 향상
- B cell 가능의 개선을 통해 GLP-1 과 peptide YY의 농도 증가
- 간내 포도당 생성 감소, 식후 인슐린 분비를 통해 포만감 증가
- 수술을 통해 위의 fundus가 완전히 절제 → ghrelin 호르몬의 분비감소 → 식욕감소

III. 비만 대사수술 낮은 시행

■ 사회 경제적 요인

- 미국에서 심각한 비만을 겪고 있고 수술에 적합한 환자의 오직 0.04%만 수술을 받음
- 남성, 흑인, 히스패닉 그리고 낮은 사회경제적 환자일수록 시행률은 더 낮음
- 수술의 비용 문제, 보험의 적용여부
- 체중 감소 수술에 대한 부모와 의료 제공자의 사회적 편견
- 일부 민족은 비만 자체에 대한 심각성이 부족함
- 비만을 의지 부족등 단순하게 생각함

■ 수술후 부작용

- 효율성, 안정성, 장기간의 부작용 발생에 대한 걱정
- 영양 부족, 성장 지연, 정서적인 문제 대한 걱정
- 수술전 정신질환과 약물 사용이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자살사고, 우울, 불안의 위험성 증가

IV. 결론

- 단기적, 중기적 효과가 있지만, 임상 환경에서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비만 대사수술이 반드시 권해져야 한다는 컨센서스는 없음
- 청소년 2형 당뇨 환자에서 수술의 이득과 위험성을 일반인구 뿐만아니라 정부, 보험사등에서 같이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V. 출처

Bariatric surgery in children with obesity and type 2 diabetes
Lancet : Bariatric surgery in children with obesity and type 2 diabetes

Desai, Ashish P., Meghna S. Vaghani, and Li F. Chan. "Bariatric surgery in children with obesity and type 2 diabetes."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2024).
DOI: 10.1016/S2213-8587(24)00369-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