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 | 알레르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 | 검사 | 진단기준 | 평가 | RA

medhamstern 2025. 2. 14. 18:31
반응형

I.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 자가면역성

- 만성적인 염증

- 전신적인 질환

관절의 활막염(synovitis)으로 시작하여 진행될수록 관절 손상이 나타나는 만성 전신성 염증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의 역학

- 유병률 : 0.5-1.0%, 여성 : 남성 = 3 : 1 (국내에서는 여성 비율이 더 크다)

- 40-50대에 주로 발병, 남성의 경우 65세 이후 여성과 비슷한 발병률

●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 원인

→ 정확한 기전은 불명확하나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이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병 추정

II. 류마티스 관절염의 양상

■ RA의 전구증상

- 피로감, 식욕부진, 쇠약, 모호한 근골격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2/3)

- 일부는 비대칭적인 arthritis, 급격한 arthritis로 나타나기도 함

[ 관절 증상]

■ RA의 손과 손목관절 이상

- bilateral symmetric inflammatory polyarthritis

- morning stiffness, inactivity stiffness (1시간 이상 지속, 활동에 의한 완화)

- 손목, 손, 발목등 움직이는 관절을 주로 침범함

류마티스관절염의 손 변형

- Z deformity : wrist radial deviation, digits ulnar deviation, proximal phalanges palmar subluxation

swan neck deformity

- Swan-neck deformity : PIP hyperextension, DIP flexion

boutonniere deformity

- Boutonniere deformity : PIP hyperflexion, DIP extension

■ RA 무릎관절 이상

- synovial hypertrophy, chronic effusion

Baker's cyst (popliteal cyst)

- Baker's cyst : 오금에서 발생하는 점액낭, 외상, OA, RA, 반월판파열등으로 인해 발생함.

■ RA에서 척추이상

- 흉추와 요추침범은 드물다(척추관절병증, SpA)와의 차이점

- atlanto-axial subluxation(C1-C2 아탈구)

[관절 외 증상]

■ 류마티스 결절(rheumatoid nodules)

류마티스 결절의 사진

- forearm, sacral prominences, Achilles tendon에 호발(힘줄, 마찰부)

- pleura, menings에도 발생가능함.

- 다른 관절 외 증상과 동반이 흔하고, RF양성, 골미란 소견이 있는 환자에서 흔함

■ 류마티스 혈관염 (rheumatoid vasculitis)

- severe RA, RF ↑ 환자에서 발생함

- 피부혈관염 : 말단부 궤양, 경색

- 신경 혈관염: 다발성신경병증, 단일신경병증

- 허혈성 장질환, 급성심근경색

■ 호흡기계 증상

- pleural effusion, interstitial fibriosis, pneumonitis

- pleuropulmonary nodules

■ 심장 증상

- pericardial effusion, constrictive pericariditis, nodules, valve 이상

■ 기타 증상

- 2nd Sjogren syndrome

- 골다공증

- Felty's syndrome: 호중구 감소 + 간 비장비대 + 류마티스관절염

III. 류마티스 관절염의 검사 소견

● 혈액검사소견

1) Rheumatoid factor(류마티스인자)

- IgG Fc 부분에 대한 IgM 자가항체RA 환자의 80%가량 양성

- 정상인의 5%에서도 양성 결과(감염증, 예방접종등으로 인한 양성반응)

- 높은 RF = 좋지 않은 예후, 류마티스 결절 혈관염과 같은 관절외 증상 ↑

2) anti - CCP (ACPA, cyclic citrullinated peptide Ab)

- 민감도 80%, 특이도 95%↑ ➡️ RF(-) RA 진단 가능

- ​anti-CCP(+) ➡️ poor Px. 류마티스 증상 발생 전부터 양성 가능

- 흡연자, HLA-DRB1에서 더 흔함

3) 기타 혈액검사 소견

- ESR ↑ , CRP ↑ ➡️ 질병활성도를 반영함

-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 anemia, thrombocytosis, albumin 감소 ➡️ 질병활성도 반영

4) synovial fluid

- yellow, turbid, 단백질 ↑ , 포도당 - or ↓, 호중구가 50% 이상

- synovial tissue에서는 T 림프구가 가장 많다

- 관절액 C3, C4 보체 감소

RA 영상검사 소견

■ plain hand x-ray

류마티스 관절염의 손사진

- symmetrical joint space narrowing (PIP joint)

- bone erosion (metacarpal bone head 부근, carpometacarpal 부분)

■ MRI, USG

- 연부조직관찰에 유리함, 조기 발견 가능

IV.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기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기준
RA classification criteria 2010 ACR/EULAR

대상인구 : 최소한 1개 이상의 관절에서 발생한 활막염(붓기)이 있으면서 다른 질환으로 설명되기 어려운 경우

관절증상 : 소관절 > 대관절

자가항체 : RF , anti - CCP Ab 이용

염증표지자 : ESR, CRP 수치 이용

6주 이상의 만성화될 경우 점수

➡️ 6점 이상일 경우 definite RA

◆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활성도와 관해 평가 (DAS28)

RA 경과 및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

tendor joints, swollen joints, 전신 건강상태, ESR/CRP 수치를 기반으로 계산함

Remission
2.6 미만
Low
2.6 이상 3.2 미만
Moderate
3.2 이상 5.1 미만
High
5.1 이상

▶ 류마티스(1) -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태생리와 원인 알아보기 

▶ 류마티스(2) -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제(항류마티즘약) 알아보기

반응형